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찰 리뷰] 미래를 꿈꾸는 천년 고찰 '의성 고운사'의 어제를 돞아보다
천년을 쌓고 쌓아온 고운사의 시간과 이야기는 지금 우리가 한번 더 기억했으면 하는 마음으로 고운사의 과거 모습을 소개해 본다.
고운사는 신라 신문왕 원년(서기 681년)에 해동 화엄종의 시조이신 의상대사가 창건하신 사찰이다.
부용반개형상(연꽃이 반쯤 핀 형국)의 천하명당에 위치한 이 사찰은 원래 高雲寺(높이 뜬 구름이라는 의미)였다.
신라말 불교와 유교ㆍ도교에 모두 통달하여 신선이 되었다는 최치원이 여지ㆍ여사 양대사와 함께 가운루(경북 유형문화재 제151호)와 우화루를 건축한 이후 그의 호인 孤雲을 빌어서 孤雲寺라 하였다.
고려 태조 왕건의 스승이자 풍수지리사상의 시조로 받들어지는 도선국사가 가람을 크게 일으켜 세웠으며, 그 당시 사찰의 규모가 五法堂十房舍(5동의 법당과 10개의 요사채)였다고 한다.
현존하는 약사전의 부처님(보물 제246호)과 나한전 앞의 삼층석탑(경북 문화재자료 제28호)은 도선국사가 조성한 것들이다. 특히 고운사는 해동제일지장도량이라 불리는 지장보살영험성지이다.
경내에는 대웅전, 극락전, 관음전, 금강문, 우화루, 고금당 등의 건물이 있다. 소장된 중요 문화재로는 의성 고운사 석조여래좌상, 고운사 삼층석탑, 고운사 가운루, 의성 고운사 연수전 등이 있다. 조선 영조가 내린 어첩을 보관하던 연수전은 1902년 고종의 무병장수를 기원하기 위해서 새로 지었다.
일제시대에는 조선불교 31총본산의 하나였고 지금은 조계종 제16교구의 본사로 의성, 안동, 영주, 봉화, 영양에 산재한 60여 대소사찰들을 관장하고 있다.
사세가 번창했을 당시에는 366간의 건물에 200여 대중이 상주했던 대도량이 해방이후 쇄락하여 많은 사찰재산이 망실되고 지금은 이십여명 대중이 상주하는 교구본사로는 작은 규모의 사찰로 전락했다.
하지만 10여년전부터 중창불사의 뜨거운 원력으로 주변을 정리하고 낡은 건물들을 수리 및 단청하여 지금은 위풍당당한 본산의 위상과 소박하고 절제된 수행지로서의 이미지가 절묘하게 조화를 이루고 있다.
이 정도 규모 이상의 고찰로서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입장료를 받지 않는 고운사는 민가로부터 3km 정도 떨어져 오염되지 않은 순수함을 자랑하며 일주문에 이르는 솔밭 사이 비포장길은 부처님께 진실된 마음으로 다소곳이 다가서는 불자들의 마음처럼 포근하고 정감넘치는 모양을 하고 있다.
옛부터 죽어서 저승에 가면 염라대왕이 고운사에 다녀왔느냐고 물었다고 하는데 지장보살님의 원만자비하신 풍모는 물론이거니와 명부십대왕의 상호와 복장도 다른 사찰에서는 보기 힘든 위엄과 정교함을 자랑한다.
고운사로 가는 길 좌우에는 길게 이어진 소나무 숲이 울창했고, '솔굴'이라고 불리는 500m에 달하는 유명한 산책로다. 안타깝게도 소나무가 산불의 가속 연료가 되어 불길이 계속되었다고 한다. 그 결과 2025년 3월 25일 고운사는 완전히 소실됐다.
가운루, 만덕당, 극락전, 우화루, 고운대암, 연수전 등 고운사 경내 많은 건물이 잿더미가 됐다. 불상, 불화 등 이동이 가능한 성보는 안전한 곳으로 옮겨졌다. 이를 씨앗 삼아 재건에 나설 것이다. 다시금 고운사의 아름다운 사계를 볼 수 있기를 바래본다.
고운사의 사계
위치 : 경북 의성군 단촌면 고운사길 415(구계리116)
홈페이지 : http://www.gounsa.net<저작권자 ⓒ리뷰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