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질병관리청][5.20.월.조간] 폭염 대비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 운영 시작

btn_textview.gif


폭염 대비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 운영 시작


- ’24.5.20.부터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 일일 발생 감시 및 현황정보 제공

- 올해 여름철 지속될 더위에 열사병, 열탈진 등 온열질환 주의 필요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여름철 폭염으로 인한 건강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2024년 5월 20일부터 9월 30일까지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를 운영한다.

  * 온열질환은 열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질환으로 뜨거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 시 두통, 어지러움,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저하 등의 증상을 보이고, 방치 시에는 생명이 위태로울 수 있는 질병으로 열사병과 열탈진이 대표적임.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는 전국 500여 개 응급실 운영 의료기관이 관할 보건소 및 시·도, 질병관리청과 협력하여, 응급실에 내원한 온열질환자를 파악하고 폭염의 건강영향을 감시하기 위해 운영한다.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지난해(2023년) 「온열질환 응급실감시」로 파악된 온열질환자는 총 2,818명(추정사망자 32명 포함)으로, 전년(2022년) 대비 80.2% 증가(1,564명→2,818명)한 것으로 나타났으며(붙임1 참조), 폭염으로 인한 일일 사망자 수는 온열질환 감시가 시작(’11년)된 이후 7명으로 최다 발생(7.29. 기준)하였고, 연도별 사망자 수도 2018년(48명) 이후 두 번째로 많았다.



  신고된 온열질환자의 주요 발생 특성으로는, 남자(77.8%)가 많았고, 50대(21.3%)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연령대별로는 65세 이상 노년층이 전체 환자의 29.5%를 차지하였고, 인구 10만명당 온열질환자 수는 80세 이상(11.5명)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질환별로는 열탈진이 1,598명(56.7%)으로 가장 많았고, 지역별 신고 환자수는 경기 683명, 경북 255명, 경남 226명, 전남 222명 순으로 나타났다.


  발생장소는 실외가 2,243명(79.6%)으로 실내(575명, 20.4%)보다 3.9배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실외 작업장 913명(32.4%), 논·밭 395명(14.0%), 길가 286명(10.1%), 실내 작업장 197명(7.0%) 순으로 나타났다.


  발생시간은 12~17시 낮 시간대에 49.2%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별로는 단순노무종사자 591명(21.0%), 무직 342명(12.1%), 농림어업숙련종사자 247명(8.8%) 순(미상, 기타 제외)이었다.


  신고된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는 총 32명(남자 18명, 여자 14명)으로, 60세 이상 연령층(16명, 50.0%), 실외 (26명, 81.3%) 발생이 많았고, 사망자의 추정 사인은 주로 열사병(90.6%)으로 조사되었다.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 운영기간 동안 수집된 온열질환 발생현황 정보는 질병관리청 누리집*을 통해 매일 제공될 예정이며, 지난 발생현황 통계는 감시체계 연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질병관리청 누리집 → 정책정보 → 건강위해 → 기후변화 → 폭염 → 신고현황

 ** 질병관리청 누리집 → 정책정보 → 건강위해 → 기후변화 → 폭염 → 감시체계 연보


  올여름 평균기온이 높고 7~8월에는 무더운 날이 많을 것이라는 전망(기상청)에 따라 안전하고 건강한 여름나기를 위해서는 외출 전 기온을 확인하여 폭염 시에는 외출을 자제하거나 양산이나 모자 등으로 햇볕을 차단하고, 충분한 휴식과 수분 섭취 등 폭염대비 건강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또한 어린이와 노약자, 만성질환자(심뇌혈관질환, 당뇨병, 치매, 정신질환 등)는 온열질환에 더욱 취약하므로 본인은 물론 보호자와 주변인이 건강상태를 함께 살피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어린이나 노약자를 집안과 자동차 등 창문이 닫힌 실내에 홀로 남겨두지 않도록 하며, 부득이 어린이나 노약자를 남겨두고 장시간 외출할 때에는 이웃이나 친인척에게 보호를 부탁해야 한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올여름 더위로 인한 온열질환 피해 예방을 위해 대상자별 온열질환 예방 매뉴얼*을 마련하였으며, 국민들께서는 건강한 여름나기를 위하여 폭염대비 건강수칙을 잘 준수하실 것”을 당부하였다. 

 * 질병청 누리집 → 건강정보 → 폭염 → 건강수칙홍보자료 → 대상자별 온열질환예방 매뉴얼


  또한 “이번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의료기관 및 관할 지자체와 지속적으로 협력하여 폭염 건강피해를 감시하고 발생 현황정보를 신속하게 공개하도록 하겠다”라고 밝혔다.



< 폭염대비 건강수칙 >


 ① 물 자주 마시기

   - 갈증을 느끼지 않아도 규칙적으로 물 자주 마시기

    * 신장질환자는 의사와 상담 후 섭취


 ② 시원하게 지내기

   - 샤워 자주 하기

   - 헐렁하고 밝은색의 가벼운 옷 입기

   - 외출 시 햇볕 차단하기(양산, 모자 등)


 ③ 더운 시간대에는 활동 자제하기

   - 가장 더운 시간대(낮 12시~5시)에는 야외작업, 운동 등을 자제하고, 시원한 곳에 머물기

    * 갑자기 날씨가 더워질 경우 자신의 건강상태를 살피며 활동 강도 조절하기


  ④ 매일 기온 확인하기

   - 기온, 폭염특보 등 기상 상황을 수시로 확인하기



<붙임>  1. 2023년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 운영 결과

          2. 건강한 여름나기 이렇게 준비하세요! 포스터

          3. 폭염대비 건강수칙 리플릿(홍보지)

          4. 무더운 여름 온열질환을 조심하세요! 카드뉴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
바르네 풀테이프 BGT-0180(8.4mmX12m) 본품 랜덤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