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국립과천과학관, 세계 양서·파충류 특별전시
정책
0
718
0
2019.08.05 09:05
국립과천과학관, 세계 양서·파충류 특별전시
- 8.15∼9.1, 살아있는 양서파충류 60여종 200여 마리 -
?
□ 세계 곳곳에서 살아가고 있는 다양한 양서류, 파충류를 관찰·체험하는 전시회가 열린다.
?
□ 국립과천과학관(관장 배재웅)은 8월 15일부터 9월 1일까지 한국양서파충류협회 및 전문기업과 공동으로 ‘양서?파충류 특별전’을 개최한다.
※ 이로운 나라의 앨리스, 발토앤제이, 크래프트렙, 이나키스트, 아이링고, 일루미네이티드 어패럴, 미래엔 아이세움, 씨밀레북스, 한국양서파충류협회 등 협업
?
ㅇ 이번 특별전에서는 열대림을 비롯한 다양한 지역에 서식하는 살아있는 양서?파충류들의 신기한 모습과 생존을 위한 독특한 행동 등에 관한 흥미로운 이야기들을 만나볼 수 있다.
?
□ 이번 전시회는 수입업체 임대 및 한국양서파충류협회와 전문기업의 무상협찬 등으로 파충류와 양서류 60여 종 200여 마리가 전시되며, 정부의 허가를 받아야만 수입할 수 있는 멸종위기종도 30여종 전시된다.
?
□ 이번 전시에서는 카리브해의 남부, 우리에게 지역 이름도 낯선 안틸레스 제도에만 서식하는 세계적인 희귀 이구아나인 ‘렛서 안틸리안 이구아나’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름에서 볼 수 있는 소형 이구아나 종으로 긴 꼬리를 사용하여 능숙하게 나무를 타는 도마뱀이다. 밀렵과 서식지 파괴로 개체수가 급감하여 현재 CITES(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 Ⅱ급에 등재되어 있다.
?
□ 건조 기후, 온난 기후, 습한 기후 등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하는 희귀한 거북이들도 전시된다. 초식을 하는 육지거북, 물과 육지를 오가며 적의 위협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껍데기에 완전히 숨을 수 있는 골든코인상자거북, 민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지역에서 서식하는 수생거북까지 다양한 거북이들을 만나볼 수 있다.
?
ㅇ ‘알다브라 자이언트 육지거북’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크게 자라는 거대한 육지거북이다. 아프리카 세이셸섬에 서식하며 1m에 육박하는 검은색의 거대한 몸과 엄청난 먹성, 100년이 넘는 수명을 자랑한다. 육지거북이지만 물을 좋아해서 물가에서 자주 발견된다. 코끼리를 닮은 육중한 발 때문에 ‘알다브라 코끼리 거북’이라는 이름으로도 자주 불리운다.
?
ㅇ ‘아쌈 루프 터틀’은 상어같이 생긴 등갑 모양이 독특한 반수생 거북이다. 상어의 핀 같은 뾰족한 등갑은 적의 위협으로부터 방어와 공격을 할 수 있는 수단이다. 암컷이 수컷에 비해 5배 이상 덩치가 크다.
?
ㅇ ‘다이아몬드백 테라핀’은 세계에서 가장 사랑받는 기수 거북 중 하나이며 바닷물과 민물이 만나는 기수지역에서 서식한다. 아름다운 등갑 모양과 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맛 때문에 개체수가 급감했다.
?
□ 다양한 몸 색깔과 특이한 먹성을 자랑하는 희귀한 뱀과 도마뱀, 개구리도 전시될 예정이다. 뉴칼레도니아섬에 서식하는 과일을 먹는 도마뱀 ‘크레스티드 게코’ 도마뱀이 전시되어 혀로 먹이를 먹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ㅇ 그 외 희귀한 도마뱀이었지만 지속적인 보호와 번식으로 알비노(Albino), 루시스틱(Leucistic) 등 색상 발현의 유전적 변이를 볼 수 있는 ‘레오파드게코’ 도마뱀도 볼 수 있다. 몸을 둥글게 말아서 몸을 보호하는 뱀인 ‘볼파이톤’ 역시 전시 될 예정이다.
?
□ 파충류, 양서류 전문 사육사의 해설과 함께 동물들이 먹이 먹는 모습을 볼 수 있는 관찰 공간도 운영한다. 관람객들은 동물들이 어떻게 먹이를 먹는지, 어떤 과정으로 소화시키는지 자세히 보고 설명을 들을 수 있다.
?
ㅇ 주말 강연에는 한국양서파충류협회 홍보대사 아웃사이더(가수)와 전문가들이 양서?파충류에 관한 특별강연도 펼친다.
?
□ 국립과천과학관 배재웅 관장은 “최근 들어 파충류에 관한 관심이 커지고 있어 전시회를 개최했다.”라면서 “여러 종류의 신기한 외국 양서?파충류들을 보면서 생명의 다양성과 신비감, 생태계 보존의 중요성을 함께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특별전 관람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국립과천과학관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
[자료제공 :(www.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