[靑 하명수사 의혹] ‘김기현 첩보’ 앞뒤 안 맞는 靑 해명 ‘진실 공방’ 불 지펴

박석호 기자 psh21@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김기현 전 울산시장 측근 비리에 대한 하명 수사 의혹 관련, 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자유한국당 친문게이트 진상조사위원회 회의가 개최됐다. 회의에 앞서 자유한국당 곽상도(가운데) 친문게이트 진상조사위원장이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기현 전 울산시장 측근 비리에 대한 하명 수사 의혹 관련, 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자유한국당 친문게이트 진상조사위원회 회의가 개최됐다. 회의에 앞서 자유한국당 곽상도(가운데) 친문게이트 진상조사위원장이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기현 전 울산시장 측근 비리 첩보의 최초 제보자로 송병기 울산시 경제부시장이 지목되면서 이른바 ‘하명수사’ 의혹이 확산되자 청와대는 5일 이를 적극 반박하면서 진화에 나섰다. 하지만 청와대 해명이 논리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부분이 적지 않아 진실공방 국면으로 흐르고 있다.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전날 브리핑에서 김 전 시장 관련 첩보는 외부에서 온 제보를 정리해 이첩한 것으로, 숨진 특별감찰반 출신 수사관과는 무관하다는 내용의 브리핑을 했다. 하지만 그 이후 ‘외부 최초 제보자’가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울산시장에 당선된 송철호 시장의 최측근인 송 부시장이라는 점이 드러나자 분위기가 반전됐다.


첫 제보자 송철호 측근 뒤늦게 드러나

‘공직자 신분’도 퇴직자로 밝혀져

제보 받은 과정도 사실 관계 안 맞아

국민소통수석 나서 이틀째 ‘진화’

의혹 확대·재생산에 청와대 ‘곤혹’


일부에서는 김 전 시장과 경쟁한 여권 후보 캠프에서 일한 인사가 제보의 출발점이었다는 점에서 오히려 의혹과 논란이 커지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왔다. 또 청와대가 외부 제보자가 공직자라고 밝혔지만 당시 송 부시장은 공직에서 퇴임한 이후여서 고의로 숨긴 것 아니냐는 의심을 받고 있다.

거기에다 청와대는 민정수석실 행정관이 2017년 10월 스마트폰 SNS 메시지를 통해 (송 부시장에게서)제보를 받았다고 밝혔으나 송 부시장은 언론 인터뷰에서 “먼저 연락이 왔기에 알려줬을 뿐”이라고 말하는 등 사실관계가 맞지 않는다는 지적을 받았다.

또 청와대 관계자는 ‘경찰이 2018년 지방선거를 전후해 김 전 시장 비위 수사와 관련한 보고를 9차례 했다’는 의혹에 대해 “민정비서관실이 받은 보고는 9번째 것 한 번”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해당 수사 상황을 달리 취급해서 보고를 요구하거나 반부패비서관실이 정리해 민정비서관실과 공유한 사실이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청와대의 이런 주장은 백원우 전 민정비서관이 해명한 내용과 배치되는 부분이 있어 논란이 제기됐다. 백 전 비서관은 지난달 28일 발표한 입장문에서 “우리는 관련 제보를 단순 이첩한 이후 그 사건의 처리와 관련한 후속 조치에 대해 전달받거나 보고받은 바조차 없다”고 주장했던 것이다.

이 같은 논란이 이어지자 윤도한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5일 브리핑에 나서 의혹 보도들을 조목조목 비판했다.

윤 수석은 “전날 브리핑은 첩보가 외부에서 왔다는 것, 고인이 된 수사관은 고래고기 사건으로 울산에 내려간 사실이 확인됐다는 것이 핵심”이라며 “고인이 김 전 시장 관련 첩보를 수집했다는 무차별적 보도가 모두 허위란 사실이 드러났다. 하명수사 의혹도 사실이 아니라는 점이 당연히 밝혀진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 수석은 또 “어제 브리핑에서 제보자가 누구인지 밝혔다면 불법이 됐을 것”이라면서 의도적으로 제보자의 신원을 가린 것 아니냐는 일부의 의혹도 반박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청와대가 연이틀 브리핑을 가지며 적극 해명에 나섰지만 핵심 쟁점에 대해서는 여전히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는 비판이 나온다.

우선 청와대는 제보자에 대해 “특정 정당 소속이 아니다”고 했으나, 야권은 송 부시장이 송철호 시장의 측근이라는 점에서 사실상의 여권 인사라는 공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청와대의 해명대로 송 부시장이 먼저 행정관에게 제보한 것인지, 아니면 정부 측에서 먼저 김 전 시장 측근의 비위 관련 정보를 물어본 것인지는 여전히 입장이 엇갈려 향후 검찰 수사를 통해 규명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측은 이날 문재인 대통령이 민주당 추미애 의원을 새 법무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하면서 이를 통한 분위기 쇄신에 나선 가운데 확인되지 않은 의혹들이 확대·재생산되는 데 대해 곤혹스러운 표정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저희가 파악할 수 있는 선에서 최선을 다했고 그 파악된 바를 여러분께 말씀드린 것”이라며 “누구의 말이 참말인지는 수사기관이 밝혀낼 것”이라고 말했다.

박석호 기자 psh21@busan.com


박석호 기자 psh21@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