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외교부]「전염병 대유행(팬데믹) 신속대응체계 모색」관련 한-미 보건 전문가 화상 토론회(웨비나) 개최

btn_textview.gif

□ 한국과 미국의 보건 전문가들이 참석하는 화상 토론회(웨비나)가 5.14.(금) 9:00~10:30(서울시간) 외교부와 여시재의 공동주최로 개최되어, 미래 전염병 대유행에 대비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에 한-미 양국이 기여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ㅇ 우리측에서는 장재복 공공외교대사, 전병조 여시재 대표연구위원, 홍윤철 서울대학교 공공보건의료사업단장 겸 세계보건기구(WHO) 자문위원, 지영미 한국파스퇴르연구소장 겸 세계보건기구(WHO) 긴급위원회 위원이 참석하였다.


  ㅇ 미국측에서는 글로벌개발센터(Center for Global Development) 아만다 글래스맨(Amanda Glassman) 부회장, 토마스 볼리키(Thomas Bollyky) 미 외교협회(CRF :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국제보건 프로그램 전문가(Senior Fellow)가 참가했다.

□ 장재복 공공외교 대사는 축사를 통해 코로나19과 같은 전염병 대유행 위기 대응 경험과 역량을 갖춘 한국과 미국이 협력한다면 글로벌 보건위기 대응을 위한 국제사회의 연대와 협력을 이끌어 내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하였다.


  ㅇ 아울러, 감염병 극복과 같은 글로벌 이슈에서의 한미간 협력은 양국의 우호 관계를 포괄적 동맹으로 발전시키는 데에도 일조할 것이라고 하였다.


□ 한미 양국의 보건 전문가들은 코로나19 확산과 같은 보건위기는 ‘안보’ 이슈라는 데에 공감하고 미래 보건위기 대응 능력 향상 및 극복을 위한 국제사회의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ㅇ 감염병 신속대응을 위해서는 재원 지원 이외에도 평시 의료기관간 정보 공유를 통한 감염병 조기 발견 체계 마련 및 공중보건 인프라 구축 필요성을 언급하고, 이러한 협력을 이끌어낼 수 있는 기제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교환하였다.


  ㅇ 또한, 단기간내 고품질의 백신을 대량생산·배포할 수 있는 백신공급망을 구축하기 위한 정보공유, 투명성 증진, 수출통제 완화, 국제기구·기업 등 관련 주체들의 폭넓은 참여 등 여러 실천적 방안에 대해서도 협력 방안을 모색하였다.


□ 참석자들은 대량생산 역량을 갖춘 한국의 잠재력에 주목하고, 한국이 세계 최대의 바이오산업을 갖춘 미국과 협력한다면 국제사회의 보건위기 대응 역량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는 점에 의견을 같이 하였다.  끝.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
라인플러스 화인 세필 화이트 보드마카 (12개입) 1다스 (검정색)
칠성상회
펜더 판다 예쁜 캐릭터 팬더 볼펜
칠성상회
영진 10000 비닐노트 10호 대16절 / 1권 낱권/200매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