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산불 주불 진화 완료…사상 최악 피해 213시간만에 75명 사상

대형 산불 주불 진화 완료…사상 최악 피해 213시간만에 75명 사상

더데이즈 2025-03-30 19:35:36 신고

3줄요약

경상북도와 경상남도를 뒤흔든 초대형 산불이 발생 9일 만에 주불이 모두 진화됐다.

이번 산불은 인명과 재산 모두 역대 최대 피해를 남기며 산림당국과 정부, 지역사회를 충격에 빠뜨렸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지난 21일부터 시작된 경남북 지역 대형 산불이 30일 공식적으로 모두 진화됐다고 밝혔다.

 

 

그러나 불길이 꺼진 자리에는 참혹한 피해와 슬픔만이 남았다.

경북 지역에서는 의성군과 영양군을 포함한 5개 시군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했다. 지난 25일 의성군 단촌면 일대에 산불이 번지던 날 미처 대피하지 못한 80대 남성의 시신이 주택에서 발견됐다. 영양군 석보면에서는 60대 남성이 산불 중상을 입고 병원 치료를 받던 중 끝내 숨졌다.

이로써 경북 지역에서 확인된 사망자는 총 26명에 이른다. 이 가운데에는 진화 작업 중 헬기 추락사고로 목숨을 잃은 고 박현우 기장도 포함돼 있다. 지역별로 보면 영덕군 9명, 영양군 7명, 안동시와 청송군 각각 4명, 의성군 2명으로 집계됐다.

경남 산청군에서는 지난 21일 오후 산청 시천면의 한 야산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이후 불길은 강풍을 타고 하동군과 진주시는 물론 지리산 국립공원 일부 지역까지 확산됐다.

산림당국은 산불 3단계를 발령하고 대규모 진화작업에 돌입했지만 불길은 멈추지 않았다. 급격히 커진 불길은 23일 하동 옥종면, 25일 진주 수곡면까지 번졌고, 26일에는 산청 시천면 구곡산 능선을 넘어 지리산 국립공원 일부 지역을 삼켰다.

주불이 잡힌 것은 발화 213시간 만이었다. 피해 면적은 1858헥타르로 축구장 2600여 개에 달하는 넓이다.

산불 진화는 결코 순탄치 않았다. 특히 지리산 지역은 급경사 지형과 조밀한 숲, 두터운 낙엽층, 강풍이 겹쳐 진화대원들의 발목을 잡았다.

헬기를 통한 공중 진화작업도 쉽지 않았다. 조릿대와 진달래가 밀생한 하층부, 굴참나무와 소나무가 자란 중상층부의 숲은 공중에서 뿌린 물이 지표면에 닿기도 전에 흡수되어 버렸다. 낙엽층은 최대 깊이 1미터에 달했으며 1헥타르당 300톤이 넘는 낙엽이 쌓여 지중화 양상으로 불이 번졌다.

순간풍속 초당 10미터에서 20미터에 달하는 강풍은 불씨를 사방으로 흩뿌리며 진화를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수진화대와 공중진화대, 수십 대의 진화 헬기가 밤낮을 가리지 않고 투입됐고 주한미군의 치누크 헬기까지 동원되며 진화에 결정적 역할을 했다.

산불이 장기화되면서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는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경남 산불에서는 진화작업에 투입됐던 산불진화대원과 공무원 4명이 불길에 고립돼 목숨을 잃었다.

부상자는 10명에 달했다. 이재민도 무려 2158명이 발생했으며 주택 28채, 공장 2곳, 종교시설 2곳을 포함해 총 84개 시설이 피해를 입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이번 산불로 인한 최종 인명피해는 사망자 30명, 부상자 45명으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산불 피해 영향 구역은 총 4만8000헥타르로 추산됐으며 주택 3000여 동이 전소됐고 국가유산 30건, 농업시설 2000여 건 등 막대한 시설 피해도 발생했다. 이는 국내 산불 역사상 최악의 인명과 재산피해로 기록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피해 복구와 이재민 지원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피해 주민들을 위해 공공기관 연수원과 민간 숙박시설을 임시 숙소로 제공하고 있으며 생업지 인근에는 임시조립주택을 설치할 계획이다.

긴급생활 안정지원금도 신속히 지급되고 있으며 심리 지원과 의료 지원도 병행 중이다. 또 농업시설 피해 복구를 위해 농기계와 종자, 육묘 등을 지원하고 피해 농가의 영농 재개를 돕고 있다. 통신비 감면, 건강보험료 경감 등 민생 지원도 시행되고 있다.

산불 이후 약 1만 명의 자원봉사자가 이재민 지원과 피해 복구에 참여했고 전국재해구호협회 등을 통해 약 550억 원의 성금이 모였다.

그러나 정부는 이번 산불이 남긴 피해가 단기간에 복구될 수준이 아니라며 장기적인 지원과 복구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이주 단지 조성, 주거안정 대책, 피해지역 복구 계획 등 다각적인 지원 방안을 검토 중이다.

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인 고기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본부장은 이번 산불의 참혹한 피해를 언급하며 다시는 이 같은 재난이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한 예방과 대응을 약속했다.

산불 위험지역에 대한 수시 현장 점검과 진화인력 장비 선제 배치는 물론 드론 등 첨단장비를 활용한 산불 감시 시스템을 강화할 방침이다. 또한 지역 주민들과 함께하는 자율순찰도 확대 운영해 산불 초기 대응 능력을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앞으로 산불의 대형화와 장기화를 고려해 주민 사전 대피 계획도 보다 세밀하게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산불에서 확인된 것처럼 산불은 순식간에 대형 재난으로 확산될 수 있어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 시스템이 절실하다는 판단에서다.

산불의 불길은 꺼졌지만 피해 지역 주민들의 삶은 여전히 재로 뒤덮인 채 남아 있다. 삶의 터전을 잃은 이재민들이 하루빨리 일상을 되찾을 수 있도록 정부와 사회 전체의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지원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Copyright ⓒ 더데이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