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질병관리청]코로나19 위기단계 조정 대비, 새로운 「하수(下水) 기반 감염병 감시」 시작(4.5.수.정례브리핑)

btn_textview.gif


코로나19 위기단계 조정 대비, 새로운 「하수(下水) 기반 감염병 감시」 시작



-  코로나19 위기에서 일상적 관리로 전환과 향후 감염병 대응 고도화를 위해 새로운 ‘하수(下水) 기반 감염병 감시 사업’ 시작 (’23년 4월~)





- 주요 내용 -


□ 질병관리청, 코로나19 위기에서 벗어나 일상적 감염병 관리로 전환에 대비한 새로운 하수(下水) 기반 감시 시작


□ 하수 기반 감염병 감시는 환자 아닌 하수에서 병원체량을 측정하여 지역사회 유행경향을 판단하는 것으로, 간단하고 다양한 병원체에 적용 가능


□ 세계보건기구와 여러 국가에서 과학적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기존 운영중인 임상기반 감시 보완 기대


□ 질병청과 전국 보건환경연구원은 시범사업 통해 신뢰성검증 마쳤으며, 대상 병원체와 측정지점 확대하여 앞으로의 감염병위기 대비 계획 





  질병관리청장(청장 지영미)은 그간의 코로나19 유행상황에서 일상적 감염병관리로 전환을 앞두고, 2023년 4월부터 전국적 하수(下水) 기반 감염병 감시* 사업을 시작한다고 발표하였다.

  * (국정과제 2번 감염병 대응체계 고도화) 2--4 하수 기반 감염병 감시체계 구축


  하수기반 감염병 감시는, 모든 확진 환자를 신고하여 통계로 집계하는 현재 임상기반 전수감시와 달리, 생활하수에 섞인 바이러스량을 분석하여, 지역사회 환자 발생을 추정하는 새로운 분석기법이다.




  질병관리청은 현재 임상기반 전수감시는 실제 환자를 모두 파악하는 장점이 있으나, 많은 사회적 노력과 비용이 발생한다고 설명하면서,


  현재 국내 코로나19 안정화 추세로서, 일상적 관리체계 2단계 진입시,  전수 감시는 일부 의료기관만 환자를 보고하는 표본감시로 조정되며, 하수감시는 표본감시를 보완할 새로운 과학적 분석기법으로 적용된다고 밝혔다.



  하수기반 감시는 환자 및 의료인의 검사와 신고에 의존하지 않아 편의성이 높으며, 수 회의 검사로 지역사회를 평가할 수 있어 경제적일 뿐 아니라, 코로나19 외 항생제 내성균 등 다양한 병원체도 감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세계보건기구에서도 하수기반 감시를 새로운 감염병 감시 기술로 인정하여 사용을 적극 권장하고 있으며, 미국 등 외국에서도 시행되고  있는 감시 방법이다.

  * 세계보건기구(WHO) 코로나19 환경 감시 중 하수 감시 지침 발표(’22.4월), 14차 국제보건규칙(IHR) 회의 결과 공중보건위기(PHEIC) 유지선언과 함께 하수 감시 권고(’23.1.30)


  질병관리청은 그간 시범사업을 통해 전국 시, 도 보건환경연구원과 함께 활용 가능성과 신뢰성에 대한 평가하여 왔으며, 실측자료를 통해 하수 감시 결과와 지역사회 환자 발생 경향 사이의 일치성을 확인하였다.


 「하수(下水) 기반 감염병 감시 사업」은 전국 17개 시·도에서 선정 하수처리장(현재 전국 64개소)을 중심으로, 주 1회 이상 코로나19 바이러스, 노로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등 감염성 병원체를 감시할 계획이다.  


  또한, ’23년도 국고보조사업 「새로운 역학감시체계 구축 (하수감시)」 운영을 통하여 전국 보건환경연구원에서 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지침 개정 등을 통하여 제도적인 부분을 개선하였다. 


  이 사업은 관련 지자체·부처 및 학계 등과 범정부적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추진하고 있으며, 감시 개시 후 주기적으로 ‘하수 기반 감염병 감시 주간정보’ 등으로 질병관리청 감염병 누리집을 통해 공개할 예정이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향후 관계부처 및 지자체와의 지속적인 협업을 통해 하수 기반 감염병 감시 대상 감염병의 범위를 확대하고 실험기법의 고도화 등을 통하여 국가 감염병의 위기상황을 대비·대응할 수 있는 감시체계 기반을 꾸준히 마련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2. 변이 바이러스와 향후 전망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지영미)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우세변이는 오미크론 BN.1(검출률 46.5%)이나, XBB.1.5 변이의 점유가 차츰 증가하는 상황으로 2주전 11.6%에서 지난주 16.3%가 검출되었다고 밝혔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XBB 변이는 면역회피능이 상대적으로 높아 앞으로 점유율과 환자가 다소 증가될 수 있으나, 그간 백신과 자연감염으로 누적된 면역력이 상당하여 대규모 유행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설명하였다.


   또한 질병관리청이 실시한 실험 결과를 소개하며 BN.1과 XBB 변이는 BA.5 대비 1/5 이하 수준으로 바이러스 생산량이 낮고, 발병 후 8일까지의 배양 양성률도 낮아, 바이러스 자체의 감염력은 오히려 더 낮다고 부연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최근의 변이상황을 종합하며 “언제나 경계는 하되  우려할 상황은 아니며, 현재 대응 및 앞으로 정책계획에 영향을 줄 상황도 아니다” 라고 설명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미국 질병예방센터(CDC)의 최근 분석자료를 인용, BA.4/5 기반의  2가백신은 XBB에도 작동하여 기존 단가백신 접종자 대비 48% 추가 감염예방 효과를 보인다고 밝히고, 현재의 “2가백신은 여전히 가장 효과적인  방어수단”이라고 강조하였다.







 3.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3.26.∼4.1.)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지영미)는 3월 5주간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는 147명, 일평균 사망자는 8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34,270명이라고 밝혔다.


구분

3.26.

3.27.

3.29.

3.29.

3.30.

3.31.

4.1.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149

153

151

150

143

139

142

147

-

사망자*

3

3

8

14

10

10

5

8

53

입원

21

11

23

28

15

26

26

21

150

  * 사망 신고 집계일 기준으로 실제 사망일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최근 1주간 연령대별 사망자 비중은 80세 이상이 67.9%, 70대가 15.1%, 60대가 11.3%로, 50대 이하 5.7%와 비교하면 고연령층 사망자가 대다수였다.


< 성별·연령별 주간 사망 및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현황 >

구 분

신규 사망

(주간 누적)

(%)

사망누계

(%)

치명률(%)

재원중

위중증

구성비(%)

53

(100.0)

34,270

(100.0)

0.11

147

(100%)

성별

남성

20

(37.7)

16,876

(49.2)

0.12

91

(61.9)

여성

33

(62.3)

17,394

(50.8)

0.11

56

(38.1)

연령

80세 이상

36

(67.9)

20,435

(59.6)

0.01

59

(40.1)

70-79

8

(15.1)

7,772

(22.7)

0.01

38

(25.9)

60-69

6

(11.3)

3,895

(11.4)

0.01

33

(22.4)

50-59

0

(0.0)

1,403

(4.1)

0.01

8

(5.4)

40-49

2

(3.8)

465

(1.4)

0.01

3

(2.0)

30-39

0

(0.0)

160

(0.4)

0.03

1

(0.7)

20-29

1

(1.9)

80

(0.2)

0.12

2

(1.4)

10-19

0

(0.0)

23

(0.1)

0.45

2

(1.4)

0-9

0

(0.0)

37

(0.1)

1.94

1

(0.7)

* 치명률(%) = 사망자수 / 확진자수 × 100

* 위중증 :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으로 격리 치료 중인 환자

* 사망 신고 집계일 기준으로 실제 사망일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4. 코로나19 주간 위험도 평가(3.26.∼4.1.)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 지영미)는 3월 5주차 코로나19 주간 위험도를 전국, 수도권 및 비수도권 ‘낮음’으로 평가하였다고 밝혔다.


  신규 확진자, 60세 이상 확진자 등 주요 발생지표 증가세로 지속적인 추이 관찰이 필요한 상황을 고려하였다.


<3월 5주차 종합평가 결과>

구분

’22.10

’22.11

’22.12

’23.1

’23.2

’23.3

1-3

(10.2.~)

4

(10.23.~)

1-5

(10.30.~)

1-4

(12.4.~)

1-2

(1.1.~)

3-4

(1.15.~)

1-4

(1.29.~)

1

(2.26.~)

2

(3.5.~)

3

(3.12.~)

4

(3.19.~)

5

(3.26.~)

전국

낮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수도권

낮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비수도권

낮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위중증·사망자 현황]


  지난주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는 전주 대비 9.7% 증가하여 일평균 147명이고, 신규 사망자 수는 전주 대비 8.6% 감소(58명→53명)하였고 일평균은 8명이다. 


   * 주간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수 : (3월 2주) 146명→ (3월3주) 143명→ (3월4주) 134명→ (3월 5주) 147명

  ** 주간 일평균 사망자 수 : (3월2주) 11명→ (3월3주) 9명→ (3월4주) 8명→ (3월5주) 8명



그림.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및 일평균 사망자 발생 현황(’23.4.1. 0시 기준)>



  3월 5주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130명(88.4%), 일평균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7명(87.5%)이었다.


※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50세 이상 138명(93.9%), 일평균 사망자 중 50세 이상 8명(100.0%)


  3월 3주차 확진자를 2주간 모니터링한 결과, 중증화율 0.19%, 치명률은 0.06%이었다.



그림. <주간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발생 현황(’23.4.1. 0시 기준)>



  ’23년 4월 1일 기준, 전체 인구 10만 명당 코로나19 누적 사망률은 66.4명(치명률 0.11%)이며, 연령대가 높을수록 사망률과 치명률이 높았다. 


  80세 이상의 누적 사망률이 969.4명(치명률 1.94%)으로 가장 높고, 70대는 209.2명(치명률 0.45%), 60대는 54.4명(치명률 0.12%)이었다.


[확진자 및 발생추이]


  3월 5주(3.26.~4.1.) 주간 신규 확진자는 70,728명으로 전주 대비 1.1% 증가하였다.


  주간 일평균 확진자수는 10,104명이고, 감염재생산지수는 1월 1주부터 3월 4주까지(3월 2주 제외) 1 이하 유지하였으며, 3월 4주 이후 1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 주간 누적: (3월2주) 7.0만 명 → (3월3주) 6.5만 명 → (3월4주) 6.9만 명 → (3월5주) 7.0만 명

 ** 일 평균:  (3월2주) 10,054명 → (3월3주) 9,295명 → (3월4주) 9,990명 → (3월5주) 10,104명



그림. < 최근 8주간 전국 확진자수 및 발생률* 추이(명)(’23.2.5.~4.1.)>



<최근 8주간 주요 발생 지표>


구분

22

(2.5.~2.11.)

23

(2.12.~2.18.)

24

(2.19.~2.25)

31

(2.26.~3.4)

32

(3.5~3.11)

33

(3.12~3.18)

34

(3.19~3.25)

35

(3.26~4.1)

확진자수()

94,840

81,174

70,454

65,518

70,378

65,063

69,927

70,728

일 평균 확진자()

13,549

11,596

10,065

9,360

10,054

9,295

9,990

10,104

주간 일평균 발생률(10만 명당)

26.3

22.5

19.6

18.2

19.5

18.1

19.4

19.6

전주 대비 확진자 발생 증가비

0.8

0.9

0.9

0.9

1.1

0.9

1.1

1.0

감염재생산지수(Rt)

0.81

0.90

0.90

0.93

1.03

0.98

1.00

1.03



  19세 이하, 80세 이상을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전주 대비 일평균 발생률 증가하였다. 발생률은 10-19세(31.7명), 20-29세(24.6명), 30-39세(23.0명) 순으로, 학령기 및 젊은 연령층에서 높았다.


  전주 대비 60세 이상 확진자 규모와 발생 비중 모두 증가하였다.

    * 60세 이상 확진자수(명): (3.2주) 16,937→ (3.3주) 13,906→ (3.4주) 15,160→ (3.5주) 15,825

   ** 60세 이상 비중(%): (3.2주) 24.1→ (3.3주) 21.4→ (3.4주) 21.7→ (3.4주) 22.4


<성별·연령별 발생 현황(명, %)>


구분

33

34

35

누적 발생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발생률

65,063

(100.0)

18.1

69,927

(100.0)

19.4

70,728

(100.0)

19.6

30,829,827

(100.0)

59,935

성별

남성

28,712

(44.1)

16.0

30,872

(44.1)

17.2

30,563

(43.2)

17.0

14,273,878

(46.3)

55,677

여성

36,351

(55.9)

20.1

39,055

(55.9)

21.6

40,165

(56.8)

22.2

16,555,949

(53.7)

64,165

연령별

0-9

4,231

(6.5)

17.1

4,122

(5.9)

16.7

3,873

(5.5)

15.7

3,115,227

(10.1)

88,184

10-19

11,391

(17.5)

34.6

12,008

(17.2)

36.5

10,445

(14.8)

31.7

3,838,014

(12.4)

81,604

20-29

9,501

(14.6)

21.2

10,446

(14.9)

23.3

11,034

(15.6)

24.6

4,491,190

(14.6)

69,987

30-39

9,249

(14.2)

20.0

9,902

(14.2)

21.4

10,640

(15.0)

23.0

4,513,313

(14.6)

68,223

40-49

8,951

(13.8)

15.8

10,000

(14.3)

17.7

10,131

(14.3)

17.9

4,695,768

(15.2)

58,165

50-59

7,834

(12.0)

13.0

8,289

(11.9)

13.7

8,780

(12.4)

14.6

4,027,041

(13.1)

46,760

60-69

6,765

(10.4)

13.1

7,366

(10.5)

14.2

7,973

(11.3)

15.4

3,368,840

(10.9)

45,503

70-79

4,218

(6.5)

15.8

4,625

(6.6)

17.3

4,728

(6.7)

17.7

1,726,424

(5.6)

45,127

80세이상

2,923

(4.5)

18.5

3,169

(4.5)

20.1

3,124

(4.4)

19.8

1,054,010

(3.4)

46,719




[병상가동률]


  확보 병상 감소 이후에도 전국, 수도권, 비수도권 중환자 병상가동률은 모두 전주대비 감소하였다.

   * 중환자 병상가동률(3.4주 → 3.5주): (전국) 26.5% → 23.5%, (수도권) 26.6% → 23.8%, (비수도권) 26.2% → 23.2%

   * 준-중환자 병상가동률(3.4주 → 3.5주): (전국) 36.3% → 30.9%, (수도권) 40.4% → 37.7%, (비수도권) 31.3% → 22.8%



[먹는 치료제 처방률]


  23년 3월(3.1~3.31) 60세 이상 환자에 대한 먹는 치료제 추정 처방률은 43.6%로 전월(2월: 39.6%) 대비 5.8%p 증가하였다. 




[변이 바이러스]


  1월 4주 우세종화된 이후 50%대를 유지하던 BN.1의 검출률은 46.5%(-7.2%p)로 전주 대비 감소하였고, 재조합 XBB.1.5는 16.3% (+4.7%p)로 확인되었으며, BQ.1은 10.3%(-0.3%p), CJ.1은 6.4%(+0.3%p)로 확인되었다.


  현재 XBB.1.5를 포함한 XBB계통의 면역회피능으로 인한 검출률 증가가 예상되고 있으나, XBB는 BA.4/5 기반 2가 백신에 유효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고, 또한 질병관리청의 자체 분석결과* XBB 뿐만 아니라 이미 국내에서 우세화 된 BN.1 모두 이전에 우세화 되었던 BA.5대비 전파력이 높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어, 종합적으로 크게 우려할 상황은 아닌 것으로 판단되었다. 


  * BA.5 대비 감염성 바이러스 생산량이 BN.1 및 XBB.1.5 모두에서 상대적으로 낮았고, 발병 후 8일까지 배출되는 바이러스의 감염성을 나타내는 배양양성률도 BN.1이 BA.5 보다 낮았음.



[ 국내 오미크론 변이바이러스 세부계통 검출률(4.1. 기준) ]


구분

분석주차

오미크론 세부계통 검출률(%)

BA.5*

BQ.1

BN.1

BA.2.75

CJ.1

CH.1.1

XBB.1.5

XBB.1.9.1

기타

전체

32

5.7

10.3

53.8

3.3

6.0

5.7

7.6

2.7

4.9

33

3.8

9.8

54.2

3.5

5.4

6.4

10.3

2.6

4.0

34

2.8

10.6

53.7

2.0

6.1

4.5

11.6

3.1

5.7

35

1.4

10.3

46.5

1.8

6.4

5.0

16.3

5.8

6.5

국내감염

32

5.5

10.4

55.6

3.1

6.3

5.8

6.5

2.4

4.3

33

3.7

9.9

56.2

3.5

5.7

6.7

8.3

2.3

3.6

34

2.9

10.8

54.8

2.0

6.2

4.6

10.1

2.9

5.8

35

1.3

10.4

48.1

1.9

6.7

5.0

15.2

5.5

5.9

해외유입

32

9.5

8.4

20.2

7.1

0.0

2.4

28.6

8.3

15.5

33

6.0

7.2

16.7

3.6

0.0

1.2

46.4

8.3

10.7

34

2.0

2.0

19.6

0.0

3.8

2.0

58.8

9.8

2.0

35

2.6

7.9

14.5

0.0

1.3

3.9

39.5

11.8

18.5




○ 주간 코로나19 위험평가 지표별 추이(※ 잠정통계로 향후 변동 가능) : 첨부파일 참고





 5. 코로나19 병상 및 재택치료 등 현황



[병상]


  4월 4일(화) 17시 기준, 전체 병상 보유량은 1,081병상이다. 병상 가동률은 위중증병상 23.3%, 준-중증병상 32.7%이다.



< 4.4.(화) 17시 기준 중증도별 병상 현황 >


(단위 : )

구분

(, %)

위중증(危重症)

준중증(-重症)

중환자 전담치료병상

-중환자병상

보유

(증감)

사용

(증감)

가용

(증감)

보유

(증감)

사용

(증감)

가용

(증감)

전국

408

95

313

673

220

453

(+0)

(+4)

(-4)

(+0)

(-9)

(+9)

수도권

244

56

188

366

145

221

(+0)

(+4)

(-4)

(+0)

(-4)

(+4)

서울

95

22

73

120

38

82

경기

106

26

80

174

94

80

인천

43

8

35

72

13

59

비수도권

164

39

125

307

75

232

(+0)

(+0)

(+0)

(+0)

(-5)

(+5)

강원

15

3

12

15

7

8

충청권

37

11

26

63

20

43

호남권

33

4

29

77

24

53

경북권

31

13

18

71

14

57

경남권

44

7

37

72

9

63

제주

4

1

3

9

1

8




[재택치료 현황]


  신규 확진자 중 재택치료로 배정된 환자는 11,925명으로, 수도권 6,924명, 비수도권 5,001명이다. 현재 62,046명이 재택치료 중이다. (4.4. 0시 기준)



[일반의료체계 기관 현황]


  호흡기환자진료센터는 전국에 14,386개소, 이 중 호흡기환자 대상 진료와 검사, 처방, 치료를 모두 수행하는 “원스톱 진료기관”*은 10,674개소가 있다. (4.4. 0시 기준)


    * 병원 사정에 따라 검사/진료/처방 등의 기능이 검색 결과와 다를 수 있으므로 전화 예약 후 방문 요망


  24시간 운영되는 재택치료 의료상담센터도 전국 171개소 운영되고 있다. (4.4. 0시 기준)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확진자 급증에 따라 당일 일부 중복 및 오신고 건들이 있어 익일 확인시 정정하고 있습니다. 확진자 신고 및 집계 업무 부담 증가로 오신고 등의 구체적 내역 제공이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시도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리집에서 내려 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8시 이전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누적)확진
다운로드(화살표선택)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시도별 발생동향 시도 선택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붙임>  1. 하수(下水) 기반 감염병 감시(KOWAS) 사업 주요 내용

         2.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3. 코로나19 국외 발생 동향

         4.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현황 (4.1. 기준)

         5. 「감염병 보도준칙」(2020. 4. 28.)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알파 베이직 젯소 500ml
칠성상회
3M 전자계산기 SJC-830P
바이플러스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