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농림축산식품부]세계 최초, 쇠(牛)똥으로 쇠(鐵)를 만들다

btn_textview.gif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 이하 농식품부)1216(), 농업협동조합중앙회(회장 이성희, 이하 농협), 현대제철()(대표이사 안동일, 이하 현대제철)우분(소 및 젖소의 똥) 고체연료의 생산 및 이용 촉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3개 기관은 축산농가의 골칫덩어리인 가축분뇨를 고체 연료화하고, 이를 제철소에서 친환경 연료로 확대 이용함으로써,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적극적으로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

현재 가축분뇨는 2020년 기준 연간 5,194만 톤이 발생하고 있으며, 축 사육마릿수가 증가하면서 발생량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 가축분뇨량(만톤, 추정) : (`16) 4,699 (`17) 4,846 (`18) 5,101 ('19) 5,184 ('20) 5,194

가축분뇨는 90% 이상이 퇴비나 액비 등 비료로 만들어져 토양에 살포*되고 있으나, 최근 살포할 농경지가 감소하고, 퇴비 부숙도 기준 등 살포 규제가 강화되면서 가축분뇨의 퇴비화 처리 어려움이 증가하는 상황이다.

    * 처리방법 : 퇴비화(3,559만톤, 69%), 액비화(1,097만톤, 21.1%), 정화(538만톤, 10.4%)

특히, 퇴비를 만드는 과정에서 축산악취 및 초미세먼지 유발물질(암모니아) 발생으로 인한 환경오염, 토양에 살포되면서 양분공 과잉온실가스가 발생하고 있어, 분뇨 문제는 지속가능한 축산을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최우선 과제 중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 축산악취민원: ('14) 2,838('16) 6,398 ('18) 6,705 (’19) 12,631 (’20) 14,345

    * 축산분야 온실가스: ('16) 8.8백만톤C02eq ('17) 9.1 ('18) 9.4 ('19) 9.6 ('20) 9.9

이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가축분뇨를 고체연료라는 신재생 에너지원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우분 고체연료 생산기반과 유통체계를 구축하고, 대규모 수요처인 제철소를 통해 안정적인 사용기반을 마련 나간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농식품부는 고체연료화를 위한 제도적재정적 지원, 농협은 지역 농축협을 중심으로 고체연료 생산공급기반 구축, 현대제철은 우분 고체연료의 제철소 이용 및 확대를 추진하며,
농촌진흥청은 우분 고체연료의 품질향상을 위한 기술개발을 지원하게 된다.

< 분야별 주요 협력사업 : 3개 분야 8개 세부사업 >

분 야

사 업 내 용

우분

고체연료의 생산

- 농협 축분자원화센터를 통한 원료 공급 및 유통체계 마련

- 우분 원료 기준 및 품질 관리체계 확보

- 우분 고체연료 생산시설 구축

우분

고체연료의

품질 향상

- 우분 고체연료 표준 생산체계 마련

- 우분 고체연료 품질향상 기술개발 협력

- 고체연료 사용 후 부산물의 재활용방안 마련

우분

고체연료의

이용 확대

- 우분 고체연료 제철소 활용을 위한 기술개발

- 우분 고체연료 이용 확대를 위한 기술개발

가축분뇨를 퇴비가 아닌 고체연료 활용을 통해 퇴비화 및 토양 살포 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저감할 수 있다.

우분은 연간 22백만 톤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 중 96.5% 21백만 톤이 퇴비로 만들어져서 농경지에 살포되면서 온실가스 2728CO2톤을 발생*(2021년 추정)시키고 있다.

    * 우분 1톤당 온실가스 발생량: 0.13CO2톤 추정(환경부 온실가스 종합정보센터)

   - 따라서, 우분 발생량의 10%(220만톤)를 고체연료로 활용한다면 30CO2톤을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우분 고체연료의 발열 에너지를 유연탄과 비교해 보면, 1톤의 우분 고체연료는 유연탄 0.5톤 상당의 에너지*, 수입 유연탄 가격(톤당 12만원, 한국무역협회 2021년 평균)을 고려해 볼 때 1톤당 약 6만원의 경제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 우분 원분뇨 4= 우분 고체연료 1(3,000kcal/kg) = 유연탄 0.5(5,660kcal/kg)

   - 따라서, 연간 12,652만 톤(20182020년 평균, 한국무역협회)수입하는 유연탄의 1%를 우분 고체연료로 대체하는 경우 연간 약 1,500억 원의 수입대체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 1,500억원 = 126만톤(유연탄의 1%) × 116천원(2021년 톤당 평균 수입가격)

 

김현수 농식품부 장관철의 발견으로 농업이 폭발적인 성장을 이루었듯이, 이번 철강과의 상생협력농업분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새로운 돌파구를 여는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그동안 퇴비 이외에는 활용방안이 마땅치 않았던 고체분이 고체연료라는 신재생 에너지원으로 이용되면서 농업 분야 온실가스 감축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하는 한편,

탄소중립이 맺어준 농업과 철강업의 이종(異種) 간 긴밀한 상생협력을 시작으로 지속적인 온실가스 감축 활동을 추진하여 친환경적인 동반성장을 이루어 나가겠다라고 강조했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알파 베이직 젯소 500ml
칠성상회
3M 전자계산기 SJC-830P
바이플러스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