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중소벤처기업부]올해(1~9월) 중소기업 수출, 889억 달러로 역대 최고치 기록

btn_textview.gif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이영)는 2022년 3분기 중소기업 수출실적을 발표했다.
 
수출액 및 수출기업 분포
 
2022년 3분기(7~9월) 중소기업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0.02% 증가한 284.1억 달러로 전년동기 유사한 수준을 기록했으며, 3분기 누계(1~9월) 중소기업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5.8% 증가한 889억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달성했다.
 
* 중기(中企) 역대 3분기 수출액(억 달러) : (1위) 284.1(’22.3Q), (2위) 284.0(’21.3Q), (3위) 268.7(’17.3Q)
중기(中企) 역대 3분기 누계 수출액(억 달러) : (1위) 889(’22), (2위) 840(’21), (3위) 786(’18)
 
【 3분기 수출액(억달러) 】 【 3분기 수출액 증감률(전년동기대비, %) 】
3분기 누계 기준 수출 1천만달러 이상 수출 중소기업은 1,668개사로 전년동기대비(1,575개사) 5.9% 증가했다. 다만, 전체 수출 중소기업 수는 83,935개사로 전년동기대비(84,116개사) 소폭(△0.2%) 감소했다.
 
【 3분기 누계 수출규모별 중소기업 수(개사, %) 】
수출규모 ‘21.9월 누적 ‘22.9월 누적  
비중 증감률
100만달러 미만 71,962 71,347 85.0 △0.9
100~500만달러 8,792 9,031 10.8 2.7
500~1,000만달러 1,787 1,889 2.3 5.7
1,000만달러 이상 1,575 1,668 2.0 5.9
  1,000~5,000만달러 1,441 1,515 1.8 5.1
5,000만~1억달러 109 120 0.1 10.1
1억달러 이상 25 33 0.04 32.0
합 계 84,116 83,935 100.0 △0.2
 
중소기업 수출의 품목별·국가별 특징
 
< 주요 품목 >
 
자동차부품, 자동차, 기계요소는 전년동기대비 두 자릿 수 이상 성장했으며, 반도체제조용장비, 전자응용기기 등이 호조세를 보여 중소기업 상위 10대 수출품목 중 5개 품목 수출이 증가했다. 특히, 자동차, 반도체제조용장비, 전자응용기기는 역대 3분기 수출액 최고치를 기록했다.
 
【 3분기 중소기업 수출 10대 품목(억달러, %) 】
구 분 수출액 비중 증감률
1 플라스틱 제품 13 4.4 △7.3
2 화장품 11 4.0 △1.6
3 자동차부품 11 4.0 13.7
4 반도체제조용장비 11 3.8 9.1
5 합성수지 9 3.3 △8.2
6 자동차 9 3.2 29.3
7 반도체 8 2.9 △5.5
8 철강판 7 2.4 △16.8
9 전자응용기기 6 2.2 5.5
10 기계요소 6 2.2 13.2
상위 10대 92 32.4 1.7
전체 284 100.0 0.0

< 성장 품목 >
 
전년동기대비 증가 폭이 두드러진 품목은 자동차(+2.1억달러), 자동차부품(+1.4억달러), 알루미늄(+1.2억달러)이다. 자동차는 러시아 및 인근 국가로 중고차 수출이 증가하면서 3분기 10대 수출 품목 중 최고증가율과 최고증가분을 기록해 분기 역대 최대 수출 실적을 경신했다.
 
* 자동차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22.1Q) 5.8(12.0), (‘22.2Q) 5.5(△18.4), (’22.3Q) 9.0(29.3)
** 자동차 수출 분기 순위(억달러) : (’22.3Q) 9.0, (’12.2Q) 7.6, (’21.4Q) 7.4
 
자동차부품은 차량용 반도체 수급 개선에 따른 완성차 산업 호조세로 미국, 멕시코, 베트남 등에 수출이 증가하면서 3분기 연속 증가세를 시현했다.
 
* 자동차부품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22.1Q) 10.9(0.4), (‘22.2Q) 10.9(3.4), (’22.3Q) 11.2(13.7)
 
알루미늄은 전기차 배터리 경량화 소재로 수요가 증가하면서 중국, 미국, 베트남 등으로 수출이 증가해 11분기 연속으로 수출이 증가했다.
 
* 알루미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22.1Q) 4.9(57.6), (‘22.2Q) 5.1(32.3), (’22.3Q) 4.9(32.6)
 
< 수출 국가 >
 
상위 10대 수출국가 중 중국·베트남·홍콩을 제외한 상위 7개국 수출액이 모두 증가했으며, 미국·인도네시아·멕시코가 3분기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
 
【 3분기 수출액 상위 10대 국가(억달러, %) 】
구분 중국 미국 일본 베트남 대만 인도 러시아 홍콩 인니 멕시코
수출액 54.3 41.4 27.2 26.2 8.1 8.0 7.9 7.3 7.2 6.9
수출증감 -5.3 3.5 0.6 -1.3 0.1 0.3 1.2 -1.8 0.3 0.4
수출증감률 △8.9 9.2 2.3 △4.8 1.0 4.1 17.7 △19.7 4.6 6.6
 
미국(9.2%)은 제조업 육성 정책의 영향으로 자동차부품, 반도체제조용장비 수출이 크게 증가했고, 북미지역 자동차 생산거점인 멕시코(6.6%)는 자동차부품, 산업용 전기기기 등 수출이 큰 폭으로 성장했다.
 
* 역대 미국 3분기 수출액(억달러) : (1위) 41.4(‘22.3Q) (2위) 37.9(‘21.3Q) (3위) 33.4(‘20.3Q)
** 역대 멕시코 3분기 수출액(억달러) : (1위) 6.9(‘22.3Q) (2위) 6.4(‘21.3Q) (3위) 5.8(‘15.3Q)
 
중국(△8.9%)·홍콩(△19.7%)은 코로나19 봉쇄 여파에 따른 경기 회복 지연, 공급망 자급화 정책 등으로 인해 주요품목 수출이 전반적으로 감소해 전체 수출이 전년동기대비 감소했다.
< 온라인 수출 >
 
2022년 3분기 온라인 수출액은 1.9억달러(+10.7%)로, 미국과 중국 중심으로 수출이 크게 증가하면서 중소기업 수출 중 차지하는 비중이 전년동기 0.6%에서 0.7%로 소폭 상승했다.
 
특히, 3분기 온라인 총 수출액 2.4억달러 중 중소기업 비중이 79.1%에 달해 온라인 수출 분야에서 중소기업이 강세를 보였다.
 
품목으로는 음향기기(음반 등, +73.3%), 컴퓨터(포토프린터 등, +103.5%) 등이 강세를 보였다. 특히 키르기스스탄의 경우, 화장품 수출이 크게 증가하면서 수출액 증가율이 252.9%로 두드러졌다.
 
3분기 누계 기준 온라인 수출 중소기업 수는 3,217개(+23.2%)로 작년 온라인 수출 기업 수(3,141개)를 상회하며 성장세를 이어갔다.
 
【 온라인 수출 상위 5대 품목(백만 달러, %) 】 【 온라인 수출 상위 5대 국가(백만 달러, %) 】
구분 ‘21.3Q ‘22.3Q 증감률
화장품 67.1 61.0 -9.1
음향기기 17.4 30.1 73.3
의류 22.9 20.6 -10.0
컴퓨터 7.9 16.2 103.5
서적 1.4 8.1 489.6
주요품목 소계 116.7 136.0 16.5
온라인수출액 172.8 191.2 10.7
구분 ‘21.3Q ‘22.3Q 증감률
미국 52.5 57.1 8.8
일본 60.5 47.5 -21.5
중국 30.5 42.5 39.5
싱가포르 4.9 5.1 4.1
키르기스스탄 1.2 4.4 252.9
주요국가 소계 149.7 156.7 4.7
온라인수출액 172.8 191.2 10.7
 
 
[별첨] 2022년 3분기 중소기업 수출동향 상세분석
 
ㅇ 본 동향자료는 관세청 통관자료를 기초로 2022년 3분기 중소기업 수출실적 분석
 
ㅇ 수출기업수는 수출자(화주) 기준 사업체수를 기준으로 작성했으며, 기업규모 구분(대?중견?중소)은 발표당시 가장 최근 기업규모별 변동현황을 반영하여 작성
 
* (대기업) ’22.8월 공정위 대규모 기업집단 반영, (중견기업) ‘21년 결산 기준(산업부)
 
ㅇ 연간 통계확정시(’23.2월)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될 수 있음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알파 베이직 젯소 500ml
칠성상회
3M 전자계산기 SJC-830P
바이플러스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