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산업통상자원부]2022년 산업부 R&D 지원, 사상 첫 5조 원 돌파

btn_textview.gif

2022년 산업부 R&D 지원, 사상 첫 5조 원 돌파 (전년대비 11.9%)
5.5조원 규모의 2022년 산업기술혁신사업 통합시행계획 공고 -
탄소중립 R&D 11,961억원(45%) 산업분야는 2배 이상 확대
산업디지털 전환 가속화를 위한 디지털 뉴딜에 2,640억원
핵심소재 공급망 안정 및 미래 공급망 창출을 위해 16,816억원
혁신성장 3대 신산업(Big3) 등 신산업 활성화를 위해 7,870억원
중소, 중견기업 지원강화 3,524억원, 민간부담금 완화 등 지원조치 유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1228, 5.5조 원 규모의 산업기술 연구개발(R&D) 지원 계획을 담은2022년도 산업기술혁신사업 통합시행계획을 산업부 홈페이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등 R&D 전담기관 홈페이지를 통해 공고하였다.
 

’22산업부 R&D 예산‘214.9조원 대비 약 11.9% 증가한 55,415원으로, 최초로 5원을 돌파한 역대 최고 수준이다.
 

‘18년 이후 핵심 소재의 GVC 재편, 코로나19 펜데믹 발생, 기후위기 대응 동참 필요성 등의 경제 위기 상황에서 새로운 시장과 성장 경로를 확보하기 위해, 산업기술 R&D 예산은 2.4조원 이상 증가*하였다.
 

* (’18) 31,580억원 (’19) 32,068억원 (’20) 41,718억원 (’21) 49,518억원 (’22) 55,415억원
산업부는 ’22에는 산업 탄소중립 R&D 예산*2배로 확대하고, 관련법 통과** 등을 계기로 산업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며,
 

* 산업분야 탄소중립 R&D 예산 : (‘21) 2,130억원 (’22) 4,135억원(94.1%)
**산업디지털전환촉진법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21.12.9)
*** 디지털뉴딜 R&D 예산 : (‘21) 2,317억원 (’22) 2,640억원(13.9%)
 

핵심 소재의 공급망 안정화와 미래 공급망 확보*(소부장), 혁신성장 3 신산업**(3)에 대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 소부장 R&D 예산 : (‘21) 15,551억원 (’22) 16,816억원(8.1%)
** 3 R&D 예산 : (‘21) 6,159억원 (’22) 7,870억원(27.8%)
 

경제 위기 대응 능력이 취약한 중소중견기업 역량 강화*, 고용난 대응을 위한 인재양성** 등의 투자 지원을 확대하였다고 밝혔다.
 

* 중소중견기업 전용 R&D 예산 : (‘21) 3,075억원 (’22) 3,524억원(14.6%)
** 인재양성 R&D 예산 : (‘21) 1,626억원 (’22) 1,852억원(14.6%)
 

핵심 분야별 연구개발(R&D) 투자 방향은 다음과 같다.
 

탄소중립 대전환 : (‘21) 8,248억원 (’22) 11,961억원(45%)
 

탄소중립 R&D 예산에 11,961억원을 편성하여 ‘21년 대비 45% 이상 투자를 확대한다.
 

에너지 전환 대비 투자가 저조한 산업 분야 R&D 예산은 2배로 확대4,135억원을 편성하였는데, 산업공정 효율화를 통한 신속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온실가스 다배출 업종 중심으로 산업공정 혁신 R&D 사업* 신설(13개 사업)하여 542억원을 집중 투자한다.
 

* 반도체디스플레이 22억원, 시멘트(2) 91억원, 철강 55억원, 석유화학 57억원, 그린섬유 39억원, 이차전지(2) 64억원, 공정촉매재자원화 34억원, 정유 55억원, 우수 중소중견 지원 38억원, 디지털엔지니어링 54억원, 저탄소공정 33억원
 

‘22년에 에너지 전환 분야15개 사업* 신설을 포함하여 ’21대비 1,708억원(27.9%) 증가한 7,826억원을 편성하였다. 이를 통해 재생에너지 전환, 분산전원 확대, 수소경제 활성화, CCUS 분야를 중심으로 탄소중립을 실현해나갈 것이다.
 

* 재생에너지 전환(5) 122억원, 분산전원 확대(5) 337억원, CCUS(3) 170억원, 액화수소 충전 핵심부품 45, 가스터빈부품 49억원
 

한편, 산업부는 중장기적으로 체계적인 기술개발을 위해 바이오매스 유래 화학원료 생산’, ‘태양광 발전효율 향상 및 풍력발전 대형화2030 NDC 달성을 위한 상용화 기술의 신속 개발 계획, 수소환원 제철’, 청정연료 기반 무탄소발전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한계돌파형 혁신 기술개발 계획이 포함된 중장기 기술개발과 지원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 탄소중립 산업·에너지 R&D 전략’(11.7), ‘산업·에너지 탄소중립 대전환 비전과 전략’(12.10)
 

산업부는 ‘30년까지 산업 R&D30% 이상을 탄소중립 기술에 투자하는 등 R&D 예산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대규모 기술개발이 필요한 분야는 대형 예타*를 추진하고 기후대응기금도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 추진 중인 대형 예타 : 탄소중립 산업 핵심기술개발(6.7조원, ‘21.9월 신청), 동해가스전 CCS 실증 예타사업(0.95조원, ´21.12월 신청)
 

’22년 탄소중립 R&D 주요사업 예산 현황
* 신재생에너지핵심기술개발 : (‘21) 1,811억원(‘22) 2,313억원
* 에너지수요관리핵심기술개발 : (‘21) 2,140억원(‘22) 2,404억원
* 전주기산업혁신지원 : (‘21) 110억원(‘22) 137억원
* (신규) 반도체디스플레이온실가스감축공정기술개발 : 22억원
* (신규) 시멘트원료(석회석)대체순환자원확대기술개발 : 26억원
* (신규) 철강분야탄소중립을위한무탄소연료전환및E효율향상기술개발 : 54억원
* (신규) 탄소저감형석유계원료대체화학공정기술개발사업 : 57억원
* (신규) 산업연계형저탄소공정전환핵심기술개발 : 33억원
* (신규) 건물형 태양광 실증센터 기반구축 : 27
* (신규) 차세대 AC/DC Hybrid 배전 네트워크 기술개발사업 : 234억원
* (신규) CO2해양지중저장상용화핵심기술개발 : 72억원
* (신규) 액화수소 충전 핵심부품 및 시설 안전기술개발 : 45억원
* (신규) 가스터빈부품 제조기업 기술역량 강화, 품질/신뢰성 기술개발 : 49억원
산업 디지털 전환(디지털뉴딜) : (‘21) 2,317억원 (’22) 2,640억원(13.9%)
 

산업 디지털 전환 R&D 예산에 2,640억원을 편성하여, 산업 현장에서 직면하는 디지털 전환 수요, 펜데믹 계기 비대면 디지털 경제로의 급속한 전환에 적극 대응한다.
 

특히, 산업 현장에서 기업 공통 애로사항 해결하기 위한 디지털 기술개발, 제철소 전기로 공정 디지털화 기술개발 등 산업디지털 전환을 위한 R&D 사업을 신설*하였다.(4, 147억원)
 

* DX한걸음프로젝트(49억원), 전기로제강공정디지털화(60억원), 디지털유통물류(23억원), 중견기업DNA융합산학협력(15억원)
 

ㅇ 한편, 산업부는 산업 전반에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여 가치사슬 전체를 혁신하고 고부가가치화하기 위한 제도, 지원근거를 담은산업디지털전환촉진법제정(12.7일 국회통과)을 계기로 우리 산업의 안정적이고 체계적인 디지털 전환을 강화할 계획이다.
 

’22년 산업디지털전환 R&D 주요사업 예산 현황
 

* 산업지능화선도밸류체인육성사업 : (‘21) 76억원(‘22) 98억원
* 빅데이터기반자동차전장부품신뢰성기술고도화 : (‘21) 63억원(‘22) 62억원
* 5G기반자율주행융합기술실증플랫폼(자동차산업기술개발 내역) : (‘21) 77억원(‘22) 83억원
* (신규) DX한걸음프로젝트 : 49억원
* (신규) 디지털유통물류기술개발및실증지원 : (‘21) 23억원
 

핵심소재 공급망 안정(소부장) : (‘21) 15,551억원 (’22) 16,816억원(8.1%)
 

핵심 소재부품장비 공급망 안정화와 미래 공급망 창출선점을 위해 16,816억원을 편성하였다. (‘21년 대비 8.1% 증가)
 

으뜸기업 기술개발, 건전한 공급망 협력 생태계 조성, 미래 선도 품목 선점 및 희소금속 대체, 소부장 기업의 실증지원 기반 강화 등을 위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유지한다.
 

’22년 소부장 R&D 주요사업 예산 현황
 

* 소재부품기술개발 : (‘21) 8,866억원(‘22) 1252억원(전략핵심소재자립화기술 1,842억 포함)
* 기계장비산업기술개발 : (‘21) 1,332억원(‘22) 1,581억원
* 소재부품산업기술개발기반구축 : (‘21) 1,954억원(‘22) 1,811억원
* 전자부품산업기술개발 : (‘21) 1,270억원 (’22) 1,302억원
혁신성장 신산업(3) : (‘21) 6,159억원 (’22) 7,870억원 (27.8%)
 

(반도체) 인공지능반도체 상용화, 화합물기반 차세대 전력 반도체 개발, 주력산업 데이터 처리에 필수적인 첨단센서 개발 위한 R&D 예산에 1,517억원을 편성하였다. (‘21년 대비 42.6% 증가)
 

’22년 반도체 분야 R&D 주요사업 예산 현황
 

* 차세대지능형반도체기술개발(설계,제조) : (‘21) 637억원(‘22) 686억원
* (신규) 화합물소재기반차세대전력반도체기술개발 : 72억원
* (신규) PIM인공지능반도체핵심기술개발 : 200억원
* (신규) 시장선도를위한한국주도형K-센서기술개발 : 153억원
 

(미래차) 탄소중립 대응을 위한 전기수소차 개발, 자율주행 핵심기술 고도화, 내연기관 차량의 환경안전규제 및 전환기 대응 등을 위한 R&D 예산에 3,610억원을 편성하였다. (‘21년 대비 32.5% 증가)
 

’22년 미래차 분야 R&D 주요사업 예산 현황
 

* 자동차산업기술개발 : (‘21) 1,567억원(‘22) 2,005억원
*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 : (‘21) 200억원(‘22) 362억원
* (신규) 초고난도자율주행모빌리티인지예측센서기술개발 : 58억원
* (신규) 수소모빌리티확대를위한개방형연료전지시스템설계검증플랫폼 : 48억원
 

(바이오) 바이오신약 및 개량의약품 개발, 의약품 제조공정 핵심 원부자재 고도화, 디지털치료기기 등 첨단의료기기 개발, 친환경 바이오플라스틱 개발 등을 위한 R&D 예산에 2,743억원을 편성하였다. (‘21년 대비 15.7% 증가)
 

’22년 바이오 분야 R&D 주요사업 예산 현황
 

* 바이오산업기술개발 : (‘21) 1,107억원(‘22) 1,236억원
*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산업부) : (‘21) 641억원(‘22) 611억원
* 국가신약개발사업 : (‘21) 151억원(‘22) 461억원
* (신규) 백신원부자재생산고도화기술개발 : 69억원
* (신규) 병원-기업공동연구기반의료기기고도화기술개발 : 14억원
* (신규) 바이오매스기반탄소중립형바이오플라스틱제품기술개발 : 37억원
기타 : 중소중견기업 지원 강화, 인력양성 투자 확대
 

(중소중견 전용) 기술성과 활용*, 우수 기술역량 보유기업 육성**, 취약 분야(디자인엔지니어링) 중견기업 도약*** 지원 중소중견기업 전용 R&D3,524억원을 편성하였다. (‘21년 대비 14.6% 증가)
 

* 기술성과활용촉진(238), 공공혁신수요기반신기술사업(124), 스케일업기술사업화(118)
** 우수기업연구소육성(605), 탄소혁신스타즈300(38), 월드클래스플러스(240)
*** 중견기업재도약지원(10), 중견기업상생혁신(81), 글로벌중견기업육성(206)
 

- 한편, 산업부는 코로나19로 인해 연구여력이 위축된 중소중견기업의 부담완화를 위해 정부 R&D 연구비의 민간부담금 하향* 조정, 참여연구원 인건비 현금계상** 허용 등의 코로나 특별지침(산업부 고시)‘22년에도 계속 적용한다.
 

* 민간부담금 하향 : 중소 33% 20%, 중견 50% 35%
** 인건비 현금 계상 : 신규인력만 허용 신규인력 + 기존인력 추가
 

(인력양성 강화) 고용시장 복원 및 안정망 확충을 위해 직무현장 중심 취업역량을 강화하는 인력양성 R&D1,852억원을 편성하였다. (‘21년 대비 13.9% 증가)
 

* 산업일자리고도화(82억원), 산업혁신인재성장지원(1,304억원), 에너지인력양성(465억원)
 

사업개요일정 등 사업별 추진정보*1228일 산업부 홈페이지와 전담기관 홈페이지*에 공고하는22년도 산업기술혁신사업 통합시행계획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붙임 1, 2 참조)
 

* 한국산업기술진흥원(www.KIAT.or.kr),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www.KEIT.re.kr),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www.KETEP.re.kr)
** 사업개요, 담당자, 신청자격, 지원내용, 추진일정 등
 

’22126일에는 부처 합동설명회(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통해 온라인*으로 ‘22년 산업기술 연구개발(R&D) 사업 시행계획 설명을 시행할 예정이다.
 

* 네이버, 카카오, 유튜브 3개 플랫폼에서 온라인 중계 예정
산업부 관계자는, 우리나라가 펜데믹, 경제안보 핵심품목 공급망 불안정 등의 위기 상황을 효과적으로 타개하고 선도자(first mover) 도약하기 위해서는 경쟁국가 대비 높은 기술력을 보유하는 것이 유일한 방안이며,
 

ㅇ 이러한 측면에서 실물 경제를 책임지는 산업부 R&D 예산이 ‘183.2조원 규모에서 불과 4년 만에 ’225.5조원으로 크게 증가한 것은 큰 의미가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ㅇ 특히, 탄소중립은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인 만큼, 에너지 전환의 지속적인 투자와 더불어 소부장과 혁신성장 신산업 분야에서도 탄소중립 기술을 적용하도록 관련 예산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며,
 

탄소중립 대 전환기에 대응력이 취약한 중소중견기업 등 업계의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예산 지원 외에 다각적인 제도적 지원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붙임 : 1. 2022년도 산업기술혁신사업 통합시행계획 공고문
2. 2022년도 산업기술혁신사업 상세 안내자료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기술정책과 조원철 사무관(044-203-4526), 박진우 주무관(044-203-4527)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OHP필름 A3 (레이저프린터용)100매
칠성상회
만들기대장-역대 대통령 입체 책만들기
칠성상회
대영케미컬 올뉴모닝JA M9Y 밀키베이지 카페인트 스프레이 자동차
칠성상회
그랜드카니발 성에방지커버 자동차 앞유리 커버 덮개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