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산업통상자원부]원전 기자재 수출 투-트랙(동반진출·독자수출) 전략 추진

btn_textview.gif

원전 기자재 수출 투-트랙(동반진출·독자수출) 전략 추진

- ’27년까지 총 5조원 규모의 원전 기자재 동반진출 프로젝트 수주 도전

- 동반진출 외에 독자수출이 가능한 원전수출 중소기업 100개사 육성 목표

- 원전 중소기업 수출 첫걸음 프로그램신설, 원전수출 중점 무역관 운영


 

원전 기자재 수출 활성화를 위해 원전 공기업과 협력업체 간 동반진출을 확대하는 한편, 원전 중소기업의 독자적인 수출역량을 강화하는 투-트랙(Two-Track) 수출 전략을 추진한다.

 

동반진출 확대를 위해 원전 공기업과 기자재 협력업체는 2027년까지 원전 1기 건설 사업비와 맞먹는 수준인 총 5조원 규모의 원전 기자재 프로젝트 수주에 도전한다. 정부는 원전 중소기업들의 독자적인 수출역량 강화를 위해 원전 중소기업 수출 첫걸음 프로그램 신설하여 수출 전()주기를 밀착지원하여, 2027년까지 공기업 수주에 의존하지 않고, 독자수출이 가능한 원전수출 중소기업 100개사를 육성한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는 이러한 내용의원전 기자재 수출 활성화 방안3.29(), 4차 원전수출전략 추진위원회에서 발표하였다.

 

최근 신규원전 건설과 계속운전 확대로 전 세계적인 원전 기자재 수요가 증가하는 반면, 주요 원전공급국들은 과거 원전건설 중단 등 영향으로 자재 제조 능력이 약화되어, 우리기업의 글로벌 기자재 공급망 진입기회가 열리고 있다.

 

그러나, 국내 원전 기자재 수출은 걸음마 단계로 지난 5(17~21) 원전수출 계약은 143, 5.3억불에 그치며, 그 이전 5(12~16) 대비 계약건수는 43%, 계약액은 12.4% 각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전 공기업이 수주한 프로젝트의 하도급 수출계약이 대부분으로, 중소기업 단독수출은 전체의 9%(건수 기준) 불과하였다.

정부는 이러한 현실을 타개하고자 금번 대책에서, 기존의 수출 방식인 원전 공기업과 기자재 협력업체 간 동반진출을 확대하는 한편, 원전 공기업 수주에 의존하지 않는 원전 중소기업 독자적인 수출 역량을 강화하는 투-트랙(Two-Track) 전략을 해법으로 제시하였다.

 

첫째, 원전 공기업과 기자재 협력업체의 동반진출 확대를 위하여 팀코리아는 2027년까지 총 5조원 규모의 원전 기자재 프로젝트 수주에 도전한다. 원전 건설 프로젝트 및 개보수 사업 수주, 핵연료 공장 건설 등 사업규모가 크고, 기자재 업체들이 많이 참여할수 있는 대형사업에 역량을 집중하는 한편, 고부가가치 단품 기자재 수출, 운영정비 서비스 수출, SMR 모듈핵연료 개발 등으로 기자재 수출분야를 다변화해 나간다.

 

둘째, 정부는 2027년까지 원전 공기업과의 동반수출 외에 독자적인 기자재 수출이 가능한 원전 중소기업 100개사 양성을 목표로 범부처적인 역량을 집중한다. 수출의지와 잠재력이 있는 중소기업을 선정하여 수출 전과정을 밀착 지원하는 특별 프로그램 신설을 추진(23.6)한다.

 

< 원전 중소기업 수출 첫걸음 프로그램 계획() >

(목적) 수출잠재력을 갖춘 원전 중소기업을 집중지원하여 독자수출 능력을 배양

 

(선정) 중장기 계획, 기업역량, 추진의지, 기대효과 등 종합 고려(최대 5년간 지원)

 

(목표) 27년까지 독자수출 원전 중소기업 100육성

 

* 100= [수출 경험 중기 40여개(`22년 기준)] + [첫걸음 선정 기업 60]

 

(지원) 시장조사 등 초기단계부터 계약 성사까지 지원사업들을 패키지로 제공

 

(일정) 사업계획수립기업 모집 공고선정시행점검(분기별)

 

* ‘23년은 원전산업수출기반구축사업을 통해 추진하되, ’24년 신규예산 확보 추진


 

정부는 금융, 인증, 마케팅, 시장정보 등 각 분야의 수출지원 프로그램을 원전수출 중소기업에게 최우선 지원한다. 금융기관들은 원전 중소기업 대상으로 융자 한도상향, 자금용도확대, 우대금리 등을 지원한다. 원전 기업의 해외인증, 벤더등록 등에 대한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해외인증 취득비용 최대 1.5억원, 벤더등록 컨설팅 및 대행비를 최대 3천만원까지 지원한다. 해외원전 바이어 25와 국내 원전업체간 매칭, 전시·상담회 참여지원, 수출바우처, 기자재 시범사용 사업 등을 통해 마케팅 지원도 강화한다. 원전수출정보지원시스템 접근성을 개선하고 해외입찰정보 제공건수를 2(22, 56723, 960) 확대하는 등 입찰정보시스템을 고도화한다.

국내외에 원전 기자재 수출을 위한 지원체계도 강화한다. 국내에 수출 지원사업을 상담하고 연결해주는 원전 기자재 수출종합 상담데스크를 신설(23.5)하는 한편, 해외에는 KOTRA가 지난 3월에 지정한 10*원전 중점 무역관을 중심으로 마케팅, 정보수집 등 해외 현지 지원기능을 강화한다. 또한, 산업부는 반기별로 원전 기자재 수출지원 이행실적을 점검하고, 예산당국과 협의하여 원전 기자재 수출 전용예산 증액을 추진한다.

 

* 미국, 캐나다, 프랑스, 영국, 체코, 폴란드, 인도, 남아공, 카작, 우즈벡 등 10

 

이날 회의에서는 원전 수출대상국과의 규제협력 추진계획(원안위)원전 중소·중견기업 동반성장 특별금융 프로그램 지원계획(산업은행)도 논의되었다.

 

원안위는 그간 규제협력 현황을 공유하고, 규제협력의 기본방향으로 원전 수출대상국들의 규제 여건에 기반하여 국가별로 차별화 기조하에 중점수주국 우선적 협력을 제시하였다. 세부적으로, 규제기관 간 업무협약(MOU) 체결, 다양한 규제역량 강화 프로그램 마련, 체계적인 수출통제 및 수출 노형 인허가 지원 등을 중점 추진키로 하였다.

 

산업은행은 고금리 등으로 경영애로를 겪고 있는 원전 중소·중견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위원회 개최 전에 체결한 원전 중소·중견기업 특별금융지원 협약식을 보고하였다.(별도 보도자료 배포)

 

* 원전 중소·중견기업 대상 저금리 대출 개시 : 1(3.31) 500억원, 2(8월경) 1,500억원

 

이창양 장관은이번 대책은 원전 기자재 수출 관련 첫 관계부처 합동대이자, 범정부 수출확대 전략의 원전분야 이행대책이라 언급하고, 원전 생태계 복원과 종합원전 수출강국 도약을 위하여 민관이 신규 원전수주와 함께 원전 기자재 수출 활성화에 힘을 모아줄 것을 당부하였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
바르네 풀테이프 BGT-0180(8.4mmX12m) 본품 랜덤
칠성상회
아모스 글라스데코 썬데코 별자리 어린이 미술놀이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