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산업통상자원부]「시장중심의 자율적·개방적 산업R&D 혁신방안」 발표

btn_textview.gif

시장중심의 자율적·개방적 산업R&D 혁신방안발표
 

로나,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불확실성의 시대, 연구의 자율과 책임성 , 시장·성과 중심의 R&D 시스템, 개방형 혁신 강화 3대 전략 추진
 

< 주요 과제>
(R&D샌드박스) 우수 R&D기업에 규제를 일괄 면제하여 연구 자율성 대폭 부여
 

(매칭부담 경감) ·중견·중소기업간 협력 촉진을 위해 민간부담금을 유연하게 완화
 

(규모·통합형R&D) 산업밸류체인상의 전후방기업이 함께하는 통합형 R&D 추진
 

(시장·성과 중심) 기업과제는 시장과 사업화 성과 관점에서 과제 기획·관리
 

(글로벌 협력) 중소·중견기업의 GVC 진입을 위한 글로벌 수요연계 R&D 신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98() ··연 전문가와 함께 비대면 온라인 간담회를 갖고, 시장중심의 자율적·개방적 산업R&D 혁신방안을 발표하였다.
 

 

<산업R&D 혁신방안 발표를 위한 온라인 간담회 개요>
 

 

 

(일정) ‘20.9.8.(), 오후 3:00 / 영상회의
 

() 산업부 장관, 산업정책실장, 이학성 LS ELECTRIC 전력시험기술원장, 김후식 뷰웍스 대표, 김병수 로보티즈 대표, 최재영 성균관대 교수, 박상진 기계연 원장, 양호 KEIT 원장, 나경환 R&D전략기획단장, 권오경 공학한림원 회장 등 10
 

(주요내용) 산업R&D 혁신방안 발표 및 R&D 정책 논의
혁신방안 수립 배경
 

그간, 정부 R&D 규모는 지속 증가하였으나, 사업화 등의 경제적 성과를 높이기 위한 제도개선의 필요성이 지속 제기되어 왔다.
 

* 산업부 R&D 규모 : (19) 3.4조원 (20) 4.2조원 (21년 정부안) 4.9조원
 

특히, 최근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시장환경의 급격한 변화려운 기업환경은 그간의 다소 경직적인 정부 R&D 추진 방식에도 대대적 변화를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부는 코로나 1차 확산시인 지난 42조원 규모중소·중견기업의 R&D 참여 부담을 위한 대책*을 발표하였으나, 코로나로 인한 시장 환경변화에 따른 보다 근본적인 R&D 시스템 개편의 필요성도 지속 제기되었다.
 

* 수출활력제고방안(4.8) 중 정부 R&D 참여 부담경감 대책
 

이에 산업부는 정부 R&D의 경제적 성과를 높이고, 초 불확실성 시대의 산업환경을 고려하여, 관리와 규제, 기술공급자 중심R&D 시스템을 자율과 시장중심의 R&D로 개편하는 산업R&D 시스템 혁신방안을 마련하게 되었다.
 

추진전략 및 주요과제
 

신방안은 연구 자율과 책임성 강화, 시장·성과 중심의 R&D 스템, 개방형 혁신 강화3가지 전략 아래, R&D샌드박스 도입, 기업 칭부담 완화, 대규모·통합형 R&D 등 다양한 정책과제를 추진한다.
 

첫째, 연구기관의 연구 자율성과 책임성 강화를 위해
 

우수 기업 등에 R&D 규제를 일괄 면제하는 R&D 샌드박스를 도입한다.
 

그동안 우수하게 연구개발을 추진한 기업 등은 R&D 샌드박스 트랙을 적용받아 연구과정에서 연구비 집행·정산, 연구목표와 컨소시엄 변경 등에서 자율성을 대폭 확보하게 된다.
 

그동안은 기업의 시장환경 변화에도 불구하고, 연구목표 변경, 연구비 비목 변경(재료비-인건비-장비비) 등이 실질적으로 제한되어 당연구계획의 변경이 거의 불가능한 상황이었으나, 샌드박스를 해 기업이 시장환경 변화에 따른 자율적 R&D 추진이 가능해 것으로 기대된다.
 

코로나로 인해 어려운 기업 경영환경을 고려하여 민간부담비율 유연하게 완화하도록 제도를 개편한다.
 

산업연관효과 등을 고려하여 사업별·과제별로 ·중견기업 및 중소기업 민간 현금부담금을 최대 1/4 수준으로 감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중견기업과 중소기업간의 협력 R&D가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성공·실패 관점의 평가를 없애고, 정성적 평가방식을 도입한다.
 

기존 성공(혁신성과, 보통)과 실패(성실수행, 불성실수행)로 구분하는 평가방식에서, 연구성과의 질에 따른 3단계(우수, 완료, 불성실수행) 편함으로써, 이분법적이고 계량적인 평가방식을 탈피하여 정성적인 평가방식으로 전환한다.
 

둘째, 시장과 성과 중심의 산업R&D 시스템 마련을 위해
 

류체인상 전후방 기업이 협력하는 대규모·통합형 R&D를 도입한다.
 

방의 중소기업들과 전방의 대·중견기업을 포함하여 관련 산학연이 함께 참여하는 대규모 통합형 R&D를 신규과제의 20% 이상 추진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개별기업의 경쟁력을 넘어 제품군, 산업단위의 통합적 성과창출을 유도할 계획이다.
 

대규모·통합형 R&D 참여를 유인하기 위해 참여 ·중견기업의 매칭부담을 현재의 1/2 수준까지 대폭 경감하고, 총괄기관에 목표변경, 사업비 변경 등의 자율성을 부여할 계획이다.
R&D는 시장수요와 사업화 역량을 중심으로 기획·관리한다.
 

술개발 단계에 따라, 과제형태를 구분하여 공공연·대학 주관과, 업주관의 과제를 명확히 구분하고, 기업 과제는 기획시 시장의 수요를 적극 반영하고, 선정평가시에는 그동안의 R&D 사업화 실적을 평가에 적극 반영할 계획이다.
 

또한, 사업화 성과를 높이기 위해 최종 평가시 우수 연구과제에 대해서는 실증 및 사업화를 위한 추가 연구개발을 2년 이내에서 지원토록 추진할 계획이다.
 

데이터기반체계적인 연구기획관리 시스템을 도입한다.
 

연구데이터의 체계적인 수집과 효과적인 데이터 활용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기술로드맵 수립부터 과제 기획까지의 통합적인 과제기획 시스템을 마련한다.
 

서비스 창출을 위해 제조-서비스 R&D를 촉진한다.
 

제조-서비스 융합 R&D를 촉진하기 위해 서비스R&D 특례를 마련하고, 제조-서비스 R&D 기획을 적극 촉진할 계획이다.
 

민간투자 방식의 기업R&D 지원을 위해 기술혁신 전문펀드를 결성한다.
 

부 출연방식 위주의 정부 R&D와 달리, 민간 투자방식으로 기업R&D에 투자하는 기술혁신 전문펀드를 연내에 1,600억원 규모 조성하고, 이후 3년간 총 5천억원 규모로 조성하여 혁신기업에 투자한다.
 

R&D개방형 혁신을 강화하기 위해
 

GVC 진출을 위한 글로벌 수요기업 연계 R&D를 추진한다.
 

중소·중견기업의 글로벌 밸류체인 진입을 위해 해외 수요기업과 연계한 글로벌 기술개발 사업을 신설하고, 신속한 기술개발을 위해외 기술도입이나 M&A를 통해 확보한 기술을 토대로 추가개발을 지원하는 글로벌 X&D*사업도 신규로 추진한다.
 

* R&D(R:내부연구, D:내부개발) X&D(X:해외기술확보, D:추가개발) 전환
 

-아세안 R&D플랫폼인 산업혁신기구를 신설한다.
 

아세안 국가들과 기술협력을 위해 -아세안 산업혁신기구 ‘21년말까지 설립하여, 기술이전·사업화, 공동기술개발 등 아세안 국가별 발전 수준을 고려하여 맞춤형 기술협력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국제협력 R&D과제를 대폭 확대한다.
 

글로벌 기술협력 확대를 위해 현재 산업 R&D2~3% 수준인 국제협력 R&D 과제를 ‘23년까지 15%까지 확대하기로 하고, 국제협력의 장애가 되었던 사업비 정산, 지재권 규정 등의 제도를 개선한 국제협력 R&D 특례를 마련할 계획이다.
 

담회를 주재한 성윤모 장관은 지금 우리산업은 코로나와 디지털전환 등으로 전례 없는 불확실성의 시대에 있으며, 중요한 것은 이러한 변화와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기업들의 기술혁신역량이라고 강조하면서,
 

산업 R&D기업들이 위기를 헤치고 혁신역량을 강화하는데 효과적으로 지원되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화일류 제본용 인덱스 내지 무지 A4 5분류 10세트
칠성상회
묶음 포스트잇 플래그 분류용 종이 670-5PN x 6EA
바이플러스
3M 810 매직테이프 50mm x 65M
바이플러스
3M 810 매직테이프 50mm x 65M
바이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