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산업통상자원부]2023년 6월 수출입 동향

btn_textview.gif

20236월 수출입 동향

- 수출 542억 달러(6.0%), 수입 531억 달러(11.7%), 무역수지 11억 달러 흑자

- 무역수지 16개월 만에 흑자전환, 수출도 올해 들어 최저 감소율 기록하며 개선


 

총괄’23.6월 수출은 전년비 6.0% 감소한 542.4억 달러, 수입은 11.7%
감소한 531.1억 달러, 무역수지는 11.3억 달러 흑자를 기록하였다.

 

수출6월 수출은 반도체 업황 회복지연, 작년 6월 수출이 역대 6기준
최고 실적(577억 달러)을 기록한 데 따른 기저효과 등으로 감소하였다. 다만, 수출 감소율은 올해 들어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하였다.

 

* 수출감소율(%) : (‘23.1)16.4 (2)7.7 (3)13.8 (4)14.4 (5)15.2 (6)6.0

 

품목별 수출자동차(+58.3%), 일반기계(+8.1%), 선박(+98.6%), 이차전지
(+16.3%) 7개 품목의 수출은 증가하였으며, 자동차 수출은 지난 3월 이후 60억 달러 이상의 수출 호조세를 보이며 역대 반기 기준 최고 수출실적*기록하였다. 반도체(28.0%)와 석유제품(40.9%)·油化(22.0%) 6월 수출은 전년비 단가하락 영향으로 감소하였다. 다만, 우리 최대 수출품목인 반도체는 올해 들어 최고 수출액(89.0억 달러)을 기록하였다.

 

* 상반기 수출액(억 달러) : (1)356.6(‘23.)(2)252.3(‘14.)(3)248.1(‘12.)

 

지역별 수출6EU·중동·중남미 수출은 자동차·일반기계 수출 증가에 힘입어 플러스 전환되었다. ’23.6對美 수출(96억 달러)100억 달러에 가까운 수출에도 불구, ’22.6(98억 달러, 역대 61)의 수출호조에 따른 기저효과 영향으로 보합세를 보였다. 중국·아세안의 경우 주요 수출품목인 반도체 가격하락과 중국·베트남(아세안 내 최대 무역국)세계 수입 감소 영향으로 6월에도 감소하였다. 다만, 6對中 수출은 2개월 연속 100달러대를 기록했으며, 수출감소율(521.1% 619.0%)도 다소 개선되었다.

 

* 세계 수입증감률(‘23.45, %, WTO) : (중국)7.94.5, (베트남)23.120.6

* 對中 수출액(억 달러) : (‘23.1)92 (2)99 (3)105 (4)95 (5)106 (6)105

수입한편, ’23.6월 수입은 원유(28.6%), 가스(0.3%), 석탄(45.5%)
에너지(27.3%) 수입이 감소함에 따라 11.7% 감소하였다. 에너지 외 반도체, 철강 수입 등도 감소세를 이어갔다.

 

무역수지무역수지는 올해 들어
개선세를 이어나가고 있으며, 6월에는
11억 달러 규모의 흑자를 기록하며 그간의 무역적자 흐름에 마침표를 찍었다. 이는 ’22.2월 이후 16개월 만의 흑자 기록이다.

 

‘22.1월 이후 월별 수지(달러)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9b8001a.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03pixel, 세로 268pixel


 

평가’23.6월 무역흑자 전환은 대통령 이하 관계부처, 수출 기업 모두의
노력에 힘입은 결과이다. 그간 정부는 대한민국 영업사원 1호인 대통령께서 직접 주재한 수출전략회의(5)와 정상외교를 통해 우리 기업의 수출과 수주 확대를 범정부적으로 지원하였다. 또한, 산업부 장관 주재 범부처 수출상황점검회의(3)를 통해 부처별 수출실적·지원 상황을 점검하고, 첨단·주력산업의 수출경쟁력 강화대책을 지속 수립·이행해왔다.

 

정책방향정부는 이번 무역흑자 흐름을 이어나가며 하반기에 수출 플러스 전환을 달성할 수 있도록 수출확대 노력과 함께 에너지 절약확산 및 효율개선 추진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수출확대를 위해서는 30대 수출유망품목을 중심으로 현장애로 해소 및 수출마케팅 지원을 대폭 늘려나가는 한편, 수출기업 10만개달성을 위해 수출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중견기업 대상 맞춤형 수출기업화 지원을 추진해 나가고자 한다. 또한, 산업대전환 전략의 수립·이행 및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 등 전방위 투자지원 등 본격적인 추진을 통해 우리 산업의 본원적 경쟁력도 제고해 나갈 계획이다. 에너지 절약과 효율개선을 위해서는 민간과 긴밀히 소통하며 범국민적인 에너지 절약 붐을 확산시키는 한편, 에너지캐시백 인센티브 확대, 취약계층 고효율 설비교체 지원 등 에너지 효율개선 프로젝트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자료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7.2()
무역흑자의 의미·원인과 그간 정책노력 등을 상세히 담은 보도참고자료를 추가배포할 예정입니다.

 

ㅇ 본 자료는 관세청 통관자료와 무역통계(무역협회)를 기초로 20236월 수출입
실적을 분석한 것으로, 6.30일까지의 통관기준 잠정치를 기준으로 작성

 

ㅇ 전체 수출입 실적과 주요 품목별 수출 실적(MTI 기준) 연간 통계 확정 시
(2024.6)까지 정정 가능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3M 8997 폴리이미드 캡톤테이프 20mm x 32.9M
바이플러스
가정용 코팅기 KOLAMI-324 4롤러 A3 무소음 무기포
칠성상회
물고기 애벌레 원목 낚시놀이 장난감
칠성상회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