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생소한 코로나19 용어, 쉬운 우리말로 바꿔볼까?

인류는 이제 코로나19 이전 시대와 이후로 나눠질 것이란 예측이 있다. 그만큼 코로나19가 사람들의 일상 생활은 물론 세계 무역, 소비 패턴, 인력 채용 등 다방면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코로나 발 파급력이 워낙 커 코로나19 관련 뉴스가 절대다수를 차지하는데, 가끔 생소한 단어들 때문에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현재는 언택트, 비말, 팬데믹, n차 감염, 코호트 격리 등 기존에 잘 쓰지 않았던 단어들이 일상 속에서 사용되고 있다. 코로나 블루, 상상 코로나, 확찐자 등 다양한 신조어도 생겨났다. 이런 코로나 관련 용어들에 대해 시민들이 얼마만큼 이해하고 제대로 사용하고 있는지 궁금해진다. 일반 시민들이 알아듣기 어려운 외래어는 가급적 한글로 순화하고 용어를 표준화해 이해력을 높이면 좋을 것 같아, 코로나19와 관련해 용어를 정리해 봤다.

국립국어원 온라인 소식지 홈페이지에 감염병 관련 우리말이 적혀 있다.

국립국어원 온라인 소식지 홈페이지에 감염병 관련 우리말이 안내돼 있다. ©국립국어원 홈페이지

​​생소한 영어 표현을 이해 쉬운 우리말로

‘언택트 시대’, ‘언택트 교육’, ‘언택트 마케팅’, ‘언택트 소비’, ‘언택트 채용’ 등 언젠가부터 언택트라는 용어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언택트의 사전적 의미는 ​​’콘택트(contact: 접촉하다)’에 부정의 의미인 ‘언(un)을 합성한 단어다. 즉 사람 간​​​​ 접촉 없이 행해지는 것들을 의미한다. 기성세대에게는 충분히 생소하게 느낄 수 있다. ​영어인 언택트를 대신할 수 있는 우리말로 국립국어원은 ‘비대면’을 추천했다. 비대면이란 서로 얼굴을 마주 보고 대하지 않음이라는 뜻으로 이해가 훨씬 쉽다.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우리말 다듬기’를 클릭하면 알기 쉬운 코로나 용어를 확인할 수 있다. ©국립국어원 홈페이지

​​코로나19 검사를 하는데 드라이브 스루, 워킹 스루 등도 이제는 친숙한 단어가 됐다. 하지만 그간 필자는 드라이브 스루에서 자동차를 탄 채로 커피를 구입하든지 햄버거를 샀던 기억밖에 없어서 그런지 선뜻 이해하기가 힘들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코로나19 검사와 관련 드라이버 스루 대신 ‘승차 진료(소)’ 등을 추천했으며 워킹 스루 역시 어려운 외국어 대신 ‘도보 진료(소)’ 등을 추천하는 시민단체도 있다.​

XX아파트 코호트 격리, XX요양병원 코호트 격리 등 뉴스의 단골로 사용되는 코호트 용어도 다소 어렵게 느껴진다. 코호트 격리는 ​바이러스나 세균성 감염 환자가 나온 병원을 의료진들과 함께 폐쇄해 확산 위험을 줄이는 조치를 뜻한다. 코호트(Cohort)의 사전적 의미는 사회 특정한 기간에 태어나거나 결혼을 한 사람들의 집단과 같이 통계상의 인자를 공유하는 집단이다. 친숙해지기 어려운 코호트라는 단어 대신 우리말로 ‘동일 집단 격리’를 사용할 수 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우리나라 경제…’ ​등의 기사에 나오는 팬데믹(Pandemic)은 세계보건기구가 선포하는 감염병 최고 경고 등급이다. 세계적으로 감염병이 대유행하는 상태에서 최고 경고 등급인 6단계에 해당한다. 팬데믹의 데믹은 사람 또는 지역을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의 남성형 명사(demos)에서 유래됐다고 전해진다.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은 팬데믹의 대체어로 ‘감염병 세계적 유행’을 선정했다.

국립국어원은 팬데믹 대신 세계적 유행을 추천하고 있다.

국립국어원은 팬데믹 대신 세계적 유행을 추천하고 있다. ©국립국어원 홈페이지

‘코로나19, 에어로졸 타고 떠다닐 수도…’, ‘코로나 에어로졸 전파 근거 없어…’ 등 뉴스를 보면서 필자는 에어로졸에 대해 그냥 감으로 판단했다. 이번 기회에 에어로졸의 뜻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니 ‘대기 중에 떠도는 1μm 이하의 미세한 입자’를 뜻했다. ​​크기가 비교적 큰 침방울은 방출 직후 바닥에 떨어진다. 그러나 입자가 작은 에어로졸은 공기 중에 수시간 떠있을 수 있다고 한다. 즉 코로나 환자에게서 나온 침방울이 잘게 쪼개져 에어로졸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숨을 쉴 때도 에어로졸이 방출될 수 있다. 에어로졸이라는 단어가 어려우면 ‘공기 중 미세입자’라고 표현해도 좋다.

다양한 신조어 등장

얼마 전 인터넷 뉴스에서 ‘코로나 블루 극복…’이라는 기사를 봤는데 이는 코로나19와 우울감(blue)이 합쳐진 신조어다. 코로나 블루는 감염병으로 우리가 일상에서 누리던 것들의 큰 변화가 생겨 우울증이나 무기력한 상태를 뜻한다. 한때 코로나 환자수가 한자리에 머물기도 했으나 최근에는 100~200명을 오르락내리락하면서 사람들은 본인도 언제 감염될지 모른다는 두려움을 느끼게 된다. 이런 불안감에 시달리는 감정이 신조어를 만든 것이다. 다소 이해하기 어려운 신조어일 수가 있어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은 의미의 적절성과 활용성 등을 다각도로 검토해 ’코로나 블루’의 대체어로 ‘코로나 우울’을 선정했다. ​

‘집콕’은 그나마 가장 이해하기 쉬운 단어 중 하나다. ‘집에 콕 박혀있다’는 의미로 이전에도 사용해 왔기 때문이다. 전염력이 강한 코로나19의 특성상 다른 사람들과의 거리 두리가 중요하다. 집안에서만 머무르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집콕이라는 단어의 사용도 그만큼 잦아지고 있다.

아침에 눈을 떴을 때 목이 아픈 날이 있었다. 또 갑자기 기침이 콜록콜록 날 때도 있다. 평소 같으면 별다른 신경을 쓰지 않을 일도 혹시 내가 코로나에 걸린 건 아닐까 갑자기 마음이 불안해진다. 이런 상태를 지칭하기 위해 ‘상상 코로나’라는 신조어가 생겼다.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일반적인 증상에도 코로나19 감염을 먼저 의심하는 것을 뜻한다.

‘확찐자’! 코로나19로 고통이 커지지만 그나마 한 번쯤 웃게 만들어준 신조어다. 외출을 자제하면서 활동량이 급속히 줄어  ‘살이 확 찐 자’가 됐다는 의미다. 이와 ​비슷한 말로 ‘코로나 비만’도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어원 보도자료 중 코로나로 검색을 하면 용어를 설명한 사례가 많이 검색된다.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어원 보도자료 중 코로나로 검색을 하면 용어를 설명한 사례가 많이 검색된다. ©국립국어원

​이밖에 알아두면 유용한 단어

‘비말 감염’이란 병원균 감염의 경로 중 하나이다. 5μm 이상 큰 비말 입자에 실린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을 뜻한다.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자가 기침 또는 재채기를 할 때 침 등의 작은 물방울(비말)에 바이러스가 섞여 나와 다른 사람을 감염시키는 것이다.

​’n차 감염’은 전파의 단계를 뜻한다. 감염 단계에 따라 2차 감염→3차 감염→4차 감염…’ 등으로 계속 늘어날 수 있다. 즉 n은 ‘몇 가지’, ‘여러 가지’ 같은 복수의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다. ​

​’의사환자’란 보건당국이 정한 사례 정의 요건에 따라 감염이 의심되는 환자이다. 비길 의(擬), 닮을 사(似)라는 한자를 사용하는데 일반인에게는 충분히 낯설다. 그래서 ‘의심 환자’로 용어를 바꿔서 사용 중이다.

국내에서도 코로나19가 6개월 넘게 지속되면서 초창기에 다소 어렵게 느껴졌던 단어들도 어느새 익숙해졌다. 국제사회에서도 통용되는 단어를 공용으로 사용함으로써 얻게 되는 편리함도 있을 것이다. 다만 매일 코로나19 관련 뉴스를 시청하는 부모님께 드라이버 스루, 에어로졸, n차 감염, 펜데믹 등 다소 어렵게 느껴지는 단어를 질문하니 하나도 모르고 계셨다. 아마 다수의 어르신들이 비슷할 가능성이 높다. 국민들의 알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부르기 편하고, 알기 쉬운 우리말을 사용하는 것도 함께 고민해야 할 듯하다.

☞ 국립국어원 온라인 소식지 바로가기 : https://news.korean.go.kr/index.jsp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하기
▶ ‘코로나19 서울생활정보’ 한눈에 보기
▶ 내게 맞는 ‘코로나19 경제지원정책’ 찾아보기

0 Comments

모닝글로리 초등 1-2 14칸노트 초등학교 공책 쓰기
칠성상회
무지개 잉크패드
칠성상회
신한 칼라 터치라이너 0.1 쿨그레이
칠성상회
유진 7자형걸이 대형 와이어 액자걸이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