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보건복지부]2020년 기초생활수급자 생계급여 올해보다 2.94% 오른다

btn_textview.gif

2020년 기초생활수급자 생계급여 올해보다 2.94% 오른다

- 4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461.4만 원 → 474.9만 원으로 2.94% 인상 -
- 4인 가구 기준 생계급여 138만4000원 → 142만5000원, 주거급여 36만5000원 → 41만5000원 (서울) -
- 주거급여 선정 기준선 2020년부터 기준 중위소득의 44% → 45%로 올라 -
- 교육급여, 고등학교 부교재비 60% 인상 -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7월 30일(화)에 제58차 중앙생활보장위원회*를 개최하여, 기초생활보장 및 그 밖의 각종 복지사업의 기준이 되는 2020년도 기준 중위소득과 함께 각 급여별 선정기준 및 최저보장수준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 * 중앙생활보장위원회 : 기초생활보장 주요 정책을 심의·의결하는 정부 위원회로 보건복지부장관이 위원장이며 관계부처(차관급), 전문가 및 공익위원 등으로 구성

□ 2020년도 기준 중위소득은 4인 가구 기준으로 올해 461만3536원 대비 2.94% 인상된 474만9174원으로 결정되었다.
?○ 기준 중위소득은 보건복지부 장관이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고시하는 국민 가구소득의 중간 값이다.
?? - 이는 기초생활보장제도의 수급자 선정 기준과 2019년 현재 12개 부처 78개 복지사업의 수급자 선정기준 등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 2019년 및 2020년 기준 중위소득 >
(단위 : 원/월)
가구원 수
1
2
3
4
5
6
기준
중위소득
’19
1707008
2906528
37632
4613536
5467040
632544
’20
1757194
2991980
387577
4749174
5627771
6506368
?
?
?○ 또한, 중앙생활보장위원회는 기준 중위소득 산출방식 개편방안을 마련하여 2020년 상반기까지 의결하기로 하였다.
□ 또한, 중앙생활보장위원회에서는 2020년도 기준 중위소득과 함께 2020년도 각 급여별 선정 기준 및 최저보장 수준도 확정하였다.
?○ 급여별 선정기준은 기준 중위소득 대비 일정 비율을 적용하며, 기준 중위소득 대비 생계급여는 30%, 의료급여는 40%, 주거급여는? 45%(’19년 44%), 교육급여는 50% 이하 가구이다.
?? - 4인 가구를 기준으로 급여별 선정기준은 생계급여 142만5000원, 의료급여 190만원, 주거급여 213만7000원, 교육급여 237만5000원 이하이다.
?? - 가구원 수에 따른 급여별 선정기준 금액은 아래 표와 같다.
< 2019년 및 2020년 급여별 선정기준 >
(단위 : 원/월)
가구원 수
1
2
3
4
5
6
교육급여
(중위 50%)
’19
853504
1453264
18816
2306768
2733520
316272
’20
878597
1495990
1935289
2374587
2813886
3253184
주거급여
(중위 45%)
’19(44%)
751084
1278872
1654414
2029956
2405498
2781039
’20(45%)
79737
1346391
1741760
2137128
2532497
2927866
의료급여
(중위 40%)
’19
682803
1162611
1504013
1845414
2186816
2528218
’20
702878
1196792
1548231
1899670
2251108
2602547
생계급여
(중위 30%)
’19
512102
871958
1128010
1384061
164112
1896163
’20
527158
897594
1161173
1424752
1688331
1951910
?
?
?
?○ 생계급여는 선정기준이 곧 최저보장수준으로 최대 급여액은 4인 가구 올해 기준 138만4061원(’19년)에서 2020년 142만4752원으로 올랐으며, 각 가구별 실제 지원되는 생계급여액은 선정기준액에서 해당 가구의 소득인정액을 차감한 금액이다.
?○ 의료급여는 기존과 동일하게 급여대상 항목에 대한 의료비 중 수급자 본인 부담 금액을 제외한 전액을 지원한다.
?? - 더불어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계획과 연계하여 수급자 의료비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자기공명영상장치(MRI, 척추), 초음파(자궁·난소) 등 비급여 항목의 급여화를 확대하는 한편, 요양병원 선택입원군 본인부담 도입 등 의료급여 재정지출 효율화를 위한 대책도 적극 추진할 예정이다.
< 본인부담 비용 >
구분
1
(의원)
2
(병원, 종합병원)
3
(지정병원)
약국
본인부담
상 한 액
1
입원
없음
없음
없음
-
매월
5만 원
외래
1,000
1,500
2,000
500
2
입원
10%
10%
10%
-
연간
80만 원
외래
1,000
15%
15%
500
?
?
?

?○ 주거급여는 급여 선정기준을 올해 기준 중위소득의 44%에서 2020년 45%로 확대하기로 의결하였으며, 임차가구에 대한 임차급여 지급 상한액인 “임차가구 기준임대료”도 급지에 따라 2019년 대비 7.5~14.3% 인상하였다.
< 2020년 임차가구 기준임대료 >
(단위: 만 원/)
구 분
1급지 (서울)
2 (경기?인천)
3(광역시?세종시)
4 (그 외 지역)
1
26.6
(+3.3)
22.5
(+2.4)
17.9
(+1.6)
15.8
(+1.1)
2
30.2
(+3.5)
25.2
(+2.6)
19.8
(+2.0)
17.4
(+1.3)
3
35.9
(+4.3)
30.2
(+3.0)
23.6
(+2.3)
20.9
(+1.5)
4
41.5
(+5.0)
35.1
(+3.4)
27.4
(+2.7)
23.9
(+1.9)
5
42.9
(+5.2)
36.5
(+3.6)
28.5
(+2.7)
24.9
(+2.0)
6
50.4
(+6.3)
43.0
(+4.1)
33.1
(+3.5)
29.1
(+2.4)
?
* 괄호는 2019년 대비 증가액임
* 가구원수가 7인 이상인 경우 가구원 2인 증가할 때 마다 기준임대료 10% 증가
?
?
?
?
?
?? - 또한 자가가구에 대한 주택 수선비용 지원한도도 그간의 건설공사비 상승분 등을 반영하여 2020년에는 2019년 대비 21% 인상하기로 의결하였다.
< 2020년 자가 가구 보수한도액 >
구 분
경보수(주기 : 3)
중보수(주기 : 5)
대보수(주기 : 7)
수선비용
’19
378만 원
702만 원
1,026만 원
’20
457만 원(+79만 원)
849만 원(+147만 원)
1241만 원(+215만 원)
?
?
?
?
?○ 교육급여는 그간 중학교와 같은 금액으로 지원하던 고등학교 부교재비를 2020년에는 약 60% 인상하기로 하였다.
?? - 이는 고등학교 부교재비가 중학교에 비해 약 1.6배가 더 소요되는 상황 등을 반영한 것이다.
?? - 아울러, 초?중?고 부교재비와 학용품비에 대해서는 교육부문 물가 상승률을 반영하여 1.4%만큼 인상하기로 하였다.
< 2019년 및 2020년 교육급여 지급기준 및 지원내역 >
지급대상
급여항목
최저
교육비
1인당 지급금액(연간)
비고
(’19년 대비)
’19
’20
초등학생
부교재비
131208
132000
134000
1.4%
중학생
208860
209000
212000
1.4%
고등학생
209000
339200
62%
초등학생
학용품비
7494
71000
72000
1.4%
?고등학생
8826
81000
83000
1.4%
고등학생
교과서대
해당 학년의 정규 교육과정에
편성된 교과목의 교과서 전체
수업료 및 입학금
연도별?급지별 학교장이
고지한 금액 전부
?
?
?
□ 한편, 지난 7월 19일 개최된 제57차 위원회에서는 수급자가 중증 장애인인 경우 부양의무자 기준 적용 제외 등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25세~64세 대상 근로소득 공제 신규 적용 및 수급자 재산기준 완화 등 2020년 기초생활보장 관련 주요 제도개선 예정사항이 보고되었다.
?○ 이는 각종 기준으로 인해 수급자격을 갖지 못하는 이른바 ‘비수급 빈곤층’을 보다 많이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치들이다.
?
□ 이날 제58차 중앙생활보장위원회에서 보건복지부 박능후 장관은 마무리 발언으로 “내년 2020년은 기초생활보장제도 시행 20주년이자 제1차 기초생활보장 종합계획을 마무리하고 제2차 종합계획(’21~’23)을 수립하는 해이다”고 말하며,
?○ “부양의무자 기준 등으로 인한 비수급 빈곤층을 최소화하는데 최우선 목표를 두고, 모든 국민의 기본 생활이 보장되는 혁신적 포용국가를 구현해 나가는데 정부도 함께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붙임 > 1. 기준 중위소득 등 관련 용어 설명
2. 기준 중위소득 활용 사업 현황
?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앞 가보시힐 얇은굽 샌들 펌프스힐 유광 애나멜소재
원터치 접이식 자외선차단 양산 자동 UV 양우산 KK864
안아픈 안경다리팁 2P 실리콘 귀고무 안경커버
이중턱 턱살 얼굴 땡김이 마사지컵 컵핑테라피
(IT) 한성컴퓨터 P56 노트북 키스킨 키커버
휴대폰 스마트폰 미러톡 스마트폰 누워서 거치대
갤럭시노트20 카노 스탠딩 다이어리 케이스 N981
슈퍼 프로텍트 케이스 갤럭시A15(A155/156) (반품불가)
유진 219 BNGP 블랙골드 목문 방문손잡이 욕실용
우드케어 오일스테인 woodcare 10리터
이케아 GLASIG글라시그 미니양초홀더 유리5x5cm 5개입
강력 가죽 보수 테이프
코카콜라 업소용 슬릭 245ml 30캔
나프탈렌 화이트 케이스 행거형 6개입 N-2399
참좋은밀폐정1-1호500ML
스프라이트 업소용 500ml 24페트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