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중소벤처기업부]창업기업 중심의 신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첫걸음

btn_textview.gif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이영)는 2월 15일(수) 서울 강남구 팁스타운에서 ‘초격차 초기창업기업(스타트업) 1000+ 사업(프로젝트)’의 원활한 추진과 관련 업계의 애로를 청취하기 위하여 해당 분야 창업기업과의 간담회를 중소벤처기업부 창업벤처혁신실장 주재로 개최하였다고 밝혔다.
 
지난해 11월, 정부는 신산업 분야 세계(글로벌) 경쟁우위 확보를 위해 시스템반도체, 생명공학(바이오)·건강(헬스), 미래 이동수단(모빌리티) 등 10개 분야 기저기술(딥테크) 초기창업기업(스타트업)을 집중 지원하는 ‘초격차 초기창업기업(스타트업) 1000+ 사업(프로젝트)(이하 초격차 사업(프로젝트))’를 발표하였으며,
 
이어가기(릴레이) 간담회는 초격차 사업(프로젝트)을 본격 시행하기에 앞서 사업(프로젝트)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고, 관련 분야 기술 동향 파악과 신산업 분야 창업기업 애로 청취 등을 통해 창업기업 중심의 신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기획하였으며, 10대 초격차 분야를 대상으로 순차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 첫 간담회는 미래 이동수단(모빌리티) 분야 창업기업, 관련 전문 연구기관 및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개최하였으며, 초격차 사업(프로젝트)의 세부 사업인 ‘신산업 초기창업기업(스타트업) 육성사업’ 내용과 참여기업 모집 공고도 함께 발표하였다.
 
1차 이어가기(릴레이) 간담회 및 ‘신산업 초기창업기업(스타트업) 육성사업 공고’의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이어가기(릴레이) 간담회 세부 내용 >
 
미래 이동수단(모빌리티) 분야를 대상으로 개최한 이번 간담회에는 스마트레이더시스템, 아우토크립트, 이노션테크 등 국내 미래 이동수단(모빌리티) 분야를 선도하는 창업기업 10개사가 참여했다.
 
참여기업 중 스마트레이더시스템은 4디(4D) 영상(이미지) 기반의 자율주행 전파 탐지기(레이더) 개발 기업으로 올해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 2023 혁신상을 수상하였다.
 
또한, 자율주행 보안 및 이동수단(모빌리티) 플랫폼 기업인 아우토크립트는 2021년에 포브스 선정 아시아 100대 유망 초기창업기업(스타트업)에 선정되었고, 현재는 세계(글로벌) 완성차 업체들과 협업을 진행하고 있다.
 
아울러, 소부장 기업인 이노션테크는 수입의존도가 높았던 투명씌움(코팅) 기술 국산화에 성공하였다.
 
간담회는 중소벤처기업부의 초격차 사업(프로젝트)을 소개하고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등 전문 연국기관의 관련 산업 동향 발표에 이어 참여기업의 애로·건의사항과 토론 등이 있었다.
 
참여기업들은 해외 진출을 위한 자금 지원, 대·중견기업과의 직접적 소통을 통한 협업 강화 등 현장에서 겪고 있는 다양한 애로 및 건의사항을 이야기하였고, 신산업 분야 창업기업의 원활한 성장을 위한 정책 지원 방안에 대해 참석자들의 진지한 논의가 있었다.
 
< 신산업 초기창업기업(스타트업) 육성사업 공고 내용 >
 
중소벤처기업부는 이번 간담회에서 초격차 초기창업기업(스타트업) 1000+ 사업(프로젝트)의 세부사업 중 하나인 ‘신산업 초기창업기업(스타트업) 육성사업’의 기업 모집 계획도 발표하였다.
 
‘신산업 초기창업기업(스타트업) 육성사업’은 초격차 분야 우수 기저기술(딥테크) 초기창업기업(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지원하는 사업으로 올해 선정 규모는 150개사이며, 74개사는 일반 공모, 76개사는 민간과 관계부처 추천을 통해 선정할 예정이다.
 
참여기업으로 선정된 기업은 3년간 최대 6억원 이내의 창업 사업화 자금과 기업 수요에 따라 최대 5억원의 기술개발(R&D) 자금 등 총 11억원의 자금을 직접 지원받고, 정책자금·보증·수출 사업 등을 연계 지원받을 수 있다.
 
또한, 참여기업은 각 분야별로 지정된 주관기관을 통해 제품·서비스 고도화부터 마케팅, 홍보, 투자유치에 이르기까지 기업 성장에 필요한 전 과정에 대해 밀착지원을 받게 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초격차 사업(프로젝트)에 세계(글로벌) 수준의 기술 역량을 보유한 최고의 혁신 초기창업기업(스타트업)이 선정될 수 있도록 해당 분야 최고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 위원단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영 장관은 “미국의 경우 소위 정보기술대기업(빅테크)로 불리는 신산업 분야 혁신기업들이 대부분 창업기업에서 출발한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신산업 분야에서 기저기술(딥테크) 기업의 성장이 다소 부진한 상황”이라며,
 
“향후 중소벤처기업부는 초격차 사업(프로젝트)을 시작으로 규제 개선 및 대·중소기업 간 상생협력 활성화, 신산업 분야 창업기업 지원 정책 확대 등을 통해 창업기업 중심의 신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신산업 초기창업기업(스타트업) 육성사업 세부 내용은 2월 15일부터 케이-스타트업(K-Startup) 포털(www.k-startup.go.kr)과 중소벤처기업부 누리집(www.mss.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가정용 코팅기 KOLAMI-324 4롤러 A3 무소음 무기포
칠성상회
물고기 애벌레 원목 낚시놀이 장난감
칠성상회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