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테마파크 산업 동향 및 트렌드 변화
- 초 1선 도시에서 2, 3선 도시로의 침투 -
- 신기술, 빅 IP, 개성화 및 주문형 수요 관객과의 심층 공감 인기 -
중국 베이징 유니버셜 스튜디오가 9월 1일 부로 시범 운영이 시작되면서 추석 및 국경절 연휴에 호황을 이루었다. 하루 평균소비금액이 천 위안에서 3천 위안을 소비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관광객은 발길이 끊이지 않았으며 티켓 예매율이 가장 핫한 관광지로 부상하였다.
산업배경 및 소비지출 현황
유럽, 미국 등 선진국의 1인당 GDP가 $6,000 ~ $30,000 수준에 도달하는 경우, 개인소비가 가장 빠른 성장을 보인 것처럼 2012년 중국의 1인당 GDP는 약 4만 위안으로 6,000$에 이르렀고, 중국의 문화·오락 소비도 빠른 성장 궤도에 진입하기 시작하였다.
2013-2020 1인당 평균 GDP
(단위: 위안)
자료 : 국민경제통계공보, 지연자순 정리자료
2018년 중국 소비금액의 GDP 공헌율은 76.2%에 달하였고, 의식주에서 더 나아가 건강, 과시성 소비, 문화·오락 소비비중이 한층 향상되었다. 2019년 중국 주민의 1인당 교육, 문화·오락 소비금액은 2,513위안 으로 1인당 소비지출의 11.7% 차지하고 있다.
2013-2020 1인당 교육, 문화, 오락 소비지출
(단위: 위안)
자료 : 국민경제통계공보, 지연컨설팅 정리자료
중국의 주요 테마파크 현황
지연컨설팅의 <2021-2027년 중국 테마파크 산업의 시장현황 및 투자발전 잠재력보고>에 따르면 중국경제의 빠른 성장으로, 테마파크 산업 또한 호황을 맞이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지역적으로 보면 현재 대형 테마파크는 주로 광저우, 선전을 중심으로 하는 주강삼각주, 상하이, 쑤저우를 중심으로 한 장강삼각주, 환발해 지역 및 창사, 우한, 청두 등 중서부 일선도시에 집중 분포되어 있는 만큼 중국의 지역경제발전수준 및 관광시장 구조와 기본적으로 일치하다.
2020년 중국 대형 테마파크 분포상황
자료 : AECOM, 지연컨설팅 정리
중국내 유명 테마파크 운영기업 상품 및 발전현황
기업 |
제품 및 브랜드 |
소재지역 및 개업시간(예정 포함) |
업태조합 |
디즈니 (迪士尼) |
디즈니랜드, 신기왕국, 할리우드스튜디오, 디즈니 스튜디오 랜드 등 |
중국홍콩(2005) 상하이(2016) |
테마파크를 중심으로 주변 호텔, 상업거리, 캠핑장, 스포츠시설등 |
유니버셜 스튜디오 (环球影城) |
유니버셜 스튜디오, 메이플스토리 |
베이징(2021년) |
테마파크를 중심으로 주변 호텔, 상업가, 마을등 |
화교성 (华侨城) |
欢乐谷,玛雅海滩水乐园, 锦绣中华, 中国民俗文化村,世界之窗,光明农场大观园, 麦鲁小城,卡乐星球 |
선전(1998), 베이징(2006), 청두우(2009), 상하이(2009), 우한(2012), 텐진(2013), 충칭(2017), 청두우(2018), 난창(2019) |
놀이기구 위주의 랜드, 워터파크 및 생태단지공연등 종합적 업태 |
장융 (长隆) |
테마파크 군 |
광저우(1997년), 주하이(2014년), 칭위안(2020년) |
테마파크 단지(놀이기구랜드, 워터파크, 야생동물원, 해양동물등)와 서커스를 중심으로 한 리조트 |
화강팡터 (华强方特) |
方特欢乐世界, 方特梦幻王国,方特水上乐园,方特东方神话乐园,方特科幻乐园,方特探险王国 |
충칭(2006), 우후(2007-2015),타이안(2010), 싼터우(2010), 선양(2011), 칭도우(2011), 주저우(2011-2015), 정저우(2012-2015), 샤먼(2013), 난퉁(2013), 텐진(2014), 지난(2015), 쟈위관(2015), 따퉁(2015), 샤먼(2017), 난닝(2018), 창사(2019), 쟈위관(2019), 한단(2019), 징저우(2019) |
영화 및 음악을 특색으로 하는 놀이랜드; 테마파크 혹은 개체발전; 현존 상품 외 중화부흥 주제로의 랜드 건설중, 중화문화유산랜드 기획중, 부대시설로 호텔, 골프장등 조성 |
하이창 (海昌) |
아쿠아리아움, 渔人码头,加勒比海水世界 |
다롄(2002), 칭다우(2006), 다롄(2009), 충칭(2009), 옌타이(2009), 청두우(2010), 텐진(2010), 우한(2011), 상하이(2017) |
해양동물 관상, 공연 등 핵심내용과 부대시설로 호텔, 상업거리등; 워터랜드등 제품 |
융촹 (融创) |
테마파크, 빙설세계, 워터파크, 시네마 월드, 스포츠월드 |
광저우(2019), 하얼빈(2017), 시쐉반나(2015), 쿤밍(2019), 칭도우(2018), 우시(2019), 난창(2016), 허페이(2016), 지난(2021), 청두우(2020), 충칭(2020), 귀이린(2021) |
테마파크, 워터랜드, 빙설세계등, 부대시설로 융촹몰, 호텔, 쇼장, 바의 거리등 종합시설이 구비된 리조트 |
자료 : 중국사회과학원관광연구센터
중국의 테마파크 산업발전은 주로 4개 단계를 거쳤는데 1단계는 놀이동산, 원림, 영화드라마 촬영지 위주; 2단계는 미니 축소경관, 영화드라마 시티 및 공연 위주; 3단계는 현대화 주제문화 육성; 4단계는 종합산업체인+신기술+빅 IP 활용 단계이다.
현재 중국의 초 1선 도시 주변의 테마파크는 인구밀집도와 1인당 GDP 수준이 높은 지역에 분포되어 있어 호황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진입기업이 많아 포화상태를 이루고 있다. 디즈니, 유니버셜 스튜디오 등 글로벌기업의 도전을 받고 있는 상황으로 일부 운영기업은 2, 3선 도시로 눈길을 돌리고 있다. 현재 건설 중인 테마파크 산업의 선정지를 보면 토지와 운영자금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2, 3선 도시를 선정하였고 소비수요 폭발 등 가능성을 고려하면 향후 테마파크 분포구조는 2, 3선 도시로의 확장을 보여주고 있다. 소비력 향상으로 2, 3선 도시의 주민 또한 오락소비에 대한 수요가 점점 커가고 있다. 기존 지역을 기초로 청두, 충칭, 안휘, 정저우, 창사, 시안 등 지역이 관심지역으로 부상되고 있다.
2020년 중국 현존/건설 중인 테마파크
자료 : AECOM, 지연컨설팅 정리
테마파크 소비시장 트렌드
최근 둘째아이 및 셋째아이 출산을 허용하는 인구정책 변화 및 중국의 8090허우가 가정의 주축이 되면서, 단거리 관광, 아이동반 여행이 주요 소비트렌드가 되어가고 있다. 그리고 해당추세에 맞춰, 테마파크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테마파크의 경우, 아이들이 선호하는 장소일 뿐만 아니라 대부분 도심 혹은 주변 외곽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주변 및 단거리 관광 속성을 보여 동반여행의 주요 목적지 중 한 곳으로 부상학4h 하나로 부상하고 있다.
전통적인 관광지에 대한 수요에서 문화, 상업, 관광 등 다종 형태를 구비한 종합체가 최근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런 배경 하 ‘테마파크+’를 핵심 상품으로 하는 모델이 문화관광 시장의 주요 추세를 이루고 있다.
복합형 문화 IP가 테마파크와 관광객의 심층 교점 창구가 되고 있다. 테마파크의 체인화, 그룹화 발전추세가 현저하고 타지확장이 가속화 되고 있는 우수 IP로 구성된 테마파크의 관광객 흡수력은 매우 강하다. 문화관광이 어우러지는 시대에서 복합형 문화 IP는 테마파크 운영자가 관광객에 심층 서비스 내용을 제공할 수 있는 입구가 될 것이며 재미와 가치에 대한 시나리오 교환의 연결점이 될 것이다.
시사점
단일 파크형 모델에서 전 산업체인으로 확장중이며 가족 시장에 대한 주목, 혁신상품 교대 및 상품유형을 풍부화 하고 지속적인 현대
기술 활용을 통하여 산업 업그레이드 추진 및 문화관광 산업과의 융합을 강화하여 관광객에 개성화, 주문형 오락게임 체험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중국시장에 영향을 주고 있는 한류 그리고 최근 넷플릭스를 통하여 전 세계에서 인기를 끈 오징어 게임 등 콘텐츠 산업이 발달한
만큼 독자적인 한국문화 및 IP로 구성된 테마파크 혹은 합자로 한국의 획기적인 기획능력 및 아이디어를 활용한 관련 산업 진출을 검토
해 볼만 하다.
중국 테마파크연구원 임환걸 원장 인터뷰에 따르면 향후 투자구조에도 상응한 변화가 올 것으로 신규 테마파크 개장의 영향뿐 만 아니
라 1년 넘게 지속된 코로나 19 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 따라서 북방의 기후원인과 코로나와 유사한 바이러스 사태에 대한 사전판단이
불가한 상태에서 투자자 차원에서 남방을 더 선호할 것으로 보인다고 판단된다. 초기 투자가 크고 회수기는 길고 인원집거와 티켓 가격
이 높은 특징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테마파크 산업의 새로운 변혁과 업그레이드도 필요한 시점이다.
자료 : AECOM, 지연컨설팅, 중국사회과학원관광연구센터, KOTRA 선양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