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 Culture

[책읽아웃] 산문은 주방을 공개하는 것 같아요 (G. 김애란 작가)

[채널예스] 인터뷰1.jpg

?


“초겨울이다. 초봄, 초여름처럼 이마에 초 자를 새긴 바람이 푸른 띠를 길게 나풀거리며 우리 앞을 지나간다. 우리가 여전히 해와 별, 달의 운행을 기준으로 마디가 잘리는 시간 안에 산다는 게 이상하고 기껍다. 그 계절, 부르는 이름이 많아 좋다.”

?

안녕하세요, <오은의 옹기종기> 오은입니다. 김애란 작가님의 산문집 ?『잊기 좋은 이름』? 의 한 부분이었습니다. ?『잊기 좋은 이름』? 은 김애란 작가님이 등단 17년 만에 낸 첫 산문집인데요. 여기에는 사람의 이름, 풍경의 이름, 사건의 이름이 가득 담겨 있습니다. 김애란 작가님은 “그 이름과 시간을 오래 기억하고 싶”었다고 말하는데요. 오늘 ‘책읽아웃’ <오은의 옹기종기>는요. 김애란 작가님을 모시고 이야기 나눕니다. 늘 긴장한 듯, 차분하게 말씀하시는, 그래서 금방 우리의 마음을 사로잡는 김애란 작가님 섬세한 목소리에 귀 기울여주세요.

?

<인터뷰 - 김애란 편>

?

오은 : 홀수로 된 제목을 좋아하신다고 하는데 공교롭게도 첫 산문집 제목은 짝수예요. 괜찮으셨어요?


김애란: 예. 특별히 좋아하는 것이 있지만 꼭 ‘이래야 해’라고 고집부리는 건 없는 편이라서요. 또 두 개씩 짝 지어 있는 제목이 외로워 보이지 않아서 괜찮았습니다.


오은 : 저와는 알고 지낸 지 꽤 오래 됐는데요. 제가 김애란 작가님과 동갑인 줄 알고 10년 가까이 “애란아”라고 불렀어요.(웃음) 저희가 같은 해에 등단했거든요. 제가 “애란아”라고 하면 늘 “응, 은아”라고 답을 해주셔서 한동안 의심을 안 했어요. 제가 그렇게 반말하는데 왜 10년 동안 함구하고 계셨나요?(웃음)
김애란: 오은 시인이 누구에게나 그런다는 걸 알아서(웃음) 전혀 서운하지 않고 정겨웠어요. 그런데 <책읽아웃> 섭외 문자를 주실 때 새삼 ‘누나’라고 하더라고요. 최근에 번역 관련 행사를 함께 했는데요. 진행을 정말 잘하셔서요. 오늘도 의지하는 마음으로 나왔습니다.


오은 : 지금까지 <책읽아웃> 들어본 적 있으세요?


김애란 : 활자 매체가 더 익숙한 편이라 <채널예스>에 정리되어서 나오는 기사를 많이 봤고요. 출연하게 되어서 몇 편, 영상으로도 보고, 음성으로도 들었어요. 특히 김정선 작가님 편이 무척 좋았습니다.

?

오은 : ?『잊기 좋은 이름』? 출간 후 많이 바쁘셨을 것 같은데 어떻게 지내셨어요?

?

?

800x0.jpg

???????????????????????????????????????????????????? da37592b497061ee62b1b603369a0e4a.jpg


?

김애란 : 보통 새 책 내기 한 달 전, 그리고 책 낸 후 두 달 정도는 좀 정신이 없는 것 같아요. 이제 거의 마무리 됐어요.


오은 : <책읽아웃> 출연이 공식 행사로는 마지막이 될 수도 있겠군요?


김애란 : 작은 서점에서 낭독회가 하나 있고요. 그것으로 마무리 하고 다른 책으로 넘어가려고 하고 있어요.


오은 : 소설가 분들은 ‘다음 책으로 넘어간다’는 표현을 쓰시더라고요. 한 권이 나오고 다음 책으로 넘어갈 때의 루틴이 있는 건가요?


김애란 : 매듭처럼 확실하고 분명한 마디들은 없고요. 내가 언제 작별했는지 잘 모르는 경우도 있는데요. 사람과도 그렇잖아요. 어느 순간 헤어져 있는데 언제 작별한 건지 모른 채 헤어진 경우도 많죠. 서너 권 책을 냈을 때까지는 저도 그런 마음이 들었고요. 최근에 들어서야 하나의 책과 작별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다음 책을 내는 거구나, 그래야 이 책에 대한 평가나 반응이나 다짐과도 잘 헤어질 수 있는 거구나, 라는 걸 깨달았어요.


오은 : 이렇게 활동으로 바쁠 때 되뇌는 말이 있으세요?


김애란 : 일단은 내가 이 일을 좋아한다, 좋아하지 않는다, 로 판단하지 않고요. 필요한 일이다, 라는 기준으로 움직이고 있어요. 또 필요하다 하더라도 이게 어느 때는 나를 소진시키는 건지 성장시키는 건지 판단이 잘 안 될 때가 있잖아요. 예전에는 그 구분이 확실하다고 생각했는데요. 한편으로 무 자르듯 구분되는 경우가 많지는 않은 것 같더라고요. 저도 늘 잘하는 건 아니지만 어떤 일은 해보고 나서야 사후적으로 해석되는 일들도 많아서요. 그냥 시행착오를 겪지 않고 살기란 불가능하니까 어떤 일을 겪는다면, 특히 부정적인 경험을 한다면 데이터를 쌓았다고 생각하자, 패를 잃은 게 아니라 다음에 더 나은 결정을 할 수 있는 데이터를 쌓았다고 생각하자, 마음 먹게 됐어요.


오은 : 작업 루틴이 궁금해요. 어떻게 작업을 하시는지 알고 싶어요.


김애란 : 그때그때 다른데요. 일 년 정도 작은 방을 구한 적이 있었는데 가서 열심히 청소를 하고, 자더라고요.(웃음) 지금은 주로 집이나 카페 이용하고 있고요. 집에서 작업할 때는 일어나서 제일 먼저 주위를 정리해요. 무언가 미루고 있다는 느낌이 안 좋은가 봐요. 더 이상 할 일이 없다는 마음이 됐을 때, 주변이 깨끗해졌을 때 시작하는 것 좋아해요. 일어나면 신문이든 책이든 읽기부터 시작하는데요. 운동을 며칠 거르면 몸이 찌뿌둥하고 그렇잖아요. 저는 다독가는 아니지만 읽기를 며칠 거르면 정신이나 마음 같은 게 찌뿌둥하고 약간 초조하고 그렇더라고요.


오은 : 좋아하는 문장들을 타이핑하면서 몸을 푼다고 들었어요.


김애란 : 책을 읽을 때 연필로 밑줄 긋는 것을 좋아하는데요. 그 시기에 읽었던 책들을 몇 권 쌓아놓고 컴퓨터 부팅시키듯, 준비운동 하듯 밑줄 친 문장을 한글 창에 옮겨 적어요.


오은 : 작가님께서 특별히 자극을 받는 장면도 궁금해요.


김애란 : 요즘은 스마트폰 덕분에 신문 기사를 스크랩하거나 복사하기 좋게 되었잖아요. 그날 읽은 기사를 메모로 옮기기도 하고, 제 단상을 덧붙이기도 하는데요. 감각 운동이에요. 식물로 치면 끈끈이 주걱이나 파리지옥처럼 내 몸에 점성이나 자력을 높여 놓자, 의미 심장한 소재나 사건이 왔을 때 놓치지 않도록 평소에 몸을 끈적끈적하게 만들어 놓자, 하는 생각을 하고요. 그런 식으로 메모를 해두는 것이 연습입니다.


오은 : 최근 인터뷰에서 “김세희 작가가 그린 삶의 구체성, 박상영 작가의 에너지와 활달함, 김봉곤 작가의 섬세함과 에너지에서 기분 좋은 자극을 받습니다.”라는 말씀을 하셨더라고요. 동료, 후배 작가들의 작품에서 어떤 자극을 받으시는지 궁금해요.


김애란 : 그런데요. 이것도 직업병이라 그 인터뷰를 보고 제가 세 작가 분을 소개하면서 같은 어휘 ‘에너지’라는 말을 두 번 반복한 게 마음에 걸리더라고요. 이왕이면 다르게 표현했으면 좋았을 텐데, 생각했어요.(웃음) 다른 곳도 비슷하겠지만 한국은 변화 속도도 빠르고, 사건들이 워낙 많이 일어나는 곳이잖아요. 그래서 특히 단편 같은 경우는 내 또래, 동료 작가들이 나와 같이 한 경험을 지금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지 알고 싶어서 관심을 갖고 있어요.


오은 : 지금 바꿔볼까요? 김세희 작가님의 구체성, 박상영 작가님의 에너지와 활달함, 김봉곤 작가님의 섬세함과 에너지 가운데 어떤 걸 바꿀 수 있을까요?


김애란 : 일단 박상영 작가님의 에너지를 빼면 안 될 것 같고요.(웃음) 김봉곤 작가님의 ‘섬세함과 성실함’이라고 할까요? 많이 쓴다는 의미의 성실함이 아니고요. 많은 작가가 그렇겠지만 자기 감정을 옆에서도 보고, 뒤에서도 보고, 앞에서도 보잖아요. 그 자세가 성실이라고 생각하는데요. 김봉곤 작가님의 성실함도 그 안에서 나오는 것 같아요.


오은 : 이쯤에서 김애란 작가님 소개를 해드리겠습니다. 자, 소개 나갑니다. “소설가. 인간 내부의 ‘이상한 선(善)’을 궁금해하며 살고 싶은 사람. 목소리 크고 일 잘하는 어머니와 말수 적고 노래 잘하는 아버지의 셋째 딸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종알종알, 패를 맞추듯 말을 맞추며 떠들어대는 것을 좋아했다. 초등학교에 들어가 한글을 깨쳤을 때, 자음 열네 개, 모음 열 개가 적힌 스물네 개의 활자 낱말 카드를 보고 느꼈던 경이와 설렘을 기억한다. 고3 여름방학 때, 사범대학에 가라는 어머니 뜻을 거르고 몰래 예술학교 시험을 봤다. 부모에게 한 결정적 거짓말, 그들의 기대를 배반한 이 거짓말이 인생을 바꾼 셈이다.


대학교 3학년 때, 과실에서 밤을 새워 쓴 원고를 들고 광화문까지 직접 가서 문학상에 응모했다. 접수를 하고 나니 그제야 허기가 밀려와서 함께 간 후배와 햄버거를 먹었는데 이상한 간절함과 서러움이 밀려들어 얼마나 목이 메었는지 모른다. 그때 응모한 단편 「노크하지 않는 집」으로 2002년 제1회 대산대학문학상에 당선되어 작가 활동을 시작했다.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 대산면에서 열아홉 살 때까지 자랐지만 등단 이력과 고향 이름이 같은 것은 순전히 우연이다. 첫 책 ?『달려라 아비』? 가 출간되었을 때, 대형서점에 가서 한참 책 주변을 기웃거렸다. 무엇보다 내 책을 만져볼 수 있어서 참 좋았다.


2013년 「침묵의 미래」로 이상문학상 대상을 수상한 김애란. 당시 그의 나이는 33세로, 이는 한강 작가가 세운 최연소 수상 기록을 경신한 것이다. 오늘 쓴 문장을 다음 날 다시 타이핑하고, 다다음 날 다시 첫 문장부터 옮겨 적으며 그렇게 매번 처음으로 돌아가 적는다. 책으로 묶을 때는 모든 텍스트를 리타이핑 한다. 김애란 소설의 제1독자는 쌍둥이 언니다. 살면서 한 번도 궁금하지 않던 게 궁금해질 때는 무턱대고 부모님께 전화를 건다. 카페인과 노래로 하루를 시작할 때가 늘 행복하다.”


김애란 : 부끄럽네요.(웃음)


오은 : 어렸을 때 가장 좋아하던 단어, 기억 나나요?


김애란 : 어렸을 때는 어땠는지 잘 모르겠는데요. 글 쓰면서 자주 쓰거나 좋아한 단어는 ‘바람’이더라고요. 희망이나 소망을 뜻하는 ‘바람’이기도 할 텐데요. 제가 더 적극적으로 많이 썼던 뜻은 불어오는 바람이에요. 바람을 맞았던 찰나가 스냅사진처럼 남아 있는 장면들이 있어요. 그네를 타면서 힘차게 발을 굴렀다든가, 그러다 왠지 손을 놓고 싶었을 때, 아니면 엄마랑 식당 앞에서 바람 쐴 때, 그런 장면에 늘 바람이 불었더라고요.


오은 : 당선 에피소드도 재미있어요. 전화를 받았을 때 “시예요, 소설이에요?”라고 물으셨다고요. 그 말은 시도 쓰셨고, 소설도 쓰셨다는 거죠?


김애: 잘 몰랐어요. 그냥 이것도 해봤다, 저것도 해봤다, 하면서 기웃거렸고요. ‘나는 이 길이야’라고 판단할 만큼의 경험도 사실은 없었던 것 같아요. 다만 두 개 다 좋아서 내봤고요. 소설 쪽에서 인사가 온 거죠. “나야”(웃음) 하고요.


오은 : 17년 만에 처음으로 나온 산문집이에요.? 『잊기 좋은 이름』? 을 직접 소개해주세요.


김애란 : 데뷔하고 드문드문 발표했던 글을 모은 책이고요. 그 안에는 사람 이야기도 있고, 제가 쓰는 글 혹은 문학에 관한 이야기도 있고, 저를 비롯해 우리 모두가 겪었던 사건과 상황에 대한 이야기도 있습니다. 소설이 요리를 대접하는 것이라면 왠지 산문집은 주방을 공개하는 것 같아서 머쓱하기도 하지만 내부를 구경하시는 재미도 있지 않을까 싶네요.


오은 : 이 책을 읽다 보니까 김애란의 어린 시절부터 지금까지의 삶의 궤적이 담겨 있더라고요. 20대 김애란, 30대 김애란, 그리고 막 마흔을 맞이한 김애란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궁금해요.


김애란 : 제가 다른 분들 삶은 잘 모르니까요. 저마다 성향이나 역사가 다르잖아요. 그러니까 일반론이 아니라 저에 한해 말해보자면요. 소설가니까 소설적 용어로 비유할까요?(웃음) 저의 20대는 1인칭 주인공 시점이 강했던 것 같고, 30대는 1인칭 관찰자 시점이 강했던 것 같아요. 30대에는 자신을 향했던 에너지가 조금 건강하게 식은, 온도가 알맞게 낮아진 느낌이 들었는데요. 이제 막 40대에 다가선 지금은 3인칭 관찰자 시점이 되고 싶은, 그렇지만 여전히 1인칭의 한계를 계속 갖고 갈 수밖에 없는 1인칭 시점인 것 같아요.


오은 : 다시 한 번 더 살고 싶은 순간이 있다면 언제일까요?


김애란 : 왜 아름다운 순간보다 후회되는 순간이 떠오르는지 모르겠는데요.(웃음) 바꾸고 싶은 마음이 크진 않아요. 말만 해도 과거에 했던 인터뷰를 찾아보면 부끄러울 때가 많잖아요. 그런데 요즘은 생각이 좀 달라졌어요. 내가 지금 읽어도 꽤 괜찮은, 동의할 수 있는 매끄러운 말들을 하고 살았다면, 부끄럽거나 후회되는 말이 전혀 없다면 그건 약간 징그러운 일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더라고요. 20대의 내가 40대에 읽어도 끄덕일 수 있는, 얼룩 없고 후회 없는 말을 하고 있다면 그것대로 징그러운 일이겠다 싶어서 지금은 그냥 후회되는 일이 있더라도 그것도 나라고 조금 넓게 생각하게 됐어요. 돌아가고 싶다기보다 몇몇 결락들, 뭉칠 곳들을 바라보는 시선이 조금 달라졌다고 말하고 싶어요.


오은 : 책의 한 대목 낭독을 부탁드리고 싶어요. 어떤 부분을 낭독해주시겠어요?


김애란 : 데뷔하고 나서, 시상식 이후에 가족들과 돼지 갈비 먹던 장면이에요. 읽어드리겠습니다.

?

하지만 중간에 코르크 마개가 부서진 와인을 따기 위해 젓가락과 숟가락을 동원해 합심하는 지인들 곁에 앉았을 때, 아버지가 얹어준 고기를 꿀꺽 삼키며, 문학이란 어쩌면 당신들을 초대한 여기, 이 자리에 있는 게 아니라, 여기까지 기꺼이 와준 당신, 바로 그 사람들 곁에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 문학은 하나의 선(善)을 편드는 문학이 아니라, 이제 막 사람들 앞에 선 당선자의 허영, 그 헛폼 안에조차 삶의 이면을 비출 수 있는 뭔가가 있다고 손들어주는, 여러 개의 팔을 가진 문학이었다. 그 팔 안에서 나는 여전히 실수하고, 깨닫고, 배우면서 살아간다.(51-52쪽)

?

오은 : 김애란 작가님은 글을 써오면서 가장 좋을 때가 언제였어요? 수상과는 조금 떨어져 있는 순간일 것 같아요.


김애: 아니에요. 그런 세속적인 격려 되게 좋아해요.(웃음) 그것도 일종의 바깥에서 받는 답장이라서요. 특히 신인 때 한 번 더 해보느냐 아니냐를 결정 짓는 건 그 사람의 용기이기도 하지만 환경이나 세팅의 힘도 크거든요. 조금 더 실패해봐도 돼, 라고 얘기해주는 부분이 있어서 그럴 때도 정말 좋았고요. 마이너스의 좋음도 있는 것 같아요. 살면서 누구나 안 좋은 일을 겪잖아요. 그건 특별히 운이 나빠서가 아니라 그냥 존재 조건이죠. 그런데 글이 그걸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주는 것 같아요. 반드시 극복할 필요도 없고, 극복하지 않아도 되지만 어느 순간 잠깐 버텨볼 수 있는 기술을 주는 것 같은데요. 내 삶을 해석하고 이해하는 언어를 가진 사람과 그렇지 않은 경우는 조금 다를 것 같아요. 저는 글을 발표하지 않아도, 누군가가 인정해주지 않아도 내가 지금 겪은 시기를 문장으로 정리할 수 있다는 사실에 기댔던 시간이 있었고요. 그때 좋았어요.


오은 : 작가님들은 꼭 써야 할 이야기를 그러 모으는 사람, 서랍에 넣어두는 사람 같아요. 그 서랍에 언젠가 꼭 써봐야겠다 생각하는 이야기가 있나요?


김애란 : 현실적인 이야기를 많이 써서요. 조금 우화적이고, 바람 빵처럼 푹신하고 거짓말이 정말 많이 들어간 소설도 쓰고 싶고요. 어릴 때 저를 매혹시켰던 공포물들에 대한 희망도 하고 있어요. 음악에 관한 소설도 언젠가 써보고 싶은데요. 다 희미한 바람으로 가슴에 간직하고 있습니다.

?

?

?

배너_책읽아웃-띠배너.jpg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0 Comments

차량인테리어 확장형 코일매트 쏘렌토 4세대 MQ4
칠성상회
3M 1181 동테이프 동박테이프 25mm x 1M
바이플러스
이케아 UPPSNOFSAD 웁스노프사드 수납상자 25x17x12
바이플러스
3M 810 매직테이프 50mm x 65M
바이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