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농림축산식품부]양곡관리법 일부개정법률안에 대한 국회 재의 요구, 국무회의 의결

btn_textview.gif

  오늘 정부는 제14회 국무회의에서 양곡관리법 일부개정법률안에 대해 대한민국헌법53조 제2항에 따라 국회에 재의요구를 하기로 의결하였고, 이에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은 아래의 내용으로 재의요구 이유 및 향후 계획 등을 설명하였다.

 

아 래 -

 

  정부는 오늘 개최된 국무회의에서 지난 331일 정부로 이송된 양곡관리법 일부개정법률안에 대하여 대한민국헌법53조 제2항에 의거 국회에 재의를 요구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국가적 이익에 반하여 큰 피해가 예상되는 부당한 법률안에 대한 정부의 재의 요구는 헌법이 부여한 삼권분립에 따른 행정부의 권한입니다. 정부는 그간 농업계, 언론, 전문가 등 각계각층의 다양한 의견 수렴과 당정 간의 협의 등을 종합하여 판단한 결과, ‘남는 쌀 전량 강제 매수법에 대해 재의 요구가 불가피하다는 결론에 이르렀습니다.

 

  이 법 시행으로 인해 발생할 부작용과 우려되는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지금도 남는 쌀을 더 많이 남게 만들고, 이를 사는데 들어가는 국민 혈세는 매년 증가하여 203014천억 원대에 이르게 될 것입니다. 그럼에도 오히려 쌀값은 떨어지고, 쌀 재배농가 소득도 감소할 것입니다.

 

  정부로 이송된 양곡관리법 일부개정법률안의 시장격리 기준은 매월 9월경에 생산량과 다음연도 수요량을 추정하여 수요를 3~5% 초과할 경우, 초과 생산량 전부를 격리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시장격리 기준을 3%하든 3~5%로 하든 차이가 없고 결과는 동일합니다. 왜냐하면 현재도 남는 쌀이 매년 5.6% 수준이고, 강제매입을 시행하면 최소 6%에서 최대 16%(평균 11.3%)까지 늘어나게 되어 매년 초과생산량 전부를 시장격리 해야합니다.

 

  둘째, 식량안보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쌀은 이미 충분한 양을 정부가 비축하고 있고, 남아서 문제입니다. 농업인들이 계속 쌀 생산에 머무르게 하여 정작 수입에 의존하는 밀과 콩 등 주요 식량작물의 국내 생산을 늘리기 어렵습니다.

 

  셋째, ‘남는 쌀 전량 강제 매수법은 농업·농촌과 국가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큰 사안임에도 입법과정에서 실질적인 협의와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부족하였고, 다른 품목과의 형평성 문제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국회 통과를 전후로 많은 농업인단체에서 이 법에 대한 반대 입장을 표명하였습니다.

 

  오늘 국무회의에서 대통령께서는 정부와 당이 충분히 협의하여 우리 농업과 농촌을 세심히 살필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하였고, 이에 따라 4 6일 민당정 협의회를 개최하여 관련 대책을 마련하여 발표할 계획입니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
바르네 풀테이프 BGT-0180(8.4mmX12m) 본품 랜덤
칠성상회
아모스 글라스데코 썬데코 별자리 어린이 미술놀이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