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농림축산식품부]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국내 가금농장(강원 동해) 첫 발생에 따라 방역관리 강화 중

btn_textview.gif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하 중수본)1029일 신고된 강원 동해시 소재 산란계 농장(700여 마리, 오리 80여 마리 혼합 사육)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발생(H5N1)하여 방역관리를 강화한다고 밝혔다.

 

  지난 102일 전북 군산 만경강에서 채취한 야생조류 분변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처음 검출된 이후 야생조류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3건 검출*되었으며, 2024/2025 동절기 들어 가금농장에서는 첫 발생 사례이다. 최근 일본에서도 연이어 가금농장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하고 있으며, 겨울철새가 본격적으로 도래하고 있어 방역관리 강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 102일 군산 만경강, 1014일 용인 청미천, 1017일 제주 용수지

  ** 가금농장 3(육계 1, 산란계 2), 야생조류 6

 

  중수본은 1029일 해당농장에서 H5형 조류인플루엔자가 확인된 즉시 해당농장의 가금 780여 마리를 살처분하는 등 초동방역을 실시하였고, 전국 가금농장 및 관련 축산시설(도축장, 사료공장 등), 축산차량에 대해 1030() 00시부터 24시간 동안 일시이동중지(Standstill) 명령을 발령하였다.

 

  H5형 검출 이후 1030일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로 최종 확진됨에 따라, 철새도래지, 가금농장 등에 대한 소독, 점검, 검사 등 방역관리를 강화한다.

 

  첫째, 발생농장 역학 관련 농장(7), 축산차량(3)에 대한 이동제한 및 정밀검사를 실시하고, 전국 철새도래지 주변 도로 및 인근 가금농장, 소규모 농장 주변 등에 가용한 모든 소독 자원(900여 대)을 투입하여 매일 소독하고 있다.

  둘째, 전국 소규모 가금농장(1,328)의 차단방역 수칙 준수 여부 등을 1115일까지 다시 한번 점검하고, 철새도래지 등 위험지역 내 소규모 가금농가는 적극적으로 수매·도태를 추진한다.

 

  셋째, 사전에 지정된 농장별 전담관(2,549)을 활용하여 가금농가를 대상으로 발생상황 및 방역수칙 등을 지속 지도·안내하고, 조기 신고 등을 위한 홍보물(리플릿, 인포그래픽, 카드뉴스 등)을 외국인 근로자 등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작하여 추가 배포한다.

 

  한편, 중수본은 겨울철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의 확산 차단을 위해 올해 10월부터 내년 2월까지를 특별방역기간을 설정하여 방역관리를 강화하는 특별방역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중점방역관리 지구 내 가금농가에 대한 예찰·점검 등을 강화하면서, 10만 마리 이상 산란계 사육농장(205), 산란계 밀집단지(10개소)에 대해 검역본부 및 지자체 전담관을 지정하여 특별관리하는 한편, 축산계열화사업자가 자체적으로 계약 사육농가의 방역상황을 관리하는 자율방역체계도 구축하였다. 또한, 농장간 수평전파를 최소화하기 위해 농장 조류인플루엔자 검사 주기를 단축하는 등 방역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럼피스킨 방역관리에도 총력을 기하고 있다. 럼피스킨은 지난해 1019일 국내에서 첫 발생하여 1120일까지 총 107건 발생하였으며, 올해는 4월부터 고위험지역 중심의 단계적 백신접종*, 주요 항만 등의 매개곤충 방제 등 방역관리를 추진하여 8월 경기 안성 한우농장에서 첫 발생 이후 12주차인 1030일 기준 총 17건이 발생**하였다.

 

   * 고위험지역 40개 시·122만마리(4) 접경지역(인제·화천) 2만마리(7) 발생·인접 지역 26만마리 긴급접종(8~9) 기발생지역 인근 지역 등 148만마리 접종(9~10)

  ** 안성(8.12), 이천(8.31), 양구(9.11), 여주(9.18), 충주(9.19), 평택(10.2), 양양(10.3), 고성(10.4), 양양(10.9), 상주(10.19), 인제(10.24), 당진(10.24), 원주(10.25), 문경(10.25), 충주(10.27), 원주(10.28), 안성(10.29)

 

20241030_141900690_50286.jpeg

< 2023년 및 2024년 기간별 럼피스킨 발생추세 비교 >

  선제적 백신접종·관리 등에도 불구하고, 임신말기 어미소, 갓 태어난 송아지 등 일부 백신접종이 누락된 개체에서 산발적으로 럼피스킨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백신접종 관리 강화를 위해 축산물이력관리시스템을 통한 백신접종 누락개체 확인 및 추가 접종을 실시하고, 소 거래 시 백신접종 증명서 휴대를 의무화하였다. 또한, 침파리, 모기 등 매개곤충으로 인한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중국산 사료원료를 수입하는 사료제조업체와 가축시장에 대한 매개곤충 방제도 한층 강화*하고 있다.

 

  * 소 사료제조업체(160개소)에 매개체 방제 기본지침 제공 및 방제이행 점검, 가축시장 출입 차량 거점소독시설 소독 의무화 행정명령(10.29~11.30)

 

  최근까지 농장 내 매개곤충 활동이 관찰되고 있고, 바이러스 잠복기(4~14) 등을 감안할 때 11월까지는 산발적 발생이 예상되나, 향후 기온이 점차 낮아짐에 따라 럼피스킨의 주요 전파요인인 침파리, 모기 등 매개곤충의 활동성이 저하*되어 럼피스킨 발생이 점차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에도 럼피스킨은 발생초기에 발생이 빠른 속도로 확산되었으나, 11월부터 발생빈도가 점차 낮아진 바 있다.

 

  * 매개곤충 활동 가능한 기온: 모기15이상, 침파리11.5이상

 

  현재 럼피스킨 발생 시 발생농장에서 사육중인 모든 소를 정밀검사하여 양성인 개체만을 살처분하고 있으며, 올해 살처분 마릿수는 166마리(한우 151, 젖소 15)로 지난해 6,455마리보다 적은 상황이다.

 

  농식품부 김종구 농업혁신정책실장은 앞으로도 당분간은 백신접종이 소홀한 농장 중심으로 럼피스킨이 산발적으로 발생한 가능성이 높으므로, 소 사육 농가들은 새로 태어난 송아지 등은 적시에 백신접종을 실시하여 주시고, 주변 사육환경을 깨끗이 하여 매개곤충의 서식밀도를 낮추어 주시기를 바란다.”라고 당부하였으며, “특히, 올해 백신 미접종 지역은 매개곤충 방제 등 럼피스킨 방역관리에 더욱 최선을 다할 필요가 있다.”라고 강조하였다.

 

  또한, “곧 철새가 본격적으로 도래하면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위험은 더욱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가금농가들은 내 농장은 내가 지킨다.’라는 마음가짐으로 기본적인 방역수칙을 준수하고, 의심증상 발견 시 즉시 방역당국으로 신고해 달라.”라고 마무리하였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3M 프리미엄 스티커크리너 PIC10
바이플러스
3M 810 매직테이프 50mm x 65M
바이플러스
OPP 투명접착 8X20+4cm 200장
칠성상회
(Box) OPP봉투 접착 8X20+4 3100장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