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2025년 융합형 의사과학자 양성 사업 인프라 지원 기관 선정 발표

2025년 융합형 의사과학자 양성 사업 인프라 지원 기관 선정 발표
- 학부과정에 서울대·연세대, 대학원 과정에 경북대, 고려대, 서울대, 연세대(신촌·원주) 5개 컨소시엄 선정 -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차순도)은 2025년 융합형 의사과학자 양성 사업(학부·대학원 인프라) 공고 결과 각각 2개 의과대학*, 5개 컨소시엄(13개 의과대학 대학원)이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이번에 선발된 기관들은 25년 3월부터 28년 2월까지 3년동안 사업을 수행하면서 의사과학자를 꿈꾸는 학생들을 양성하게 된다.
* (학부) 서울대, 연세대 / 경북대는 '23년 선발('23.9~'26.2)되어 지원 중
** (대학원) 경북대학교(경북대, 계명대), 고려대학교(영남대, 한양대, 충북대), 서울대학교(충남대), 연세대학교신촌(가톨릭대, 아주대, 차의과대), 연세대학교원주(단독)
보건복지부는 2019년부터 '융합형 의사과학자 양성 사업'을 통해 박사학위 취득까지 전주기 양성 과정을 지원하고 있으며, 이렇게 배출된 의사과학자(MD-Ph.D)들이 계속해서 연구할 수 있도록 최대 11년(신진 3년, 심화3년, 리더 5년)까지 의사과학자 경력 단계별로 지원하는 '글로벌 의사과학자 양성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 보건복지부 의사과학자 양성 지원 사업 >
그간 의사과학자 지원 사업의 성과를 살펴보면, 대학원 인프라 지원사업은 2019년부터 컨소시엄당 연간 180백만원(국고 기준, 컨소시엄당 180백만원 매칭)을 지원하였으며, 이를 통해 학교별 의사과학자 양성 시스템을 구축하고, 컨소시엄 내 교육·연구 협력 기반을 마련하였다. 또한, 컨소시엄 자체적으로 전공의를 선발하여 임상 수련과 병행하며 연구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대학원 과정 주요 프로그램 및 2기 사업(2022년~2024년) 주요 성과>
주요 활동 |
주요 성과 |
?의사과학자 양성 사업단 조직 신설 및 의과대학-부속병원 주기적 회의체 운영 ?수련 전공의 대상 의사과학자 진로 유인 프로그램 및 연구 컨설팅 지원 ?바이오 융복합연구 심포지엄 및 Wet-Lab 연구기법 워크숍 ?전공의 연구성과 발표회 ?컨소시엄 대학 간 전공의 연구자 워크숍 등 |
?대학 내 전주기 의사과학자 양성 지원 시스템 구축 ?의사과학자 진로 유인 제도 마련 ?전공의 연구 시간 활동 보장 ?수도권 중심 의과대학에서 지방 의과대학으로 의사과학자 양성 시스템 저변 확대 |
또한, 2022년부터는 의과대학 학부과정까지 지원 대상을 확대하여 연간 270백만원(국고 기준)을 지원하여 의대생들이 의사과학자 진로에 대해 미리 경험하고 고민할 수 있도록 교육환경을 마련하고, 연구 실습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학부과정 주요 프로그램 및 1기 사업(2022년~2024년) 주요 성과>
주요 활동 |
주요 성과 |
?학부생 매칭 연구 프로젝트 ?단과대학 융합 심포지엄 및 부트캠프 ?ECG 챌린지 및 핸즈온 워크숍 ?리서치 페스티벌 및 우수 연구 공모전 등 |
?학부생 국내외 학술대회 구연발표 및 수상 ((예) 서울대 이OO학생, 한국유전체학회에서 Young Scientists' Award 수상) ?학부생의 대학원 진학 확대 ((예) 연세대, 석산·연세 의과학자 육성사업 선발 학생 전원 학부과정 지원사업 참여자) |
이번에 선정된 기관들은 연속적인 사업 추진을 통해 이러한 성과를 더 발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보건복지부 정은영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의사과학자는 임상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을 연구실에서 해결할 수 있는 바이오 헬스 분야의 핵심 인재"라며, "학부부터 의사과학자 진로에 대한 고민을 할 수 있도록 저변을 확대하고, 석·박사생에게는 연구에 집중하며, 지속적으로 연구를 할 수 있는 생태계 조성을 위해 사업 확대를 위한 예산 확보, 각종 제도 개선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라고 강조했다.
<붙임> 1. 융합형 의사과학자 양성 사업 개요
2. 글로벌 의사과학자 양성 사업 개요
[자료제공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