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산업통상자원부]’23년 1월 주요유통업체 매출동향

btn_textview.gif

'231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 전년동월 대비 4.0% 증가

- 오프라인 유통업체 0.5% 감소, 온라인 유통업체 9.1% 증가 -


 

 

<‘231월 기준 전년동월 대비 매출 증감률(%)>

 

 

 

·오프라인 매출 증감률

오프라인 업태별 매출 증감률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온오프리안 매출 증감률.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56pixel, 세로 197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오프라인 업태별 매출 증감률.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69pixel, 세로 163pixel


 

1. 전체 매출 동향

 

(전체 매출) 전년대비 이른 설 명절(2.1.1.22.)로 인한 영업일수 감소 등으로 오프라인 부문(0.5%)다소 감소하였으나, 온라인 부문(9.1%) 증가세(전년대비)가 지속되면서 전체 매출은 전년동월 대비 4.0% 상승

 

(오프라인) 설 명절 휴점에 따른 방문객수 감소와 위생용품 등 생활/가정 분야 온라인 구입이 확대되면서 전체적으로 매출 부진

 

(온라인) 해외여행 재개, 설 선물용 e쿠폰, 공연·행사 활성화 등에 따른 서비스/기타 분야의 상승세를 중심으로 전체적인 매출 성장 기록

 

* 오프라인/온라인 매출규모(조원) : (’22.11) 7.18 / 7.60 (’22.12) 7.66 / 7.42

(’23.1) 7.51 / 7.20

 

<주요 유통업체의 전년동월 대비 월별 매출 증감률 (단위 : %)>

구분

‘22

‘23

1

2

3

4

5

6

7

8

9

10

11

12

1

전체

13.9

4.7

7.1

10.6

10.1

9.2

9.7

15.4

7.5

7.3

8.4

6.7

4.0

오프라인

18.4

3.8

6.3

10.2

9.3

9.3

12.1

14.5

6.0

6.4

8.5

9.0

0.5

온라인

9.1

14.2

7.9

11.0

11.0

9.1

7.3

16.4

9.1

8.2

8.3

4.3

9.1


(상품군별 매출) 가전/문화(4.7%)·서비스/기타(18.1%)매출은 상승하였으나, 생활/가정(2.2%)·해외유명브랜드(7.2%)매출은 하락

 

(오프라인) 생활/가정(10.0%)·해외유명브랜드(7.2%)에서 매출이 하락하였으며, 아동/스포츠(6.7%)·서비스/기타(8.9%)는 매출 상승

 

- 해외유명브랜드'20.3(19.4%) 이후 처음으로 매출 감소세 기록

 

(온라인) 아동/스포츠(4.4%) 분야를 제외한, 가전/문화(6.1%)·식품(10.7%)·서비스/기타(27.3%) 대부분 품목군에서 매출 상승

 

<’231월 전년동월 대비 상품군별 매출 증감률 (단위 : %)>

구분

전체

가전/

문화

패션/

잡화

아동/

스포츠

식품

생활/

가정

서비스/

기타

해외유명

브랜드

전체

(비중,%)

4.0

(100)

4.7

(12.9)

2.7

(12.2)

0.3

(4.5)

3.5

(38.9)

2.2

(11.9)

18.1

(14.7)

7.2

(4.9)

오프라인

0.5

4.0

0.6

6.7

0.0

10.0

8.9

7.2

온라인

9.1

6.1

4.6

4.4

10.7

4.1

27.3

-


 

(구매건수·구매단가) 편의점을 제외한 모든 오프라인 매장의 구매건수 및 구매단가가 감소했으며, 구매건수는 대형마트(3.4%)·SSM(3.5%)감소폭이 컸고, 구매단가는 백화점(3.3%)의 감소폭이 가장 큰 것으로 집계

 

<’231월 오프라인* 부문 구매건수·단가 증감률 (단위 : %)>

구분

전체

대형마트

백화점

편의점

SSM

구매건수

5.3

3.4

0.5

7.7

3.5

구매단가

5.6

0.4

3.3

0.7

1.1


* 온라인은 구매건수를 집계하지 않고 있어 통계자료에 미포함

 

(업태별 매출 비중) 전년 동월 대비 온라인 매출 비중 증가(2.3%p)

 

오프라인 업태 중 대형마트(1.4%p)·백화점(1.3%p)·준대규모점포(0.3%p)매출 비중은 줄고, 편의점(0.6%p)소폭 증가

 

<’22vs. ’231월 업태별 매출구성비>

 

 

 

’221월 업태별 매출구성비

’231월 업태별 매출구성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2. 유통업체별 매출 동향

 

오프라인 유통업체


 

전년 대비 이른 설 명절로 인한 영업일수 감소 등으로 편의점(8.4%)제외한 대형마트(3.8%)·백화점(3.7%)·SSM(4.5%)매출 감소하면서, 오프라인 전체 매출은 0.5% 감소

 

(대형마트) 스포츠(2.8%)·잡화(0.7%)·의류(0.2%) 품목군에서 소폭 증가했으나, 가정/생활(6.9%)·가전/문화(4.0%)·식품(3.8%) 대부분의 품목군에서 감소세를 보이며 전체 매출은 3.8% 감소

 

(백화점) 소비심리 위축 및 해외여행 재개 등으로 해외유명브랜드(7.2%) 매출 감소하였으며, 가정용품(18.4%)·여성정장(3.4%) 등이 부진하면서 전체 매출은 3.7% 감소

 

(편의점) 명절 연휴 방문객수 증가, 잡화(23.7%)·생활용품(19.5%) 전 품목에서 매출이 상승하면서 전체 매출은 8.4% 증가

 

(준대규모점포) 환율 하락으로 수입산 매출이 감소한 농수축산(7.2%) 비롯, 전 품목의 매출이 떨어지면서 전체 매출은 4.5% 감소

<’231월 오프라인 업태별 전년동월 대비 매출 증감률 (단위 : %)>

구분

전체

대형마트

백화점

편의점

SSM

매출 증감률

0.5

3.8

3.7

8.4

4.5


 

(점포당 매출) 대형마트(2.5%)·백화점(3.7%)·편의점(0.4%)·SSM(3.5%) 등 모든 업태에서 감소

 

(점포수) 편의점(8.9%)이 크게 늘고, 대형마트(1.3%)·SSM(1.1%)소폭 감소

 

<’231월 전년동월 대비 점포당 매출 및 점포수 증감률 (단위 : %)>

구분

전체

대형마트

백화점

편의점

SSM

점포당 매출 증감률

3.6

2.5

3.7

0.4

3.5

점포 수 증감률

8.5

1.3

0.0

8.9

1.1


 

 

온라인 유통업체


 

설 선물용 e-쿠폰, 해외여행 상품 등 판매 호조가 지속되면서 서비스/기타(27.3%) 매출 상승세가 유지되었고, 다양한 할인행사로 화장품(12.2%) 매출이 증가하면서 온라인 전체 매출은 9.1% 증가

 

선물세트·냉동 간편식 등의 판매 호조로 식품(10.7%) 매출이 증가했으며, 일부 업체들의 직매입 및 특가 판매 등 마케팅 전략으로 가전/전자(6.5%) 분야 매출 상승

 

<‘231월 상품군별 전년동월 대비 매출증감률·매출비중 (단위 : %)>

구분

전체

가전

전자

도서

문구

패션

의류

스포츠

화장품

아동

유아

식품

생활

가구

서비스기타

매출증감률

9.1

6.5

1.2

0.2

7.7

12.2

1.7

10.7

4.1

27.3

매출비중

100.0

21.0

2.0

7.8

2.4

5.1

3.1

28.0

14.3

16.2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
라인플러스 화인 세필 화이트 보드마카 (12개입) 1다스 (검정색)
칠성상회
펜더 판다 예쁜 캐릭터 팬더 볼펜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