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농림축산식품부]쌀 산업을 소비자 수요에 맞는 고품질 쌀 적정생산 체계로 개편

btn_textview.gif

추진배경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쌀 산업이 생산보다 소비량 감소율이 더 큰 구조적 공급과잉 상태이며, 2005년 이후 12차례에 걸친 시장격리에도 불구하고 쌀값 불안정이 반복되고 있다는 판단에 따라 구조적인 쌀 공급과잉 해소를 위해 쌀 산업 구조개혁 대책(’25~’29)을 마련하였다.

 

  시장에서의 소비자 수요는 소득 증가에 따라 고품질 위주로 다양해지고 있고, 1인당 쌀 소비량감소하는 추세이나(’1861.0kg ’2356.4) 무게 중심 생산체계가 지속되고 있다.

 

  농식품부는 쌀 산업이 더 이상 시장격리에 의존하지 않고도 수급안정유지하고, 소비자 수요에 기반한 고품질 중심 생산체계로 전환할 수 있도록 벼 재배면적 감축, 품질 고급화 등 5대 주요 과제를 추진한다.

 

5대 주요 과제

 

과제 재배면적 감축

 

  벼 재배면적 8감축을 목표로 ’25년부터 벼 재배면적 조정제를 시행한다. 감축 면적 8를 시·도별로 배정하고, 농가는 타작물 전환, 친환경 전환 등 다양한 방식으로 면적 감축을 이행하게 된다. 감축을 이행한 농가 중심으로 공공비축미 매입 등 정부지원 인센티브를 제공할 계획이다.


  벼 재배에서 타작물로 전환하는 농가를 지원하기 위해 전략작물직불제 확대(’241,865억원 ’252,440)하고, 하계 조사료와 밀의 경우 지급단가를 인상*하여 지원한다. 식품기업과 연계하여 콩 등 전략작물의 제품개발·판촉 등 소비기반 확대를 지원한다. 논에 타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배수개선(’25년 신규 10지구), 논 범용화 등 타작물 생산기반 지원도 확대한다. 신규 임대 또는 계약 갱신 간척지에 대해서는 일반 벼 재배 제한(’251,300)추진한다.

 

       * 지급단가(’24 ’25, 만원/): (하계조사료) 430 500, () 0 100, () 50 100

 

  효과적인 재배면적 감축 이행점검을 위해 위성사진을 활용한 재배면적 니터링 시스 구축하고, 농가 간 감축면적 거래 등 다양한 이행방식 발굴하여 현장 불편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도별 감축 이행을 뒷받침하기 위해 벼 재배면적 조정제 현장지원단을 구성·운영한다.

 

과제 품질 고급화

 

  고품질 품종 중심으로 생산·소비구조를 전환한다. 우선 품질 쌀 전문생산단지(50~100)를 지정·운영한다. 생산자단체 주도로 비료 저감, 고품질 쌀 산을 담당하게 된다. ·도별로 ’251개소씩 시범 운영하고, 단계적으로 확대한다(’29 2개소). 정부 보급종 공급체계를 소비자 선호 품종 중심으로 개편해 나갈 계획이다. , 향이 뛰어난 최우수 품종(15개 내외) 새롭게 선정하여 정부 보급종으로 집중 보급한다(’29년까지 90%). 지역보다는 품종 중심으로 소비자 인식을 전환하기 위해 단일품종·인증쌀(친환경 ) 등 품종별 특성을 부각한 홍보를 추진한다.

 

  단수가 낮고 품질이 좋은 친환경 벼 재배’2968까지 확대한다. 이를 위해 친환경 벼는 공공비축미 매입 시 인상된 가격으로 우선 하고, 일반 벼에서 친환경 벼전환 공공비축미로 전량 매입한다(최대 15만톤). 친환경직불 논 단가도 전년대비 인상한다(’24년 유기 70만원/㏊ → ’2595만원 등).

 

고품질 쌀 생산·유통 확산을 위해 양곡표시제를 개편한다. 현재 임의 사항인 단백질 함량 표시의무사항으로 변경하고, 쌀 등급 중 ’, ‘보통대상으싸라기 최고 혼입 한도하향한다.

 

      * 쌀의 등급기준 별표 : (현행) 상 등급 싸라기 함량 7%, 보통 12% (개선) 6%, 보통 10%


과제 신규수요 창출

 

  식품기업의 민간 신곡 쌀 활용 확대하기 위해 제도를 개선한다. 정부양곡에서 민간 신곡으로 전환하는 식품기업에 대해서는 식품· 정책자금 우대를 제공한다. 식품기업·RPC와 연계한 수출·가공용 생산단지를 시범 구축하고, 가공밥류 정부양곡 공급은 단계적으로 제한한다.

 

전통주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세제 혜택규제 완화를 추진한다. 제조업체 부담 완화를 위해 ’25년부터 주세 감면 구간을 확대하고(30% 감면구간 신설), 지역특산주 주원료 기준을 완화한다.

 

  쌀가공식품·쌀 수출을 확대한다. 쌀가공식품 수출 확대(’2410만톤 ’2918)를 위해 쌀가공식품 수출 현지 홍보관을 신설하고,(싱가폴·중국 등) 온라인 B2B 판매관 확대 등 판로를 지원한다. 밥쌀용 쌀은 싱가폴 등 유망한 신규 시장을 중심으로 단계적으로 수출을 확대한다.

 

  UN 기구인 WFP 등과 협력하여 아프리카·아시아 중심으로 식량원조를 ’2411만톤에서 ’2516만톤으로 확대한다.

 

  소비자쌀 인식 개선을 위한 홍보를 강화한다. 탄수화물·쌀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전환하기 위해 과학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소비자 체험(백화점 등), 전문가 포, 방송 등을 통해 쌀 소비를 홍보한다. 또한 초등학생 대상 곡물체험학교 유아 대상으로 시범적으로 확대한다.

 

과제 산지유통 경쟁력 강화

 

  산지유통 구조고품질·단일품종 중심으로 전환한다. 고품질 쌀 유통 RPC 지정하고, 생산부터 가공까지 이력을 관리하는 생산이력제를 시범적으로 추진한다. 혼합미 비율을 낮추기(’2342% ’2910%) 위해 정부지원 RPC의 단일품종·고품질 쌀 매입을 유도한다.

 

  산지유통 산업 체질을 개선하기 위해 시장 거래질서 확립과 RPC 수익구조 개편을 추진한다. 경영 투명성을 강화하기 위해 회계정보 공시, 경영계획서 제출 의무화 등을 추진하고, 가판매 등 시장교란 행위제재한다. RPC 이익의 농가 환원을 유도하고, 생산자와 RPC 상호 합의에 의한 수탁거래를 활성화한다. RPC 수익구조 개선을 위해 단순 도정에서 벗어나 제분, 쌀가공식품 생산 등 사업 다각화 촉진 방안을 마련한다.


과제 R&D 기반 확충

 

  고품질 쌀 생산과 전략작물 전환을 위한 생산기술 R&D를 추진한다. 적정생산을 위한 비료 저감 기술을 개발하고, 지역별로 전략작물 이모작 모델을 개발한다. 논 재배에 적합하도록 논 콩, 유지작물()을 대상으로 품종·재배기술을 개발·보급한다.

 

  장립종·헬스케어 등 유망 식품분야 맞춤형 R&D를 지원한다. 외국인 수요가 높은 장립종은 품종개발 신규 R&D를 추진하고, 헬스케어 식품혈당 저감 기능성 품종 등을 활용한 소재화, 제품개발을 지원한다. 현장에 기반한 R&D 수요 발굴을 위해 쌀가공식품 R&D 협의회를 운영한다.

 

  농식품부 최명철 식량정책관은 쌀 산업 구조개혁 대책 추진으로 구조적인 쌀 공급과잉을 해소하고, 관행적 생산체계를 소비자가 원하는 고품질 ·친환경 체계로 전환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쌀 산업의 경쟁력을 이고 쌀값 안정에도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도록 정책 과제를 차질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붙임 쌀 산업 구조개혁 대책목표 및 전략 인포그래픽

별첨 쌀 산업 구조개혁 대책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3M 4421 다용도 양면테이프 사각 10x35mm 20개입
바이플러스
3M 810 매직테이프 50mm x 65M
바이플러스
스마토 로프 탄력바 차량용 안전바 고무바 화물차 10M
칠성상회
카피바라 마시멜로 말랑이 (8개)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