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 Culture

깨끗한 기쁨

anirudh-aKG5MPuJbKA-unsplash.jpg

언스플래쉬

?

?

대학원에 다닐 때 아이와 남편이 있는 중년 여성분이 같은 전공 박사 과정 중에 있었다. 그 분은논문 통과만 앞둔 상태였기 때문에, 석사 과정 초반이었던 나와 학교에서 함께 강의를 듣거나 생활할 일은 없었지만 그 분의 어떤 말은 몇 년째 기억에 맴돌고 있다. "아이와 있을 때도 기쁘지만 연구에는 뭐라고 할까, 깨끗한 기쁨이 있어요." 깨끗한 기쁨이라는 말의 생경함이 너무 강렬해서 나는 그 말을 잊지 못한다. 깨끗한 기쁨. 그건 우리의 전공에 매우 잘 어울리는 말이었고 또 일상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덕목이었다.

?

영화 <82년생 김지영>이 개봉한 첫 주 주말, 영화관에 갔다. 영화는 소설보다 훨씬 감정적인 동요를 요구했고 때문에 나는 소설이 소개하는 김지영이 더 좋았다. 영화의 어떤 장면에서 나는 이제는 이미 졸업하고 강단에 계신, 그 박사 과정 선배님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었다. 지영이 딸 아영이를 어린이 집에 보내고 집으로 돌아오려던 찰나, 같은 어린이 집에 아이를 등원시킨 다른 여성들이 지영을 붙잡는다. “같이 커피나 한 잔 해요.” 그렇게 가게 된 집에서 지영은 고등학교 수학 문제집을 발견한다. " 큰 애가 있나 봐요?" "아뇨, 그거 제가 푸는 거예요." 마음이 요동쳤다.

?

그때 분명하게 알 수 있었다. 깨끗한 기쁨을 주는 일이 나를 먹여 살리는 거구나 하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지영이에게 결여되어 있던 것이 무엇인지도 확연해졌다. 어느 때보다 잘 먹고 잘 쉬고 있는 나의 일상이 종종 허무로 젖어 들어가는 이유도. 설명하기 어렵지만 기본적인 생활 외의 행복을 갈구하는 무엇이 내 안에 분명히 있었다. 이름도 없고 설명할 수도 없었던 그것, 바로 깨끗한 기쁨이었다. 퇴근 길 회사 빌딩에서 나올 때마다 간절하게 원하던 것, 영화를 보아도 책을 보아도 따분하고 혼자 있어도 함께 있어도 외로울 때 내가 그리워하던 것.

?

?

800x0 (1).jpg

??????????????????????????????????????????????????? 261202310.jpg


?

『내 언어에 속지 않는 법』? 에서 저자는 영어라는 낯선 도구를 빌려 자신의 감정을 꼼꼼하게 들여다보길 요구한다. ‘감동’이나 ‘억울하다’ 같은 너무 큰 단어 안에 묻혀 버린 날 것의 감정이 무엇인지 살펴보라는 것이다. 감정의 정체를 알게 될 때 삶에 변화가 있을 것이라 했다. 그 말은 나의 삶에도 적중했다. 나는 내 안에 있던 감정에 이름을 붙임으로써 ‘허무’라는 거대한 적에 대항할 작은 창을 하나 가지게 되었다.

?

미분화되지 않은 감정을, 다른 언어를 지도 삼아 샅샅이 살펴보는 일은 새로운 종류의 재미일 뿐 아니라 생각의 근육을 연마하는 일이기까지 하다. 감정의 스펙트럼을 새로 배우는 것, 외국인들이나 쓰는 이국적이고 유난한 무언가라 생각했던 형용사를 내면화하는 것, 내 마음을 오래 들여다보고 이름 붙이는 것은 내게 다른 세상을 열어주고 관계를 맺고 키우는 방식을 변화시켰다.
- 『내 언어에 속지 않는 법』

?

깨끗한 기쁨이 무엇인지에 조금 더 생각해보자. 그것은 단순히 먹고 사는 문제에 달려 있지 않다. 수학 문제집을 푸는 행위가 그렇듯이 말이다. 남들이 볼 때 무용하다고 생각되는 일일 수 있다. 역시 수학 문제집을 푸는 행위가 그렇듯이 말이다. 그러나 그것이 없으면 도무지 만족스럽게 살 수 없다. 나는 곧장 영혼의 고양을 떠올렸다. 제대로 기능하는 몸만으로는 행복할 수 없다니, 영혼을 살펴볼 차례가 아니겠는가? 자신의 영혼을 달랠 것이 필요하다. 술이나 음식 말고, 무형의 양식이. 수학이나 글 같은, 어쩌면 음악이나 냄새 같은 것. 오롯이 자신을 위해 하는 행위.

?

?

800x0.jpg

?????????????????????????????????????????????????????? 261202310.jpg

?

?

『쇼스타코비치는 어떻게 내 정신을 바꾸었는가』 를 읽고 유튜브로 여러 클래식 음악을 찾아 듣고 있다. 쇼스타코비치의 레닌그라드 교향곡도 들어보고, 바흐나 베토벤도 시도해본다. 클래식을 듣기 시작하니 유튜브 추천에 여러 새로운 동영상이 뜨기 시작했다. 글렌 굴드의 연주 동영상도 그 중 하나였다. 골든베르크 연주곡을 듣다가 귀를 의심했다. 그 유명하다는 글렌 굴드의 연주인데 누가 이렇게 허밍을 넣은 거야? 레코딩한 사람은 이걸 왜 안 지웠지? 알고 보니 글렌 굴드 본인이 피아노를 치면서 내내 허밍을 하는 것이었다. 그 때문인지 동영상 댓글 중에 이런 것이 있었다. “그가 연주를 할 때는 관객을 위해서가 그 자신을 위해서 하는 것 같아.“ 나는 글렌 굴드에, 그의 연주에, 이 댓글에 반해버렸다. 글렌 굴드는 깨끗한 기쁨을 위해 연주하고 있었구나. 그의 연주가 뛰어난 덕분에 많은 사람들이 위로를 받지만, 애초에 그는 자신을 위해 연주하는 거였어.

?

대학원을 그만두자 몇몇 친구들이 물었다. 다시 돌아갈 거야? 공부 다시 하고 싶진 않고? 다시 돌아가지 않을 거야. 공부는 다시 하고 싶어. 친구들이 웃기도 하고 놀라기도 했다. 하하, 그래, 돈 벌면 좋지. 아니, 아직도 공부가 하고 싶어? 깨끗한 기쁨, 영혼의 고양을 위해 나는 아직 공부를 하고 싶다. 정확히 말하자. 하고 싶다기보다 필요하다. 그게 있어야 제대로 살 수 있다고 느낀다. 다시, 정확히 말하자. 느낀다기보다 확신한다. 여성의 날을 상징하는 두 가지 아이콘은 빵과 장미이다. 영화 “노예 12년”에는 “나는 생존하고 싶지 않아, 살고 싶어. I don’t want to survive, I want to live”라는 대사가 나온다. 살기 위해 장미가 필요하고 깨끗한 기쁨이 필요하고 자신을 위한 행위가 필요하다. 고백하건대 이 글은 나의 장미이자 깨끗한 기쁨이다.

?

?

?

배너_책읽아웃-띠배너.jpg



추천기사
  • 채널예스 기사 제목 이한빛 PD와 김용균씨의 얼굴 - 밟고 밟힐 필요가 없는 세상을 꿈꾸며
  • 채널예스 기사 제목 어중간해 보일지라도
  • 채널예스 기사 제목 바보라는 말은 나만 할 수 있어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0 Comments

프로비즈 고주파 클립보드 A5
칠성상회
차량용 정보보호 시크릿 야광 주차 번호판 DD-10700
칠성상회
오피스존 이중 창봉투 100매입 대량 우편 무지 봉투 O
칠성상회
NF쏘나타 페인트 Y5 스티커 슬릭실버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