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농촌진흥청]“딸기 묘, 더위 한풀 꺾인 뒤 본밭에 심으세요”

btn_textview.gif

?- 28도 이상일 땐 꽃눈 늦게 형성되고 시들음병 우려도 -
고온에탄저병피해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딸기를 수경으로 재배(물가꾸기)할 때 묘를 본밭에 옮겨 심는(아주심기) 시기와 관리 요령을 제시했다.
대부분 온실에서 재배하는 딸기는 9월께 본밭에 묘를 심고 12월부터 본격적으로 출하한다. 출하가 빠를수록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어 최근 아주심기를 앞당기는 농가가 늘고 있다.
그러나 묘를 너무 빨리 옮겨 심으면 늦여름 고온(28℃ 이상) 상태에서 생육 장해가 발생하거나, 밤에도 기온이 24℃ 이상 오르는 열대야로 꽃눈 형성을 방해해 오히려 수확이 늦춰질 수 있다.
특히, 최근 면적이 늘고 있는 수경재배1)는 뿌리가 자라는 배지가 공중에 노출돼 있어 토양 재배보다 기온 변화에 민감하다. 날씨 등을 고려해 아주심기 할 시기를 정해야 한다.
고온에서 뿌리 조직에 상처가 나면 식물의 양분과 수분 흡수 능력이 떨어진다. 근권부(뿌리 부분)인 배지의 화학성이 변해 배지 안의 영양원(무기이온2))을 흡수하기 어렵다. 코이어(코코피트)3) 같은 유기 배지에서는 작은뿌리파리 유충이 번식하거나 시들음병이 많이 발생할 수 있다.
최근 5년간 평균 최고 기온을 조사한 결과, 올해는 9월 10일경까지 28℃ 이상 고온 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한다. 따라서 고온 장해를 피하기 위해서는 9월 10일 이후, 늦더위 현상이 지난 이후에 아주심기를 하는 것이 좋다.
이미 아주심기를 마친 농가라면 온실 내부 온도를 떨어뜨리고 덥고 습한 환경에서 발생하기 쉬운 병충해를 예방해야 한다. 온실 온도를 낮추기 위해 차광망이나 차광도포제, 기능성 피복재 등을 사용해 내부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줄이고, 유동팬4)과 환기팬을 통해 더운 공기를 외부로 내보낸다. 미세한 물 입자를 온실 내부에 뿌려 온도를 낮추는 안개 분무(포그) 시스템을 사용하거나, 히트 펌프5)를 이용해 물 온도를 낮춰 공급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탄저병과 시들음병, 작은뿌리파리 등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농촌진흥청 농사로(www.nongsaro.go.kr) 누리집에서 농약등록현황의 농약안전사용기준을 참고해 방제한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연구소 이강진 소장은 “딸기의 아주심기는 지역별로 그 해의 기상조건을 고려해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심은 후에도 온실 내부가 덥거나 습해지지 않도록 시설 환경을 조절하고, 지나치게 일찍 심어 고온 장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참고자료] 딸기 아주 심는 요령 제시
---------------------------------------
1) 딸기 수경재배 면적은 전체의 약 30%인 1,752ha로 2011년 대비 7배나 증가했음.
2) 작물 생육의 영양원이 되는 무기성분으로 질소, 인,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이 있음.
3) 코코넛 열매의 껍질을 가공해 만든 것으로, 재배 후 폐기에 문제가 없어 친환경적임.
4) 온실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켜 환기효과를 유도함.
5) 고온의 열을 외부 열원(수열, 지열, 공기열 등)을 이용해 저온으로 만들어주는 친환경 고효율 에너지 설비.

[문의] 농촌진흥청 시설원예연구소장 이강진, 최수현 연구사 055-580-5534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알파 베이직 젯소 500ml
칠성상회
3M 전자계산기 SJC-830P
바이플러스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