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산업통상자원부]7월 조선업, 압도적 수주경쟁력으로 세계 1위 이어나가

btn_textview.gif

7월 조선업, 압도적 수주경쟁력으로 세계 1위 이어나가

- 전세계 LNG운반선 전량 수주, 친환경선박 81% 점유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 이하 산업부’)는 국내 조선업계가 `227월 전 세계 선박 발주량 중 55%를 수주하며, 올해 상반기에 이어 세계 1위 수주실적을 유지해 나갔다고 밝혔다.

 

7월에는 전 세계적으로 총 72, 211CGT(53억불)의 선박이 발주되었는데,

 

ㅇ 선종별로는 컨테이너선 17(전량 8TEU 이하 중소형), 탱커 16, LNG운반선 12(전량 대형), 벌커 11, 기타 16척 등으로, 전체 발주량 중 우리나라 주력선종인 고부가·친환경선박*의 비중이 높았다.

 

* 발주량 중 고부가선 비중: 49%(103/211CGT), 친환경선 비중: 60%(127/211CGT)

 

ㅇ 특히, LNG운반선의 경우 7월에 총 12척이 발주되면서 올해 누적(1~7) 으로 총 101척의 발주 척수를 기록하였고, 이로써 하반기 추가 발주물량을 제외하더라도 이미 역대 최고 발주량을 기록하였다.

 

< 전 세계 LNG운반선 연간 발주 및 수주량 추이 (‘22.8.2. 클락슨 기준)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0940ea8.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17pixel, 세로 368pixel

7월에 우리나라는 총 19, 116CGT(30억불)을 수주하여 수주량 기준으로는 55%, 수주금액 기준으로는 57%를 점유하며 세계 1위를 달성하였다.

< ’22.7월 국가별 수주실적 비교 (‘22.8.2. 클락슨 기준) >

구분

수주량(CGT) 및 비중

수주금액(억불) 및 비중

수주 척수

전 세계

211

53

72

한국

116 (55%)

30 (57%)

19

중국

63 (30%)

15 (29%)

37

일본

6.3 (3.0%)

1.3 (2.4%)

2


 

선종별로는 LNG운반선 12, 컨테이너선 3(1,800TEU 피더급), 탱커 3, 여객화물겸용선 1척을 수주하였다.

 

특히, 전 세계 LNG운반선 발주물량 전량, 친환경선박 발주물량의 81%을 우리나라가 수주함으로써 독보적 1위 실적 달성을 가능케 하였다.

 

< ’22.7월 고부가 및 친환경 선박 수주실적 비교 (‘22.8.2. 클락슨 기준) >

구분

고부가 선박*

(174k ㎥↑ 대형 LNG 운반선)

친환경 선박

(LNG, 메탄올 등 대체연료 사용)

전 세계

12, 103CGT

25, 127CGT

한국

12, 103CGT(100%)

12, 103CGT(81%)

중국

-

8, 21CGT(17%)

일본

-

-


 

* 대형 컨테이너선, 초대형유조선(VLCC)은 전세계 발주 없음(VLCC의 경우 ’21.2H부터 발주 없음)

 

올해 우리나라의 지속된 수주 호조를 기반으로 대형 및 중형 조선사 모두 높은 수주실적을 기록하였다.

 

< ’22.1~7월 우리나라 조선사 수주액 비교 (단위: 억불, 각사 발표 기준) >

대형조선사

목표

수주액

비율

중형조선사

수주액

한국조선해양

174.4

177.9

102%

케이조선

13.8

삼성중공업

88

63

71.6%

대한조선

4.85

대우조선해양

89

64.3

72.3%

대선조선

2.1

합계

351.4

305.2

86.9%

HJ중공업

3.9

 

 

 

 

합계

24.65


대형 조선사는 `22.1~7월 누적 기준으로 305.2억불의 수주액을 달성하였는데, 이는 올해 수주 목표액인 351.4억불의 87%에 해당하며, 지난해 같은 기간 수주액인 298.5억불 대비 2.2% 증가한 수치이다.

 

ㅇ 중형 조선사의 경우에도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중소형 컨테이너선 및 탱커 등 총 31, 24.65억불을 수주하며, 지난해 같은 기간(18.5억불) 대비 33% 증가한 수주액을 기록하였다.

 

우리나라 조선사의 7월말 현재 수주잔량은 3,586CGT로 전년 동월(2,850CGT) 대비 26% 증가하면서, 전세계 수주잔량 증가율 9.2%(9,27210,126CGT)를 크게 웃도는 증가율을 보였다.

 

* 같은 기간 중국은 12% 증가(3,7754,237CGT), 일본 13% 감소(1,130986CGT)

 

한편, 선가지수*`20.11월 코로나 영향으로 저점(125.06)을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 중이며, `22.7월에는 161.57을 기록함으로써 `09.1(167.11) 이후 162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였다.

 

* 클락슨 신조선가지수: ’88.1월의 선박 건조 비용을 기준(100)으로 하였을 때, 비교 시점의 선박 건조 비용을 상대적으로 나타낸 값

 

특히, 대형 LNG운반선의 평균선가*는 척당 2.36억불로 집계 이후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21.12(2.1억불)부터 8개월째 신고가를 경신 중이다.

 

* 클락슨에서 발표하는 수치로 ‘14.10월 수치부터 집계

 

업부는 국제해사기구 환경규제에 따른 친환경선박 수요 증가, -우 전쟁에 따른 LNG 수요 증가 등에 따라 올 하반기에도 친환경선박 및 LNG운반선 중심의 국내 수주 호조는 지속할 것으로 전망되며,

 

특히 우리나라 조선사들의 상당한 수주잔량으로 수익성을 감안한 선별 수주 가능성이 확대됨에 따라, 하반기에는 업체별로 수익구조 개선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알파 베이직 젯소 500ml
칠성상회
3M 전자계산기 SJC-830P
바이플러스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