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지로 전해진 500년의 사랑 - 국가기록원,
500년 전 남편의 사랑 담긴 한글편지 복원 완료 -
□ “집에 가서 어머님이랑 애들이랑 다 반가이 보고 가고자 하다가 … 못보고 가네. 이런 민망하고 서러운 일이 어디에 있을꼬?” “분(화장품)하고 바늘 여섯을 사서 보내네. 집에 못 다녀가니 이런 민망한 일이 어디에 있을꼬 (하며) 울고 가네”
○ 500년 전, 부인을 아꼈던 애절한 마음을 느낄 수 있는 편지가 국가 기록원에 의해 복원되었다.
○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은 대전 유성구 안정 나씨(安定羅氏) 묘에서 미라와 함께 출토된 조선시대 부부의 애틋한 사랑을 담은 한글 편지를 복원했다.
○ 이 편지는 대전 유성구 안정 나씨 종중 분묘 이장 중 나온 것으로, 나 신걸(羅臣傑 15C중반~16C전반 추정)의 부인 신창 맹씨(新昌 孟氏, 생몰년 미상)의 목관 내에서 미라, 복식, 명기 등과 함께 출토되었다.
○ 이번에 복원된 편지는 소장처인 대전선사박물관에 전달할 예정이다.
□ 국가기록원이 복원한 조선시대 한글편지는 지금까지 발견된 한글편지 중에서 가장 이른 시기의 것으로 추정된다. 기존 순천김씨 묘 출토 한글편지(충북대박물관 소장, 1555년)보다 앞선 16세기 전반의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 2 -
○ 이 편지는 발굴 당시, 총 2점이 접혀진 상태로 신창 맹씨의 머리 맡에 놓여 있었다. 당시 함경도 군관으로 나가 있던 남편이 고향에 있는 아내에게 보낸 것으로, 편지의 뒷장에 받는 사람이 ‘회덕 온양댁’ 이라고 수신인이 적혀있다.
○ 신창 맹씨는 평소 남편에게 받은 선물과 같이 간직하다가, 그녀가 사망하자 평소 고인이 아끼던 편지를 함께 매장한 것으로 추정된다. 16세기 전반 장례문화, 복식문화, 한글고어 등 그 당시의 생활풍습을 추정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 편지에는 나신걸이 멀리 함경도 경성(鏡城) 군관으로 부임 받아 가면서 부인 신창맹씨에게 안부와 함께 농사와 소작 등의 여러 가정사를 두루 챙기는 내용이 들어 있다.
○ 본문 중에는 “분(화장품)하고 바늘 여섯을 사서 보내네. 집에 못 다녀가니 이런 민망한 일이 어디에 있을꼬(하며) 울고 가네”라는 내용이 담겨 있다. 당시 분과 바늘은 매우 귀한 수입품이어서 남편의 아내에 대한 애틋한 사랑과 가족에 대한 그리움을 알 수 있다.
○ 또한, 편지에 보이는 고어 한글은 매우 정성스럽게 한자 한자 정갈 하게 썼다. 특히 16세기에 주로 사용되었던 경어체인 ‘~하소’라고 적고 있어 조선 전기 부부간에 서로 존칭을 사 - 3 -
○ 우선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취약한 재질을 보강하기 위해 비슷한 재질의 한지로 배접을 하였다. 복원처리가 완료된 기록물은 취급이 어려운 재질의 기록물 보존에 유용한 초음파 봉합처리(Ultrasonic Encapsulation:보존용 필름사이에 기록물을 넣고 초음파로 봉합하는 기법)를 실시하여 반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게 했다. 또한 복원된 기록물은 전시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별도의 복제본을 제작했다.
□ 송귀근 국가기록원장은 “부부의 날을 맞아 조선시대 부부의 정과 생활상을 생생히 담은 당시의 기록물을 복원할 수 있게 되어 뜻 깊게 생각하며, 조선시대 언간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 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국가기록원에서는 소장 기록물 뿐 아니라 국가적으로 보존해야 할 중요한 기록물에 대해 ‘맞춤형 복원·복제 지원 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다.
○ 그간 3·1독립선언서를 비롯하여, 4·19관련 기록물 등 중요 기록물 71건을 지원 해왔으며, 2012년도에는 독도박물관 등이 소장하고 있는 ‘대외 국권수호 등 영유권 관련 지도류’에 관한 복원·복제 사업을 지원할 계획이다.
- 4 - 【붙임】 【 복원된 신창맹씨(新昌孟氏) 한글편지 1 】
복원 전(편지 1)
복원 후(편지 1)
- 5 - 【 복원된 신창맹씨(新昌孟氏) 한글편지 2 】
복원 전(편지 2)
복원 후(편지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