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2020년 코로나19 유행 첫 해, 암 발생자수 감소 및 5년 단위(2014∼2018) 시군구별 암발생 통계 결과…
2020년 코로나19 유행 첫 해, 암 발생자수 감소 및 5년 단위(2014∼2018) 시군구별 암발생 통계 결과 발표 |
- 코로나19 유행으로 의료이용 감소에 따른 암진단 감소 추정 - - 이전 5년(2009-2013) 대비 시군구간 암 발생률 및 지역간 격차 감소 - |
□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와 중앙암등록본부(국립암센터, 원장 서홍관)는 국가암등록통계사업을 통해 수집된 우리나라 2020년 국가암등록통계 및 2014∼2018년 지역별 암발생 통계를 발표하였다.
○ 암등록통계는 암관리법 제14조에 근거하여 의료기관의 진료기록을 바탕으로 암환자 자료를 수집·분석하여 매년 2년 전 암 발생률, 생존율, 유병률을 산출하고,
○ 지역별 암발생 통계는 5년 주기로 발표하고 있으며, 이번 발표는 2016년도(2009∼2013년)에 이어 두 번째이다.
< 암발생 통계 산출방식 >
2020년 국가암등록 통계
- (암종) 주요 24개 암종
- (표준인구) 2020년 주민등록 연앙인구를 표준인구로 연령표준화암발생률 산출
- (발표주기) 1년
2014-2018년 지역별 암발생 통계
- (암종) 주요 24개 암종
- (기간) 2014~2018년
- (지역구분) 통계청 행정구역 분류(‘14년 기준 252개)
- (표준인구) 2020년 주민등록 연앙인구를 표준인구로 연령표준화암발생률 산출
- (발표주기) 5년
1. 2020년 국가암등록 통계 주요내용
① 암 발생 관련
○ (암환자 수) 2020년 신규 발생한 암환자 수는 24만 7,952명(남 13만 618명, 여 11만 7,334명)으로, 2019년(25만 7,170명) 대비 9,218명(3.6%) 감소하였다.
- 전년 대비 남자는 4,866명(3.6%), 여자는 4,352명(3.6%) 감소하였으며, 매년 증가*하던 신규 암 환자 수는 코로나19 발생의 영향으로 2020년에는 감소하였다.
* (’17) 23.7만 명→ (’18) 24.7만 명 → (’19) 25.7만 명→ (’20) 24.8만 명
- 2019년과 비교했을 때 상위 10개 호발암종* 중 위암(3,058명, 10.3%), 갑상선암(1,827명, 5.9%), 대장암(1,549명, 5.3%) 순으로 감소 폭이 컸고, 췌장암(260명, 3.2%), 담낭 및 기타담도암(24명, 0.3%)은 증가하였다.
* 발생빈도가 높은 암
○ (암발생률) 전체 인구 10만 명 당 연령표준화발생률*(이하 발생률)은 482.9명으로 전년 대비 32.2명(6.2%) 감소하였다.
* ’20년 주민등록연앙인구를 표준인구로 연령표준화율 산출(시점간/지역간 비교에 활용)
* ’20년 통계부터 표준인구가 변경(이전: ‘00년 주민등록연앙인구) 됨에 따라 이전 통계와 비교시 주의 요망
* 10만 명 당 발생률: (’17) 502.5명 → (’18) 508.2명 → (’19) 515.1명 → (’20) 482.9명
* 그림 : 첨부파일 본문 참조
- 성별 암 발생률은 전년 대비 남자 44.0명, 여자 24.7명 감소하였다.
* 남자 암 발생률: (’17) 603.9명 → (’18) 607.3명 → (’19) 607.8명 → (’20) 563.8명
* 여자 암 발생률: (’17) 441.6명 → (’18) 448.6명 → (’19) 460.3명 → (’20) 435.6명
※ 암 발생자수 감소 요인
· 코로나19 유행 이후 의료이용 감소로 인한 진단 감소 영향으로 추정
* (월별 암 발생자수) 2017∼2019년 동월 평균 대비 2020년 모든 암 발생자수는 코로나19 1차 유행 및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된 3, 4월 각각 18.7%, 14.4% 감소하였다가 확진자수가 안정화되어 생활 속 거리두기로 전환되었던 6월 10.7% 증가하였으며 그 외 기간은 최대 9.5% 증가, 최소 4.5% 감소하여 전년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함
< 2017~2019년 대비 2020년 모든 암 월별 암 발생자 수 > 첨부파일 본문 참조
* (의료이용 변화) 2020년 신규 암 진료 환자수는 2019년 대비 3.0% 감소하였으며, 연령별로는 40∼50대와 70대, 암종별로는 위암과 결장암에서 신규 진료 환자수가 각각 9.6%, 6.3% 감소*함. 또한 2017-19년 동월 평균 대비 2020년 진료실인원은 3, 4월에 입원 16.4%, 외래 16.5% 감소하였으며 6, 7월에 감소폭이 각각 3.0%까지 줄었다가 이후 13.8%, 14.1%까지 차차 증가**함
* 암 질환의 의료이용 현황 분석(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21)
** 건강보험통계연보(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건강보험공단, 2017-2020)
* (암 검진 수검률 변화) 국민건강보험가입자*(의료급여 제외)에서 암 검진 수검율은 2019년 55.8%에서 2020년 49.6%로 6.2% 감소함
* 건강검진통계연보(국민건강보험공단, 2020)
○ (암발생확률) 우리나라 국민이 기대수명(83.5세)까지 생존할 경우 암에 걸릴 확률은 36.9%였으며, 남자(80.5세)는 5명 중 2명(39.0%), 여자(86.5세)는 3명 중 1명(33.9%)에서 암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 (암 발생 순위) 2020년 가장 많이 발생한 암은 갑상선암이며, 이어서 폐암, 대장암, 위암, 유방암, 전립선암, 간암 순이었으며, 2019년 대비 대장암과 위암의 순위가 변동 되었다.
* (남녀전체) 갑상선암(2만 9,180명) – 폐암(2만 8,949명) – 대장암(2만 7,877명) – 위암(2만 6,662명) – 유방암(2만 4,923명) – 전립선암(1만 6,815명) – 간암(1만 5,152명) 순
- 남자는 2019년 대비 전립선암의 순위가 상승(4위→3위)하였으며, 여자의 경우 2019년 위암-폐암-간암의 순위에서 2020년 폐암-위암-췌장암의 순으로 발생순위가 변경되었다.
* (남자 암 발생순위) 폐암 – 위암 – 전립선암 – 대장암 – 간암 - 갑상선암 순(여자 암 발생순위) 유방암 – 갑상선암 – 대장암 – 폐암 – 위암 - 췌장암 순
○ (암발생추이) 국가암검진사업* 대상 암종인 6대암(위암, 대장암, 간암, 폐암, 유방암, 자궁경부암)의 장기 추세를 보면, 발생률이 모두 감소한 2020년을 제외하고,
* 암의 치료율을 높이고 암으로 인한 사망률을 줄이기 위하여 암을 조기에 발견하는 검진사업
- 위암, 대장암, 간암, 자궁경부암의 발생률은 최근 10여 년간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폐암은 유의미한 증감 추세를 보이지 않았다. 다만, 유방암의 발생률은 20년간 증가하는 추세이다.
- 그 외 전립선암은 1999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이며, 2012년부터 감소하였던 갑상선암은 2015년 이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 주요 암종별 발생률(남녀 전체) 추이 (단위: 명/10만 명) >
구분 |
위 |
대장 |
간 |
자궁경부 |
폐 |
유방 |
|
전립선 |
갑상선 |
’99 |
86.0 |
40.8 |
52.4 |
14.2 |
59.8 |
17.2 |
7.4 |
9.8 |
|
’10 |
84.4 |
74.5 |
44.2 |
9.5 |
62.9 |
33.2 |
24.3 |
79.8 |
|
’15 |
67.8 |
63.3 |
36.7 |
7.7 |
59.0 |
40.2 |
24.9 |
51.4 |
|
‘18 |
61.3 |
59.0 |
33.0 |
7.1 |
61.1 |
47.3 |
31.8 |
57.0 |
|
’19 |
59.8 |
59.3 |
31.7 |
6.5 |
61.3 |
49.3 |
34.5 |
60.6 |
|
’20 |
51.9 |
54.3 |
29.5 |
5.8 |
56.4 |
48.5 |
|
32.7 |
56.8 |
○ (국제 비교) 세계표준인구*로 보정한 우리나라 암발생률은 인구 10만 명 당 262.2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300.9명), 미국(362.2), 프랑스(341.9), 캐나다(348.0), 이탈리아(292.6) 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 연령구조가 다른 지역, 기간별 비교를 위해 세계표준인구를 기준인구로 연령표준화한 수치로 암발생률 국제 비교 시 활용
② 암 생존 관련
○ (생존율) 최근 5년간(’16∼’20) 진단받은 암환자의 5년 상대생존율*(이하 생존율)은 71.5%로, 암환자 10명 중 7명은 5년 이상 생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5년 상대생존율) 암환자의 5년 생존율과 일반인의 5년 기대생존율의 비로, 일반인과 비교하여 암환자가 5년간 생존할 확률을 의미
< 모든 암의 5년 상대생존율: 1993-2020 > : 첨부파일 본문 참조
- 5년 생존율은 지난 1993년도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약 10년 전(’06∼’10)에 진단받은 암환자의 생존율(65.5%)과 비교할 때 6.0%p 높아졌다.
- 성별 5년 생존율은 여자(77.8%)가 남자(65.5%)보다 높았으며, 이는 여자가 생존율이 높은 갑상선암(5년 생존율 100%, 발생분율 18.5%) 및 유방암(5년 생존율 93.8%, 발생분율 21.1%)의 비율이 더 높기 때문이다.
○ (암종별) 갑상선암(100.0%), 전립선암(95.2%), 유방암(93.8%)이 높은 생존율을 보였고, 간암(38.7%), 폐암(36.8%), 담낭 및 기타담도암(29.0%), 췌장암(15.2%)은 상대적으로 낮은 생존율을 보였다.
- 약 10년 전(‘06∼’10) 대비 생존율이 10%p 가량 상승한 암종은 폐암(16.6%p 증가), 간암(10.4%p 증가), 위암(9.5%p 증가)이었다.
○ (국제 비교) 국가암검진사업 대상 암종에 대해 국제 비교해 보면, 5년 순 생존율*은 미국, 영국 등에 비해 대체로 높은 수준이다.
< 주요 암의 5년 순 생존율* 국제 비교(’10-’14) >
구분(%) |
위 |
대장 |
간 |
폐 |
유방 |
자궁경부 |
|
결장 |
직장 |
||||||
한국 |
68.9 |
71.8 |
71.1 |
27.2 |
25.1 |
86.6 |
77.3 |
미국 |
33.1 |
64.9 |
64.1 |
17.4 |
21.2 |
90.2 |
62.6 |
영국 |
20.7 |
60.0 |
62.5 |
13.0 |
13.3 |
85.6 |
63.8 |
일본 |
60.3 |
67.8 |
64.8 |
30.1 |
32.9 |
89.4 |
71.4 |
Allemani C, Matsuda T, Di Carlo V, Harewood R, Matz M, Nikši? M, et al. Global surveillance of trends in cancer survival 2000-14 (CONCORD-3): analysis of individual records for 37,513,025 patients diagnosed with one of 18 cancers from 322 population-based registries in 71 countries. Lancet 2019;391(10125):1023-1075. doi: 10.1016/S0140-6736(17)33326-3.
* 5년 순 생존율: 암이 유일한 사망원인인 경우 암환자가 진단 후 5년간 생존할 확률. 연령구조가 다른 지역·기간별 비교 위해 연령표준화한 수치로, 암생존율 국제 비교 시 활용
③ 암 유병 관련
○ (암유병자) 2020년 암 유병자(1999년 이후 확진을 받아 2021년 1월 1일 기준, 치료 중이거나 완치된 사람)는 약 228만 명으로, 전년(약 215만 명) 대비 약 13만 명 증가하였다.
- 이는 국민(5,134만 9,267명) 23명당 1명(전체인구 대비 4.4%)이 암유병자라는 것을 의미한다.
* 남자 26명당 1명(3.9%), 여자 20명당 1명(5.0%)
** 2019년은 국민(5,133만 7,432명) 25명 당 1명(전체인구 대비 4.2%), 남자 27명 당 1명(3.7%). 여자 21명 당 1명(4.7%)
- 특히 암 진단 후 5년 초과 생존한 암환자는 전체 암유병자의 절반 이상(60.1%)인 약 137만 명으로, 전년(약 127만 명) 대비 약 10만 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그림 : 첨부파일 본문 참조
< 모든 암 유병자 수 및 진단 후 경과 기간별 암유병자 분율 >
- 65세 이상에서는 7명 당 1명이 암유병자였으며, 남자는 6명 당 1명, 여자는 9명 당 1명이 암유병자였다.
* 65세 이상 암유병자는 109만 322명으로, 65세 이상 전체 인구(813만 4,677명)의 13.4%에 해당(남자 16.8%, 여자 10.8%)
○ (암종별) 갑상선암(48만 9,688명)의 유병자수가 전체의 21.5%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위암(33만 217명), 대장암(29만 2,586명), 유방암(27만 9,965명), 전립선암(12만 423명), 폐암(11만 1,208명) 순이었다.
- 암유병자 수를 성별로 살펴보았을 때, 남자는 위암(21만 7,881명), 대장암(17만 3,285명), 전립선암(12만 423명), 갑상선암(9만 1,546명), 폐암(6만 6,240명) 순이며,
- 여자는 갑상선암(39만 8,142명), 유방암(27만 8,953명), 대장암(11만 9,301명), 위암(11만 2,336명), 자궁경부암(6만 467명) 순이었다.
2. 2014∼2018년 지역별 암발생 통계 주요내용
□ (암 발생률) 2014∼2018년 간 모든 암(24개 암종)의 인구 10만 명 당 연령표준화 발생률*(이하 발생률)은 502.6명이었다
* ’20년 주민등록연앙인구를 표준인구로 연령표준화율 산출(시점간/지역간 비교에 활용)
○ (지역별 발생률) 지역별 암 발생률은 부산(525.9명)이 가장 높았고, 제주(480.5명)가 가장 낮았으며,
- 시군구 단위에서는 경북 울릉군(562.4명)이 가장 높았고, 강원 횡성군(436.6명)이 가장 낮았다.
○ (암종별 발생률) 주요 암종별 발생률* 순위는 여성 유방암(84.8명)이 가장 높았고, 위암(66.6명), 전립선암(65.0명), 대장암(62.5명), 폐암(60.2명), 갑상선암(55.0명), 간암(35.1명), 자궁경부암(14.2명) 순이었으며,
* 유방암, 자궁경부암은 여성 인구, 전립선암은 남성 인구를 표준인구로 하여 산출하였으며, 남녀 전체인구에서 가장 발생률 높은 암종은 위암
- 주요 암종의 발생률이 높은 지역은 (위암)대전·충남, (대장암)인천·충북 (폐암)세종·충북, (유방암)서울·경기, (간암)전남·경남, (전립선암)세종·제주, (자궁경부암)부산·대구·경북, (갑상선암)부산·대구이었다.
○ (이전 대비 발생률) 5년 전(2009∼2013년) 대비 2014∼2018년 모든 암 및 주요암종(위암, 대장암, 간암, 자궁경부암, 폐암, 갑상선암)의 발생률이 감소하였으나, 여성 유방암 및 전립선암은 증가하였다.
* 모든 암 : 548.9명(‘09-’13) → 502.6명(’14-’18), 46.3명 감소
* 주요 암 : 갑상선암(84.6명 → 55.0명), 위암(81.4명 → 66.6명), 대장암(74.1명) → 62.5명), 간암(42.2명 → 35.1명), 자궁경부암(16.7명 → 14.2명), 폐암(61.8명 → 60.2명), 여성 유방암(68.1명 → 84.8명), 전립선암(60.9명 → 65.0명)
* 그림 : 첨부파일 본문 참조
<2009∼2013년 대비 2014∼2018년 모든 암 및 암종별 발생률> : 그림 첨부파일 본문 참조
<2009∼2013년 대비 2014∼2018년 시도별 모든 암 발생률 추이> : 그림 첨부파일 본문 참조
□ (지역간 격차) 모든 암의 시군구 간 발생률 격차*는 54.6명이며, 격차가 가장 큰 암종은 여성 유방암(35.0명)이었고, 자궁경부암(8.2명)이 가장 낮았다.
* 시군구별 암 발생률 상위 20% 평균과 하위 20% 평균의 차이
* 여성 유방암 상위 20% 시군구 평균(95.8명), 하위 20% 시군구 평균(60.8명)
자궁경부암 상위 20% 시군구 평균(18.5명), 하위 20% 시군구 평균(10.3명)
* 그림 : 첨부파일 본문 참조
<2014∼2018년 모든 암 및 암종별 시군구 간 격차>
○ (이전 대비 격차) 5년 전(2009∼2013년) 대비 2014∼2018년 모든 암 발생률의 시군구 간 격차는 26.6명 감소(81.1명→ 54.6명) 하였다.
- 주요 암종 발생률의 시군구 간 격차*는 갑상선암, 위암, 전립선암, 간암, 대장암, 폐암, 자궁경부암에서 감소하였고, 여성 유방암은 감소하지 않았다.
* 갑상선암(55.0명 → 29.3명), 위암(27.6명 → 21.8명), 전립선암 (29.3명 → 23.9명)
간암(22.9명 → 19.0명), 대장암(19.7명→ 16.4명), 폐암(18.6명 → 15.7명),
자궁경부암(10.1명 → 8.2명), 여성 유방암(34.8명 → 35.0명)
* 그림 : 첨부파일 본문 참조
<2009-2013년 대비 2014-2018년 모든 암 및 암종별 시군구 간 격차 변화>
3. 국가암등록 통계 활용 방안
□ 보건복지부 박향 공공보건정책관은 “우리나라 암등록통계사업은 암 관리 정책의 효과와 미비점을 제시해주고, 정책 추진 방향의 과학적 근거가 된다.”라고 설명했다.
○ “2020년 암발생자 수 및 발생률이 크게 감소한 것은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암 검진 등 의료이용이 감소한 영향으로 보이며,
- 최근 몇 년 간 코로나19로 인하여 암검진 수검율이 답보상태를 보이고 있어 암의 조기진단과 치료 성과 향상을 위해 암 검진을 적극 독려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 암검진 수검율(%) : 55.8(‘19) → 49.6(’20) → 55.6(‘21)
○ 또한 “감염병 발생 시 암관리 취약 계층의 발굴과 체계적인 암환자 관리를 위해 매뉴얼 개발 등, 감염병 유행이 반복되더라도 전 주기적 암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 특히, 이번에 발표한 2014∼2018년 지역별 암발생 통계에서 이전 2009-2013년 대비 시군구별 암발생률 격차가 감소한 것은 그간 국가암관리 정책의 적극적 추진에 따른 결과라 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 국가암관리사업 주요 내용 >
• (목적) 암 예방, 조기발견 및 치료, 치료후 관리까지 전주기에 걸친 지원을 통해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 향상
• (2022년 예산) 583억 원
• 주요사업내용
- (암등록통계 및 예방·홍보) 국가 차원의 암의 발생 및 치료정보 수집·분석, 포괄적인 암정보 제공 및 교육을 통한 암예방 홍보
- (국가암검진) 6대 주요암(위암, 대장암, 간암, 폐암, 유방암, 자궁경부암)의 조기발견을 위한 암검진 지원
- (호스피스전문기관 지원) 말기암 환자에 대한 완화의료서비스 지원
- (지역암센터 운영지원) 지역내 암치료를 위한 접근성 강화 및 지역단위 암관리사업 추진
- (암생존자통합지지 사업) 암생존자와 그 가족에게 통합적 서비스 제공을 통해 사회복귀 지원
- (암역학조사) 중앙·지역 암역학조사 체계 구축 및 암 발생 현황의 지속감시로 특정 암 발생률의 유행 관리
- (암연구 국제협력) 우리나라가 회원국으로 가입되어 있는 국제 암연구(IARC) 활동 지원
- (지역사회 비대면 암케어 디지털 통합플랫폼 확산) 시공간의 물리적 제약이 없는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암환자 대상 비대면 진료
□ 보건복지부는 이번 지역별 암발생 통계를 바탕으로,
○ 지자체별 암관리사업 추진 시, 암 발생이 높은 지역을 암관리사업 우선순위로 선정하여 지역 실정에 맞는 특화된 사업을 계획하여 시행하도록 안내하고,
< 지역특화사업 사례(경북 울릉군) >
▸ 경북 울릉군의 경우 경상북도 내에서 간암 발생률이 가장 높게 나타나 간암 고위험군 대상 검진과 지역주민대상 예방교육을 진행(‘19~’21)하였고, 2022년부터는 고위험군 등록관리사업을 통해 지속적인 진료 지원 중
○ 지속적으로 암 발생이 높게 나타나는 지역에 대해서는 후속 연구를 통해 환경 위해 요인 분석 등 암 역학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 역학조사 사례(전남 진도군) >
▸ 전남 진도군의 경우 1999~2008년 전국 대비 약 1.5배의 높은 간암 발생률을 보임
▸ 2009년 원인규명을 위해 조사실시 및 2012~2014년 심층역학조사를 진행한 결과 간염 유병율이 대조 지역에 비해 B형 간염은 1.6배, C형 간염은 5.7배 높은 것을 발견
▸ 이에 2015년부터 진도군 보건소 및 지역의료기관과 연계하여 유소견자 관리사업 및 간암 검진과 예방사업 실시 중
□ 2020년 국가암등록통계 및 시군구별 암발생통계는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을 통해 자료를 공개함으로써 누구든지 열람·분석·연구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 별첨 > 1. 2020년 국가암등록통계 주요 결과
2. 2014-2018 시군구별 암발생통계 주요 결과
3. 국민 암예방 수칙
[자료제공 :(www.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