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관세청]’22년 2분기 및 상반기 승용차 교역 현황

btn_textview.gif

 ’22년 2분기 승용차 교역현황
* 관세청 성질별 분류체계에 따른 구분으로, 신차만 집계함


[총괄]


□ (금액) ’22.2분기 승용차 수출액은 114억 달러(전년동기대비 +5.8%)로 증가, 수입액은 34억 달러로(△15.0%) 감소

 ㅇ (대수) 수출대수는 55만 대로(전년동기대비 +3.2%) 증가, 수입대수는 8만 대로(△8.3%) 감소


[수출]


□ (국가별) 주요 수출 대상국(금액기준)은 미국, 호주, 캐나다, 영국 순으로 

 ㅇ 미국(+13.3%)·호주(+41.2%)·캐나다(+7.3%)·영국(+1.9%)·프랑스(+17.5%)·사우디아라비아(+115.8%)·스페인(+27.4%) 등은 전년동기대비 증가

 ㅇ 독일(△24.6%)·베트남(△6.3%)·이탈리아(△30.8%) 등 전년동기대비 감소


□ (종류별) 친환경 승용차 수출액은 37억 달러(전년동기대비 +36.9%)로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

 ㅇ 코로나19, 차량 반도체 수급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어려운 여건에도 친환경 승용차 수출*은 확대 추세
    * 친환경차 수출 수량(만대) :(’21.2Q)9.4→(3Q)9.7→ (4Q) 12.8→ (’22.1Q) 12.3→ (2Q) 13.2
    * 친환경차 수출액(억달러) :(’21.2Q)27.0→(3Q)28.4→ (4Q) 36.7→ (’22.1Q) 35.9→ (2Q) 37.0
    * 하이브리드(15.4억 달러, 비중 13.6%), 플러그인하이브리드(4.9, 4.3%), 전기차(16.7, 14.7%)

 ㅇ 미국(+176.9%)·영국(+8.0%)·프랑스(+21.3%)·캐나다(+113.8%)·스페인(+15.3%)·네덜란드(+16.4%) 등으로 수출액 전년동기대비 증가


[수입]


□ (국가별) 주요 수입 대상국(금액기준)은 독일, 미국, 영국, 오스트리아 순으로

 ㅇ 멕시코(+54.5%)·스웨덴(+5.9%)·벨기에(+113.4%) 등은 전년동기대비 증가, 독일(△9.7%)·미국(△14.8%)·영국(△5.2%)·오스트리아(△35.5%)·일본(△68.8%) 등은 감소


□ (종류별) 수입은 친환경차(전년동기대비 △18.2% 감소), 대형 휘발유차(△12.3%), 중형 휘발유차(△17.2%) 위주로 감소
    * 친환경차(수입비중 46.9%), 대형 휘발유(21.9%), 중형 휘발유(18.1%)

 ㅇ 2분기 친환경차 수입액은 16.2억 달러*(△18.2%)로 감소하였으나, 수입비중** 확대 추세

    * 하이브리드(11.1억 달러, 비중 32.1%), 플러그인하이브리드(1.4, 4.1%), 전기차(3.7, 10.7%)
    ** (’21.1Q) 35.9→(2Q)48.7→ (3Q)46.6→ (4Q) 44.5→(’22.1Q)44.8→ (2Q)46.9


[수출입 단가]


□ (수출) 승용차 수출 평균단가(대당)는 20,806달러(전년동기대비 +2.5%)로 상승, 수입 평균단가는 43,083달러(△7.3%)로 하락

 ㅇ 친환경차 수출단가*는 27,950달러(△2.1%)로 하락 전환
   * 하이브리드(22,148달러, △6.1%), 플러그인하이브리드(29,870달러, +3.9%), 전기차(35,987달러, +1.3%)

 ㅇ 반면, 대형 휘발유차량 27,373 달러(+8.5%) 및 중형 휘발유차량16,473 달러(+4.5%)로 상승하며 전체 수출단가 상승에 영향

□ (수입) 친환경 차량이 47,713 달러(전년동기대비 △6.1%)로 하락, 대형 휘발유차량 57,954 달러(△5.4%) 및 대형 경유차량 69,642 달러(△17.6%) 등 전반적으로 하락하며 전체 승용차 수입 단가 하락


 ’22년 상반기 승용차 교역현황


[총괄]


□ (금액) ’22년 상반기 승용차 수출액은 223억 달러(전년동기대비 +2.5%)로 증가, 수입액은 65억 달러로(△6.8%) 감소

 ㅇ (대수) 수출대수는 107만 대로(전년동기대비 △2.7%) 감소,
          수입대수는 15만 대로(△6.0%) 감소

[수출]


□ (국가별) 주요 수출 대상국(금액기준)은 미국, 캐나다, 호주, 영국 순으로

 ㅇ 미국(+5.6%)·호주(+29.8%)·영국(+23.7%)·프랑스(+16.8%)·이스라엘(+36.4%) ·사우디아라비아(+67.7%) 등은 전년동기대비 증가

 ㅇ 캐나다(△6.1%)·독일(△21.6%)·러시아(△72.0%) 등은 전년동기대비 감소


□ (종류별) ’22년 상반기 친환경 승용차 수출액은 72.8억 달러(전년동기대비 +42.3%)로 증가하며 역대 최대* 기록, 수출비중 지속 확대
  * 친환경차 수출액 (억 달러):(’20.상) 31.6 → (’21.상) 51.2 → (’22.상) 72.8
  * 전체 승용차 수출액 중 친환경차 비중(%) : (’20.상) 21.6 → (’21.상) 23.5 → (’22.상) 32.7
  * 종류별 수출비중: 하이브리드(12.6%), 플러그인하이브리드(4.0%), 전기차(16.0%)

 ㅇ 어려운 대외여건(코로나19, 반도체 공급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도 불구, 친환경차 수출액이 증가하며 ’22년 상반기 승용차 수출액 증가세 견인
  * 승용차 수출액 증가율(%) :(’21.상) 48.7 → (’21.하) 4.3 → (’22.상) 2.5

 ㅇ 미국(+181.5%)·영국(+27.3%)·프랑스(+19.1%)·캐나다(+52.3%)·스페인(+6.4%) 등 국가로 전년동기대비 수출이 증가


[수입]


□ (국가별) 주요 수입 대상국(금액기준)은 독일, 미국, 영국, 일본 순으로

 ㅇ 독일(+5.4%)·영국(+23.1%)·중국(+59.3%) 등은 전년동기대비 증가, 미국(△15.0%)·일본(△46.3%)·오스트리아(△32.4%)·슬로바키아(△15.5%)·멕시코(△23.2%) 등은 전년동기대비 감소


□ (종류별) ’22년 상반기 친환경 승용차 수입액*은 반도체 수급 어려움 등 지속되며 감소한 30억 달러(전년동기대비 △1.4%)

 ㅇ 전체 승용차 수입 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5.9% 최대로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추세

  * 전체 승용차 수입액 중 친환경차 비중(%): (’19.상) 14.9 → (’20.상) 19.9 → (’21.상) 43.4 → (’22.상) 45.9
  * 종류별 수입비중: 하이브리드(31.4%), 플러그인하이브리드(4.6%), 전기차(10.0%)


[수출입 단가]


□ (수출) 승용차 수출 평균단가(대당) 20,890달러(전년동기대비 +5.4%)로 상승

 ㅇ 친환경차 단가*는 28,508 달러(+1.0%)로 ’17년부터 상승 지속
   * 친환경차 수출단가(달러):(’17.상) 19,594 → (’18.상) 21,073 → (’19.상) 22,969 → (’20.상) 24,719 → (’21.상) 28,214 → (’22.상) 28,508
   * 하이브리드(22,112달러), 플러그인하이브리드(29,263달러), 전기차(36,629달러)


□ (수입) 승용차 수입 평균단가(대당) 43,875달러(전년동기대비 △0.9%)로 하락

 ㅇ 친환경 차량이 48,765 달러(전년동기대비 +0.3%), 대형 휘발유 차량 59,013 달러(+1.7%)로 상승한 반면, 중형 경유 차량 29,954 달러(△17.7%), 대형 경유 차량 75,573 달러(△7.7%) 등은 단가 하락

 
□ 세부내역 : 붙임
 

※ 신고수리일 기준 확정치로 연간 통계확정 시(2023년 2월)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될 수 있음.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알파 베이직 젯소 500ml
칠성상회
3M 전자계산기 SJC-830P
바이플러스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