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냐, 상업용 에어컨 수요가 증가 추세라고?
- 현대적인 빌딩, 호텔 및 대형 쇼핑몰 등의 증가로 상업용 에어컨 수요 증가 추세 -
- 가격 경쟁력, 현지 사후서비스 등이 시장 진출 성공 좌우 -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는 전기 접근성 증가, 경제성장, 기후변화에 따른 기온 상승 등 3가지 요인이 가정 및 기업에 대한 쾌적 냉방 접근성 및 필요성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케냐에서는 최근 4-5년간 신규 상업건물 및 대형 쇼핑몰, 호텔 등의 증가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케냐 에어컨 수요는 격년 주기로 증가 중
케냐에는 에어컨 제조업체가 없기 때문에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에어컨(HS 코드 8415)의 수입 규모는2015년도 1956만 달러로 2014년대비 20.4% 증가하였다가 2016년에는 1898만 달러로 소폭하락 했다. 2017년에는 2528만 달러로 33.2% 증가했다가 2018년에 2400만 달러를 수입하며 다시 5.1% 하락하였다. 2019년에는 3216만 달러로 34% 증가하는 등 격년을 주기로 증가세를 보인다.
케냐 에어컨 시장규모 추이 (HS 코드8415 기준)
(단위: US$ 천)
자료: Global Trade Atlas
케냐에는 일반 가정용 에어컨(냉온방 제품 포함)보다는 상업용 에어컨의 수요가 높다. 이는 현대적인 빌딩 및 대형 쇼핑몰의 수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상업용 에어컨의 수요를 더욱 견인하고 있는 건 케냐 호텔수의 증가에 있다. 특히 비즈니스 및 관광 목적의 여행자의 수요 증가함에 따라 나이로비 및 기타 주요 도시의 국제호텔 체인점이 늘고 있다.
아프리카 호텔 체인 개발 파이프라인 2020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케냐에 개발중인 호텔 수는 23개, 3588객실로 이중 65%가 공사 중에 있다.
Hotel Chain Development Pipelines in Africa
|
국가 |
호텔 수 |
객실 수(건축중인 객실 수) |
1 |
이집트 |
54 |
17,163 (7,977) |
2 |
나이지리아 |
48 |
7,809 (3,196 |
3 |
에티오피아 |
35 |
6,356 (3,276 |
4 |
모로코 |
35 |
5,530 (4,273) |
5 |
카보베르데 |
18 |
5,307 (4,388) |
6 |
남아공 |
26 |
4,092 (3,202) |
7 |
케냐 |
23 |
3,588 (2,328) |
자료: Hotel Chain Development Pipelines in Africa 2020
미국-중국-한국이 시장을 주도하는 중
최근 3년간 케냐의 에어컨((HS Code 8415) 수입액은 2017년에는 2528만 달러, 2018년에 2400만 달러, 2019년에는 3216만 달러였다. 주요 수입국으로는 미국, 중국, 한국으로 2019년 기준 미국은 1333만 달러(41.5%), 중국은 867만 달러(26.9%), 한국은 140만 달러(4.4%)를 기록하였다.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2018년 대비 11.6% 하락하였다. 미국에서 수입되는 대다수의 제품은 에어컨 제품의 부품(HS 코드841590)으로 미국 전체 수입액의 99%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 3년간 케냐 에어컨 (HS Code 8415) 상위 10개국 및 수입동향
(단위: US$ 천, %)
순위 |
국가 |
2017년 |
2018년 |
2019년 |
19/'18 |
|||
금액 |
점유율 |
금액 |
점유율 |
금액 |
점유율 |
|||
전체 |
25,281 |
100 |
24,003 |
100 |
32,164 |
100 |
34.0 |
|
1 |
미국 |
9,013 |
35.7 |
11,758 |
49.0 |
13,332 |
41.5 |
13.4 |
2 |
중국 |
7,250 |
28.7 |
4,185 |
17.4 |
8,665 |
26.9 |
107.1 |
3 |
대한민국 |
1,322 |
5.2 |
1,583 |
6.6 |
1,400 |
4.4 |
-11.6 |
4 |
태국 |
960 |
3.8 |
761 |
3.2 |
1,196 |
3.7 |
57.0 |
5 |
인도 |
1,147 |
4.5 |
669 |
2.8 |
1,034 |
3.2 |
54.7 |
6 |
불가리아 |
- |
0 |
106 |
0.4 |
708 |
2.2 |
564.5 |
7 |
UAE |
532 |
2.1 |
746 |
3.1 |
574 |
1.8 |
-23.0 |
8 |
영국 |
1,098 |
4.3 |
233 |
1.0 |
552 |
1.7 |
136.8 |
9 |
남아공 |
380 |
1.5 |
484 |
2.0 |
540 |
1.7 |
11.6 |
10 |
홍콩 |
103 |
0.4 |
90 |
0.4 |
521 |
1.6 |
479.8 |
자료: Global Trade Atlas
제품별 수입규모를 살펴보면 2019년 기준으로 에어컨 부품이 1529만 달러(47.5%)로 가장 많이 수입하였고 창문, 벽, 천장, 바닥 등에 고정되는 에어컨이 1065만 달러(33.1%) 두번째로 많이 수입하고 있다. 기존 설치된 에어컨의 수리 및 유지보수를 위해 에어컨 부품의 수입이 많다.
최근 3년간 제품별 수입 동향
(단위: US$ 천, %)
HS 코드 |
제품설명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금액 |
점유율 |
금액 |
점유율 |
금액 |
점유율 |
||
841590 |
부품 |
11,115 |
44.0 |
13,660 |
56.9 |
15,285 |
47.5 |
841510 |
창문, 벽, 천장, 바닥에 고정되도록 설계된 것 |
11,144 |
44.1 |
7,012 |
29.2 |
10,652 |
33.1 |
841582 |
기타-냉각유닛을 결합한 것으로 한정 |
1,072 |
4.2 |
1,129 |
4.7 |
3,301 |
10.3 |
841581 |
기타-냉각유닛과 냉ㆍ열순환 반전용 밸브를 결합한 것 |
741 |
2.9 |
1,323 |
5.5 |
1,952 |
6.1 |
841583 |
기타-냉각유닛을 결합하지 않은 것 |
1,006 |
4.0 |
595 |
2.5 |
788 |
2.5 |
841520 |
자동차용 |
204 |
0.8 |
285 |
1.2 |
185 |
0.6 |
자료: Global Trade Atlas
주요 경쟁사는 중국산 OEM 제품
케냐에서 판매되고 있는 에어컨 브랜드에는LG, Samsung, Daikin, Carrier, Von Hotpoint, Ramtons, Gree 등 다양하다. 대부분의 해외 제조사의 경우는 케냐내 독점 에이전트를 확보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이들 에이전트는 설치 및 유지보수를 수행하는 업체를 통해서 유통하거나 에이전트가 수입 및 설치, 유지보수까지 하는 곳도 있어 소비자들에게 직접 판매하기도 한다. Von Hotpoint, Ramtons등의 케냐 가전브랜드 제품들은 OEM 방식으로 중국에서 제조하여 공급하고 있다.
유통구조
자료: 나이로비 무역관
수입관세 및 수출 인증은?
(수입관세) Hs코드별 수입 관세는 아래와 같다.
Hs 코드 |
841510 |
8415.20 |
8415.81 |
841582 |
841583 |
841590 |
세율 |
25%/unit |
25%/unit |
25%/unit |
25%/unit |
25%/unit |
10%/kg |
그 밖의 세금에는 부과세 14% (코로나19로 2021년 7월 1일까지 14% 인하, 이후에는 기존16% 부과), 철도개발세(RDL) 2%, 수입신고세(IDF): 3.5%가 있다.
(인증서) 케냐 표준청이 수출전 사전검사(Pre-Export Verification of Conformity, PVoC) 대행 에이전트로 한국 내에 지정한 검사기관을 통해서 수출 적합인증서(Certificate of Conformity)를 받아야 함한다 한국에는 Intertek, Cotecna, SGS가 사전 선적 검사를 대행하고 있다.
- Intertek 웹사이트: http://www.intertek.co.kr/
- Cotecna 웹사이트: https://www.cotecna.kr/
- SGS 웹사이트: https://www.sgsgroup.kr/
현지 수입상이 말하는 케냐 에어컨 시장은?
케냐의 에어컨디셔 수입 및 보급상인 HYPER-COOL air-condition사의 조이스 완구(Joyce Wangu)씨와 인터뷰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ㅇ 케냐의 실내 에어컨 시장을 어떻게 보는가?
ㅇ 케냐에서는 어떤 에어컨이 인기가 있는가?
|
시사점
케냐의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현대적인 건물 및 대형 쇼핑몰의 증가로 상업용 에어컨의 수요가 증가세를 보여왔다. 특히 케냐의 호텔 산업이 호황을 이루면서 에어컨 수요를 견인하였다. 그러나 코로나19발병으로 케냐의 관광산업이 마비되면서 호텔개발이 지연되거나 미뤄지고 있어 2020년 에어컨 수입도 감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코로나 이후에 다시 수요 반등세가 될 것으로 보여, 이에 대한 시장진출 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다.
케냐의 에어컨 수입을 보면 에어컨 부품에 대한 수입이 거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그만큼 제대로된 제품 선호도가 증가 기존 설치한 에어컨의 유지보수에 대한 부품의 수요가 많은 것으로 분석된다.
에어컨도 저가의 중국 및 중국OEM제품이 많이 들어오는 추세로 가격경쟁력도 필수적이며, 유지보수가 꼭 필요한 제품이기때문에 A/S 제공과 안정적으로 부품 조달이 잘 되어야 할 것이다.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Hotel Chain Development Pipelines in Africa 2020, 현지 유통업체 인터뷰, Jumia 온라인 쇼핑몰 및 제조사 홈페이지, 현지 일간지 종합, KOTRA 나이로비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