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내년 예산안 40조 편성, 포스트코로나 대비 총력
서울시가 다가올 2021년 예산안을 발표했습니다. 역대 최대 규모인 40조 원이 넘는 예산안이 편성됐는데요. 코로나와의 공존이 불가피한 ‘위드(WITH) 코로나’ 시대에 적극 대응하고, 코로나 종식 이후 ‘포스트(POST) 코로나’ 시대로의 전환을 선제적으로 준비하는 것에 무게를 뒀습니다. 내년에도 서울시는 시민의 일상을 담보하고, 민생을 지키기 위해 든든한 지원을 이어가겠습니다. |
서울시는 2021년 예산(안)을 40조 479억 원으로 편성, 10월 30일 서울시의회에 제출했다고 11월 2일 발표했다. 올해 39조 원을 넘은 데 이어 사상 처음으로 40조 원을 돌파 하는 역대 최대 예산안이다. 올해보다 1.3%(5,120억 원) 증가했다.
세입예산은 시세의 경우 부동산 가격 및 거래 증가 추세 등 금년 시세 징수 전망을 감안하여 올해보다 4,713억 원 증가한 20조 237억 원으로 추계했고, 세외수입 4조 6,599억 원, 국고보조금 및 지방교부세 7조 3,147억 원, 지방채 2조 2,307억 원 및 보전수입 등 5조 8,189억 원을 편성했다.
올해 서울시는 사상 최초 네 차례, 총 6조원이 넘는 추경을 단행하는 등 최우선 순위로 삼았던 코로나19 ‘방역’과 ‘민생안정’이라는 양대 기조를 견실하게 이어가면서, 포스트코로나를 선제적으로 준비하기 위한 비대면‧신성장 산업 분야 신규 사업을 포함했다.
즉, 3대 분야 7대과제 ①S-방역체계 강화 ②민생경제 회복(▴고용유지 및 일자리 창출 ▴소상공인 지원 ▴사회안전망 강화) ③포스트코로나 시대 준비(▴비대면 산업 활성화 ▴혁신성장 생태계 조성 ▴서울의 미래 청년 투자)에 집중적으로 투자한다.
S-방역체계 강화
첫째, ‘방역이 없으면 경제도 없다’는 각오로 위기에서 빛난 ‘S-방역’을 최고 수준으로 유지‧강화하고, 감염병 대응 패러다임을 업그레이드 하는데 3,146억 원을 투입한다.
방역물품 비축을 비롯해서 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조기경보시스템구축, 백신개발 지원 및 무료 예방접종, 매뉴얼 개발‧교육 등 ‘감염병 상시 예방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958억 원을 투입한다.
감염병 치료 응급병상 등을 갖춘 ‘동북권 응급의료센터’를 내년 8월 서울의료원 내에 준공하고, ‘안심호흡기 전문센터’(보라매병원 내) 건립을 위한 설계도 본격 착수하는 등 인프라 확충에도 92억 원을 편성했다.
하루 천만 명 이상의 시민이 이용하는 지하철, 버스 등 대중교통은 물론, 건강 취약계층 다수가 이용하는 복지시설과 같은 공공장소 방역 강화에 447억 원을 편성했다.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대중교통 감염 ZERO의 기록을 이어갈 전망이다.
민생경제 회복
둘째, 코로나 불황 극복과 민생경제 회복에 7조 7,311억 원을 투입해 고용유지와 일자리 창출을 주도하고,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사회안전망 강화에도 나선다.
일자리 예산 2조 1,576억 원을 편성해 직‧간접 일자리 약 39만 3,575개를 창출한다. 올해(2조 735억 원, 39만 2,000개) 대비 4.0% 증가한 규모다.
취업에 필요한 경력이 부족한 미취업 청년 1,000명에게 기업 인턴십 기회를 제공하는 ‘청년 일경험 지원’에 150억 원을 첫 편성하였다.
AI, 빅데이터 등 교육으로 4차 산업 기술인재를 양성할 ‘기술특화캠퍼스’ 2개소도 서남권(금천, 영등포)에 새롭게 문을 연다.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상인들에게는 오픈 마켓 입점, 온라인 배송 서비스 구축 등에 28억 원을 투입해 동네 상권 중심의 ‘홈코노미’와 ‘온라인 소비’ 분야 진입을 돕는다.
민생경제 회복 속도를 높이고 소상공인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서울 지역사랑상품권’을 3,800억 원 규모로 발행하는데 256억 원을 편성하였다.
전국 최초로 중‧고등학교에 입학하는 모든 신입생 13만 7,000명에게 30만 원의 ‘입학준비금’을 지원하기 위하여 서울시, 교육청 그리고 자치구가 손을 맞잡았다. 총사업비는 410억 원이고 이중 서울시는 분담분 121억 원을 편성하였다.
코로나 위기가구 지원을 위한 긴급복지 대상 확대에 439억 원, 우리동네키움센터 확충에 481억 원, 주거급여 수급자 지원 확대에 4,952억 원 등을 편성하는 등 사회안전망도 보다 촘촘히 강화한다.
포스트코로나 시대 준비
셋째, 변화하는 시대에 발맞춰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미래성장동력 확보와 청년층에 대한 미래투자에 5,604억 원을 과감히 투자한다.
비대면 산업 활성화에 발맞춰 국제회의 등 각종 비대면 행사가 가능한 화상회의 스튜디오를 DDP에 조성하는데 18억 원을 편성했다. 공공은 물론 민간에도 개방 예정이다.
AI, IoT 의료기기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어르신과 청소년에게 ‘비대면 건강관리서비스’를 실시하는데 13억 원을 편성하였다.
단 한 번의 외출 없이도 중소기업·소상공인이 재택 또는 사무실에서 금융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비대면 모바일 신용보증 프로세스’를 구축하는데 26억 원을 편성한다. 방문 없이도 신청부터 대출 실행까지 원스톱 서비스가 가능하다.
서울의 미래 먹거리인 혁신성장에 대한 투자도 이어나간다. AR‧VR 기술과 서비스를 실증할 수 있는 리빙랩을 상암 DMC에 구축·운영하는데 22억 원을 투입한다.
G밸리에는 의료기기 기업의 기술개발과 사업화를 위한 ‘의료기기지원센터’ 조성 및 운영에 21억 원, 동대문에는 패션창업기업의 성장을 지원하는 ‘서울패션허브’ 운영에 72억 원을 편성하였다.
상대적으로 주거비 부담이 더 크게 다가오는 청년과 신혼부부 주거지원 예산은 올해보다 90%(1,606억 원) 증액된 3,376억 원을 배정해 공정한 출발선을 지속적으로 지원한다.
청년의 금융 안정과 심리 안정을 위한 정책도 놓치지 않는다. 희망 두 배 청년통장, 미래투자 금융지원, 마음건강 지원 사업에 155억 원을 투입한다.
이밖에 2021년 시민편의를 높여줄 도로 등 도시기반시설도 차질 없이 완수할 수 있도록 예산을 최우선 배정하였다. 2021년 4월 서울제물포터널(912억 원), 2021년 8월 서부간선지하도로(797억 원), 2021년 12월 동부간선도로 월계 1교 ~의정부시계 확장사업(383억 원) 개통이 대표적이다.
또한, 2021년 7월 금천소방서가 개관(145억 원)됨에 따라 ‘1자치구 1소방서’ 체계가 완성된다. 서울 전 지역에서 재난 발생시 5분내 현장에 도착 가능한 황금시간 출동목표제가 실현되는 것이다.
한편, 서울의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자치구 교부예산은 4.1%(2,129억 원↑), 교육 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청 전출금은 2.5%(845억 원 ↑) 각각 증가했다.
문의 : 다산콜센터 02-120
▶ ‘내 손안에 서울’ 앱으로 받아보기
▶ ‘코로나19 서울생활정보’ 한눈에 보기
▶ 내게 맞는 ‘코로나19 경제지원정책’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