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소통과 배려의 새로운 디지털 공동체 실현(관계부처 합동보도자료)
정책
0
213
0
2020.08.27 15:37
[담당]
<총괄> 방통위 지역미디어정책과 과장 전혜선, 주무관 정동임(02-2110-1450, 1453)
방통위 인터넷이용자정책과 과장 신승한, 주무관 유경(02-2110-1520, 1523)
방통위 인터넷윤리팀 팀장 김영주, 사무관 김혜숙(02-2110-1560, 1538)
문체부 미디어정책과 과장 김근호, 사무관 송상민(044-203-3211, 3216)
교육부 민주시민교육과 과장 신두철, 사무관 이항섭(044-203-6642, 6701)
과기정통부 디지털방송정책과 과장 엄지현, 사무관 방연진(044-202-6550, 6555)
행안부 지역공동체과 과장 이희준, 사무관 정태욱(044-205-3421, 3422)
- 방통위·문체부 등 5개 부처, ‘디지털 미디어 소통역량 강화 종합계획’ 발표
- 시청자미디어센터·미디어교육원·학교미디어교육센터 등 광역 거점시설 마련
- 배려하고 참여하는 디지털 시민성 확산으로 비대면 시대의 연대·협력 강화
온·오프라인 미디어교육 인프라 전국 확대, 찾아가는 미디어교육 서비스 제공
유아부터 어르신까지 디지털미디어를 통한 소통이 가능하도록 SNS, 인터넷방송 콘텐츠 제작·업로드·공유 교육 강화 및 방송 제작시설·장비 무상 대여 확대
늘어나는 허위정보를 판별할 수 있는 팩트체크 교육 강화 및 알고리즘 이해교육 실시
디지털 공간에서 소통하고 능동적으로 참여하기 위한 디지털 시민성 강화
□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한상혁)와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는 8월 27일(목) 『디지털 미디어 소통역량 강화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o 본 종합계획은 정부의「코로나19 이후 시대 핵심과제」(7.2.)의 일환으로, 교육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정안전부 등 관계부처와 지속적인 논의·협력을 통해 마련했다.
□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방식이 전면화되고 가정 내 TV, OTT, SNS* 등 디지털 미디어의 이용이 크게 증가하면서, 비대면 방식은 편리함·안전함과 더불어 디지털 경제 활성화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 OTT(인터넷 기반 동영상 서비스), SNS(사회관계망 서비스)
ㅇ 그러나, 그 이면에 개인의 고립과 공동체 해체를 가속화하고 취약계층의 사회·경제적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등 우려되는 부분도 존재하며, 허위정보 확산, 사이버폭력 등 역기능도 증가하고 있다.
ㅇ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허위정보나 사이버폭력에 대한 사후 규제와 함께 디지털 공간에서의 개인 간 배려와 존중, 올바른 소통 활성화와 공동체성 확립이라는 근원적 해결이 요구된다.
□ 정부는 디지털 미디어 발전의 결과물을 다 함께 누리고, 나이와 계층, 지역으로 인해 디지털 사회에서 소외되는 일이 없도록 디지털 미디어 이용 및 제작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종합계획을 마련, 시행한다.
ㅇ 방송통신위원회 한상혁 위원장은 “비대면 사회에서 더욱 중요해진 디지털 미디어 활용 능력을 전 국민이 갖출 수 있도록 미디어교육을 확대하고 인프라를 강화하는 한편, 누구도 미디어교육의 혜택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촘촘히 지원하겠다”라며 강력한 추진의지를 표명했다.
ㅇ “소통과 배려의 새로운 디지털 공동체 실현”이라는 목표 하에, △온·오프라인 미디어교육 인프라 확대 △국민의 디지털 미디어 제작 역량 강화 △미디어 정보 판별 역량 강화 △배려·참여의 디지털 시민성 확산을 4대 전략과제로 12개 세부과제를 추진할 계획이다.
ㅇ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온·오프라인 미디어교육 인프라 확대
ㅇ 시청자미디어센터* 등 미디어교육 거점시설의 전국 확대 구축을 추진하고, 원하는 사람은 누구나 쉽게 미디어 제작·체험을 할 수 있도록 시설·장비를 무상으로 지원한다.
※ 센터현황(10개소) : 부산, 광주, 강원, 대전, 인천, 서울, 울산, 경기, 충북, 세종(구축 중)
ㅇ 또한, 미디어교육원을 교원연수 전문기관으로 육성하고, 학교미디어교육센터*를 신설하는 등 코로나19 이후 원격수업이 본격화된 교육 현장을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 학생·교원이 이용할 수 있는 미디어 제작시설 지원 및 사회참여 활동,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이해를 돕는 각종 교육 프로그램 운영
ㅇ 한편, 온라인 미디어교육 플랫폼을 통해 그간 개별적으로 관리되던 미디어교육 관련 정보를 한곳에 모아 공유·개방한다.
2. 국민의 디지털 미디어 제작역량 강화
ㅇ 전 국민이 디지털 미디어를 이용하는 시대에 유아부터 어르신까지 누구나 자신의 이야기를 미디어로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생애주기별 맞춤형 교육을 시행한다.
ㅇ 이와 함께, 자유학기제·고교학점제 등 교육과정과 연계한 학교 미디어교육을 확대하고, 장애인·다문화 가정·학교 밖 청소년까지 사각지대 없는 촘촘한 교육을 시행할 계획이다.
※ (장애인) 생애주기 및 생활연령, 장애 유형별 특성 등을 고려한 콘텐츠 제작(학교 밖 청소년)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청소년수련관 등 연계(다문화·북한이탈주민) 정착 지원 기관(예: 다문화지원센터)과 협력하여 교육
ㅇ 농·산·어촌 등 상대적으로 교육의 혜택을 누리기 어려운 지역·계층 대상 찾아가는 교육*을 확대하고, 누구나 콘텐츠를 직접 제작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1인 미디어 창작자 양성 교육을 실시한다.
* 근거리 공공시설을 찾아가 생활 속 디지털 미디어 이용을 돕는 ‘디지털 나누미’ 서비스 제공, ‘찾아가는 미디어 나눔버스’ 운영 확대, ‘찾아가는 영화관’ 운영
3. 미디어 정보 판별 역량 강화
ㅇ 미디어가 제공하는 정보들을 비판적으로 습득·활용할 수 있도록 팩트체크 시민교육을 확대하고, 언론·사회·경제 등 분야별 전문가가 전문 팩트체커로 활동할 수 있도록 심화교육도 실시한다.
ㅇ 또한, 검증 대상 제시 및 팩트체킹 과정 등에 국민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팩트체크 오픈 플랫폼을 구축·운영하여 팩트체크 활성화를 지원한다.
ㅇ 이와 함께, SNS·유튜브 등 인터넷서비스의 추천원리(알고리즘)에 대한 이해 교육을 실시하여 디지털 콘텐츠 활용능력을 제고한다.
4. 배려·참여의 디지털 시민성 확산
ㅇ 디지털 공간에서의 정체성 확립, 소통과 사회 참여 등을 위한 윤리교육을 강화하고, 사이버 폭력, 혐오표현 등 디지털 역기능 예방 프로그램과 올바른 미디어 기기(스마트폰) 사용교육도 실시한다.
ㅇ 공동체 라디오 확산과 지역 공동체의 미디어 참여를 지원하는 등 다양한 방식의 소통을 활성화하여 비대면 시대에 느슨해지기 쉬운 사회적 결속을 다질 수 있도록 한다.
ㅇ 나아가, 미디어 리터러시 지수 개발·측정을 통해 전 국민 미디어 리터러시 증진을 위한 중장기적 정책방향을 수립한다.
□ 정부는 이번 종합계획을 시작으로, 비대면 사회에 디지털 미디어 서비스가 확대되는 과정에서 소외되는 사람 없이, 디지털 미디어를 매개로 국민이 더 행복해지는 건강한 디지털 공동체를 만들어나갈 계획이다.
붙임 1. 『디지털 미디어 소통역량 강화 종합계획』 기대효과 1부.
2. 『디지털 미디어 소통역량 강화 종합계획』 본문 1부(별첨). 끝.
[자료제공 :(www.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