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7월1주 주간 확진자 발생 전주 대비 87.0% 증가 (7.12. 11시 정례브리핑)
7월1주 주간 확진자 발생 전주 대비 87.0% 증가
- 주간 위험도 전국·수도권·비수도권 모두“중간”-
-주요 내용-
□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 및 위험도 평가
○ 주간 신규 확진자 일평균 15,987명(전주 대비 87.0%↑)
○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48명, 사망자 62명
○ 주간 위험도는 전국, 수도권, 비수도권 ‘중간’
□ 원숭이두창 국내 첫 확진자의 접촉자 감시 종료
○ 국내 첫 원숭이두창 확진자의 접촉자 총 49명 전원 추가 환자 발생 없이 금일(0시 기준) 감시 종료
1.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 및 위험도 평가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는 코로나19 주간 신규 발생이 6월4주 이후 지속 증가하였다고 밝혔다.
* (6월4주) 4.9만 명→(6월5주) 5.9만 명 →(7월1주) 11.1만 명
○ 7월 1주(7.3.~7.9.) 주간 확진자 수는 111,910명, 주간 일평균 15,987명 발생하여 전주 대비 87.0% 증가하였고, 감염재생산지수(Rt)는 1.40으로 지난 6월 1주 이후 5주 연속 증가하였다.
<그림> 최근 8주간 전국 확진자수 및 발생률 추이(명)(’22.5.15.~7.9.)
<최근 8주간 주요 발생 지표>
구분 |
5월 3주 (5.15~5.21.) |
5월 4주 (5.22~5.28.) |
6월 1주 (5.29.~6.4.) |
6월 2주 (6.5.~6.11.) |
6월 3주 (6.12.~6.18.) |
6월 4주 (6.19.~6.25.) |
6월 5주 (6.26~7.2.) |
7월 1주 (7.3~7.9.) |
확진자수(명) |
181,856 |
129,319 |
86,216 |
64,284 |
52,403 |
49,375 |
59,834 |
111,910 |
일 평균 확진자(명) |
25,979 |
18,474 |
12,317 |
9,183 |
7,486 |
7,054 |
8,548 |
15,987 |
주간 일평균 발생률(10만 명당) |
50.3 |
35.8 |
23.9 |
17.8 |
14.5 |
13.7 |
16.6 |
31.0 |
전 주 대비 확진자 발생 증가비 |
0.72 |
0.71 |
0.67 |
0.75 |
0.82 |
0.94 |
1.21 |
1.87 |
감염재생산지수(Rt) |
0.83 |
0.81 |
0.74 |
0.79 |
0.86 |
0.91 |
1.05 |
1.40 |
○ 전주 대비 모든 연령대에서 일평균 발생률이 증가하였다.
- 20-29세에서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은 발생률(50.4명)을 보이고, 전체 발생 중 비중은 20-29세(21.0%), 30-39세(15.9%), 40-49세(15.2%) 순으로 나타났다.
○ 중증 위험이 높은 60세 이상 확진자의 규모는 증가하였으나 비중은 감소하였다.
* 60세 이상 비율 : (6월3주) 15.6% → (6월4주) 15.5% → (6월5주) 13.7% → (7월1주) 12.7%
** 60세 이상 확진자수 : (6월3주) 8,176명 → (6월4주) 7,657명 → (6월5주) 8,205명 → (7월1주) 14,220명
<성별·연령별 발생 현황(명, %)>
구분 |
6월 4주 |
6월 5주 |
7월 1주 |
누적 발생 |
|||||||||
확진자수 |
비중(%) |
일평균 발생률 |
확진자수 |
비중(%) |
일평균 발생률 |
확진자수 |
비중(%) |
일평균 발생률 |
확진자수 |
비중(%) |
발생률 |
||
계 |
49,375 |
(100.0) |
13.7 |
59,834 |
(100.0) |
16.6 |
111,910 |
(100.0) |
31.0 |
18,491,435 |
(100.0) |
35,809 |
|
성별 |
남성 |
23,820 |
(48.2) |
13.2 |
28,156 |
(47.1) |
15.6 |
52,592 |
(47.0) |
29.2 |
8,694,286 |
(47.0) |
33,769 |
여성 |
25,555 |
(51.8) |
14.1 |
31,678 |
(52.9) |
17.5 |
59,318 |
(53.0) |
32.7 |
9,797,149 |
(53.0) |
37,838 |
|
연령별 |
0-9세 |
4,043 |
(8.2) |
15.4 |
4,656 |
(7.8) |
17.7 |
9,495 |
(8.5) |
36.1 |
2,207,050 |
(11.9) |
58,693 |
10-19세 |
6,042 |
(12.2) |
18.3 |
7,328 |
(12.2) |
22.2 |
15,712 |
(14.0) |
47.7 |
2,422,021 |
(13.1) |
51,430 |
|
20-29세 |
9,662 |
(19.6) |
20.7 |
13,306 |
(22.2) |
28.6 |
23,461 |
(21.0) |
50.4 |
2,708,167 |
(14.6) |
40,688 |
|
30-39세 |
7,914 |
(16.0) |
16.8 |
9,921 |
(16.6) |
21.1 |
17,739 |
(15.9) |
37.7 |
2,722,251 |
(14.7) |
40,489 |
|
40-49세 |
7,534 |
(15.3) |
13.2 |
8,896 |
(14.9) |
15.6 |
17,047 |
(15.2) |
29.8 |
2,852,820 |
(15.4) |
34,932 |
|
50-59세 |
6,523 |
(13.2) |
10.8 |
7,522 |
(12.6) |
12.4 |
14,236 |
(12.7) |
23.6 |
2,283,966 |
(12.4) |
26,449 |
|
60-69세 |
4,605 |
(9.3) |
9.2 |
5,120 |
(8.6) |
10.2 |
8,743 |
(7.8) |
17.4 |
1,870,813 |
(10.1) |
26,111 |
|
70-79세 |
2,040 |
(4.1) |
7.8 |
2,111 |
(3.5) |
8.1 |
3,558 |
(3.2) |
13.7 |
886,326 |
(4.8) |
23,857 |
|
80세이상 |
1,012 |
(2.0) |
6.9 |
974 |
(1.6) |
6.6 |
1,919 |
(1.7) |
13.0 |
538,021 |
(2.9) |
25,523 |
□ 7월 1주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수는 48명으로 전주 대비 4.0% 감소하였고, 사망자는 62명으로 전주 대비 34.8% 증가하였다.
*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수 : (6월 4주) 42명 → (6월 5주) 50명 → (7월 1주) 48명
** 주간 사망자 수 : (6월 4주) 89명 → (6월 5주) 46명 → (7월 1주) 62명
<그림> 주간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발생 현황(’22.7.9. 0시 기준)
○ ’22년 7월 9일 기준, 전 연령의 인구 10만 명당 누적 사망률은 47.7명(치명률 0.13%)이다.
- 연령대별로 80세 이상의 누적 사망률은 686.9명(치명률 2.69%)으로 가장 높고, 70대는 152.9명(치명률 0.64%), 60대는 40.6명(치명률 0.16%)으로 나타났다.
<그림> 연령대별 누적 사망률(10만 명당), 치명률(‘22.7.9. 0시 기준)
○ 최근 1주간의 사망자 분석 결과, 고연령층, 미접종, 기저질환을 가진 경우 코로나19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 (연령) 7월 1주 사망자 중 60대 이상이 96.8%(60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80대 이상이 54.8%(34명), 70대가 35.5%(22명), 60대가 6.5%(4명)이었다.
<그림> 최근 8주간 연령대별 사망자수
- (접종력) 60세 이상 전체 인구 중 미접종자 및 1차 접종자 비율이 4% 내외임에도 불구하고 사망자 중 미접종자 및 1차 접종자의 비율은 36.7%(22명)로 미접종자 및 1차 접종자에서의 치명률이 여전히 높은 상황이다.
- (기저질환) 사망자들에서 확인된 기저질환은 고혈압·뇌경색·심부전 등 순환기계 질환, 치매 등 신경계 질환, 당뇨병·갑상선질환 등 내분비계 질환이 많은 상황이다.
□ 국외 발생은 ’22년 26주차(6.27.∼7.3.)에 신규발생 511만명(WHO기준)으로 최근 4주 연속 발생이 증가하였고,
* 전 세계: (26주) 확진 5,118,902명(13.2%), 사망 9,327명(1.2%)
○ 전 세계적으로 발생이 증가하며, 오미크론 하위 변이가 증가하고 있는 독일 등의 국가에서 최근 발생이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 (독일) BA.5형 변이가 우세화하며 발생이 최근 5주 연속 증가, 사망자 수는 감소세 지속
□ 오미크론형 변이 검출률은 국내감염 및 해외유입 사례 모두 100.0%로 확인되었다.(7.9. 0시 기준)
* (국내) 12월5주 4.0% → 1월3주 50.3% → 2월3주 98.9% → 7월1주 100.0%
○ 국내 오미크론 세부계통 검출률 분석 결과, BA.2.3은 40.3%(+0.8%), BA.2는 24.1%(-0.1%), BA.5*는 23.7%(-0.4%)로 확인되었다.
* (6월5주→7월1주) BA.5 국내감염 24.1% → 23.7%, BA.5 해외유입 49.2% → 70.0%
< 국내감염 주요 변이바이러스 검출률(7.9. 기준) >
구분 |
분석주차 |
오미크론형 검출률(%) |
오미크론 세부계통 검출률(%)* |
||||
BA.2 |
BA.2.3 |
BA.2.12.1 |
BA.4 |
BA.5 |
|||
국내감염 |
6월3주 |
100.0 |
34.8 |
56.9 |
2.9 |
0.6 |
2.0 |
6월4주 |
100.0 |
32.7 |
51.1 |
4.2 |
0.8 |
7.5 |
|
6월5주 |
100.0 |
24.2 |
39.5 |
5.5 |
3.4 |
24.1 |
|
7월1주 |
100.0 |
24.1 |
40.3 |
5.1 |
3.2 |
23.7 |
|
해외유입 |
6월3주 |
100.0 |
31.3 |
7.2 |
26.5 |
8.4 |
13.3 |
6월4주 |
100.0 |
25.0 |
6.3 |
14.8 |
5.5 |
32.8 |
|
6월5주 |
100.0 |
15.0 |
5.8 |
11.7 |
13.3 |
49.2 |
|
7월1주 |
100.0 |
8.2 |
5.3 |
5.9 |
9.4 |
70.0 |
* 전장유전체분석결과를 기반으로 별도산출된 통계자료임
- 오미크론 BA.2.12.1 80건(국내 62건, 해외유입 18건), BA.4 24건(국내 12건, 해외유입 12건), BA.5 260건(국내 120건, 해외유입 140건)이 추가로 검출되었다.
* (누적) BA.2.12.1 432건, BA.4 103건, BA.5 655건
□ 예방접종 효과분석 결과, 3차 접종을 완료하면 접종 후 확진되더라도 미접종자에 비해 중증진행 위험이 95.4% 감소되므로, 예방접종은 여전히 유효한 방역수단이고 고령층·기저질환자에게 3차접종 완료는 특히 중요하다.
○ ‘미접종자 확진군’의 중증화율은 ‘3차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21.9배, ‘2차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3.3배가 높았다.
* ‘3차접종 후 확진군’은 ‘미접종자 확진군’에 비해 중증(사망 포함)으로 진행할 위험이 95.4%, ‘2차접종 후 확진군’도 ‘미접종자 확진군’에 비해 중증 진행 위험이 69.9% 낮음
<그림> 확진자 중 예방접종력에 따른 연령대별 누적 중증화율 위험도 비교(’22.7.3. 기준)
□ 전국 중환자 및 준-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전 주 대비 모두 증가하였고, 특히 비수도권 준-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20%대로 증가하였다.
* 중환자 병상가동률(6.5주 → 7.1주): (전국) 5.2% → 7.8%, (수도권) 5.0% → 7.4%, (비수도권) 6.0% → 9.2%
* 준-중환자 병상가동률(6.5주 → 7.1주): (전국) 8.1% → 16.9%, (수도권) 6.6% → 13.1%, (비수도권) 12.4% → 27.4%
<그림> 중환자 병상 가동률 추이 및 준-중환자 병상 가동률 추이
□ 7월 1주 코로나19 주간 위험도는 확진자 발생 및 감염재생산지수의 2주 연속 증가세와 사망자 수의 증가를 고려하여, 전국, 수도권, 비수도권 중간으로 평가하였다.
○ 해외유입 확진자의 BA.5형 변이 검출률 증가로, 확진자 발생 증가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어 중간으로 상향하였다.
<7월 1주차 종합평가 결과>
구분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
2주 (3.6.~) |
3주 (3.13.~) |
4주 (3.20.~) |
5주 (3.27.~) |
1주 (4.3.~) |
2주 (4.10.~) |
3주 (4.17.~) |
4주 (4.24.~) |
1주 (5.1.~) |
2주 (5.8.~) |
3주 (5.15.~) |
4주 (5.22.~) |
1주 (5.29.~) |
2주 (6.5.~) |
3주 (6.12.~) |
4주 (6.19.~) |
5주 (6.26.~) |
1주 (7.3.~) |
|
전국 |
매우 높음 |
매우 높음 |
매우 높음 |
매우 높음 |
높음 |
높음 |
중간 |
중간 |
중간 |
중간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중간 |
수도권 |
매우 높음 |
매우 높음 |
매우 높음 |
매우 높음 |
높음 |
높음 |
중간 |
중간 |
중간 |
중간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중간 |
비수도권 |
매우 높음 |
매우 높음 |
매우 높음 |
매우 높음 |
매우 높음 |
높음 |
높음 |
중간 |
중간 |
중간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중간 |
□ 정부는 지난 6월 22일 발표한 「코로나19 여름휴가 대책」(관계부처 합동)을 바탕으로, 부처별 소관 시설 특성*을 고려한 방역대책 수립 및 이행사항 등에 대해 지속적으로 점검할 예정이며,
* (행안부) 무더위쉼터 (고용부) 외국인 사업장 (법무부) 교정시설 (지자체) 지역축제 등
○ 지자체는 그간 코로나19 유행 안정세에 따른 방역대응 인력 복귀 및 원숭이 두창 동시대응 등을 감안하여 지자체 코로나19 담당 인력 현황을 점검할 예정이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무엇보다 전국민의 자율적인 생활방역수칙 준수가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 특히 여름 휴가철 재확산 방지를 위해 단체모임보다는 가족단위 소규모로 혼잡한 장소와 시간대를 피하여 방문·이용*하여 주시고,
* (해수부) 해수욕장 신호등 혼잡도제, 한적한 해수욕장 선정(7월 중 운영)
○ 3밀(밀폐·밀접·밀집) 환경에서는 마스크 착용, 수시로 손 씻기, 기침예절 등 준수와 함께 주기적인 환기·소독 실시하여 줄 것을 당부하였다.
○ 주간 코로나19 위험평가 지표별 추이(※ 잠정통계로 향후 변동 가능)
* 상세 내용 첨부파일 참고
2. 원숭이두창 국내 첫 확진자의 접촉자 감시 종료
□ 국내 첫 원숭이두창 확진자(확진일 6.22)의 접촉자 총 49명(중위험 8명, 저위험 41명) 전원은 추가 환자 발생 없이 금일(0시) 감시 종료되었다.
○ 첫 확진자의 접촉자 49명은 모두 기내접촉자로, 접촉 위험도에 따라 중위험 접촉자 8명, 저위험 접촉자 41명으로 분류되었으며,
- 중위험 접촉자를 대상으로 노출 후 예방접종(Post-exposure prophylaxis, PEP) 희망여부를 조사하였으나, 전원 접종의사가 없어 예방접종은 실시하지 않았다.
○ 최종 노출일(6.21일)로부터 21일 간(전일 자정 24시까지) 중위험 및 저위험 접촉자에 대해 각각 능동감시와 수동감시*로 관리한 결과,
* (중위험 접촉자 능동감시) 관할보건소에서 대상자의 건강상태를 유선으로 모니터링,(저위험 접촉자 수동감시) 본인 건강상태를 자가 모니터링 및 증상 발생 시 보건소 연락
- 접촉자 모두 의심증상은 없었으며, 원숭이두창 환자의 추가 발생 및 지역사회 전파 없이 접촉자 감시를 종료하였다.
<붙임> 1. 코로나19 주간 발생 현황
2. 코로나19 국외 발생 현황
3.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현황(7.9. 기준)
4. 오미크론 세부계통 변이(BA2.12.1 등) 및 재조합 변이 인구학·적역학적 특성
5. 재감염 추정사례 발생 현황(6월5주)
6. 코로나19 예방접종 효과
7. 코로나19 확진자 예방접종력 분포(7.3. 0시 기준)
8. 원숭이두창 예방 및 행동수칙(대국민용)
9. 원숭이두창 예방 및 행동수칙(발생지역 방문자용)
10.「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자료제공 :(www.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