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산업통상자원부]‘21년 9월 주요유통업체 매출동향

btn_textview.gif

‘21 9 주요 유통업체 매출 전년동월 대비 8.2% 증가
- 오프라인 유통업체 3.3% 증가, 온라인 유통업체 14.5% 증가 -
 

 

<‘219월 기준 전년동월 대비 매출 증감률(%)>
 

 

 

·오프라인 매출 증감률
오프라인 업태별 매출 증감률
 

1. 전체 매출 동향
 

(전체 매출) ‘219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오프라인(3.3%)온라인 부문(14.5%)모두 성장세를 이어가 전년동월 대비 8.2% 상승
 

(오프라인, 3.3%) 사회적 거리두기의 지속과 전반적인 온라인 구매 비중 확대의 지속, 재난지원금 사용처 제외 등의 영향으로 대형마트·SSM매출 감소하였으나, 백화점·편의점 매출 증가에 힘입어 매출 성장세유지
 

(온라인, 14.5%) 온라인 장보기 보편화 등에 따라 온라인 부문 매출 25.6%를 차지하는 식품군 등 지속적인 성장으로 매출 증가세 유지
 

<주요 유통업체의 전년동월 대비 월별 매출 증감률 (단위 : %)>
구분
‘20
‘21
9
10
11
12
1
2
3
4
5
6
7
8
9
전체
8.5
8.4
6.3
9.0
6.1
10.0
18.5
13.7
12.9
11.4
13.1
6.4
8.2
오프라인
1.0
2.1
2.4
4.4
5.8
14.3
21.7
11.2
8.8
4.8
7.0
2.5
3.3
온라인
20.0
17.1
17.0
27.2
22.6
5.5
15.2
16.5
17.6
19.6
20.2
11.1
14.5
(상품군별 매출) 모든 상품군 매출이 증가, 매출액 증가율은 해외유명브랜드(38.1%), 서비스/기타(21.7%) 패션/잡화(10.9%)
 

(오프라인) 해외유명브랜드(38.1%)·아동/스포츠(32.7%)의 판매 호조가 지속, 식품(4.6%)·가전/문화(5.5%) 등의 매출감소
 

(온라인) 추석특수에 따른 선물용 e-쿠폰 등의 판매호조에 따라 서비스/기타(44.9%), 식품(17.1%) 위주의 매출 상승 지속
 

<‘219월 전년동월 대비 상품군별 매출 증감률 (단위 : %)>
 

구분
전체
가전/문화
패션/잡화
아동/
스포츠
식품
생활/가정
서비스/
기타
해외유명
브랜드
전체
(비중,%)
8.2
(100)
6.9
(12.8)
10.9
(11.8)
13
(5.5)
1.2
(38.2)
5.1
(13)
21.7
(13.4)
38.1
(5.3)
오프라인
3.3
5.5
12.4
32.7
4.6
0.3
7
38.1
온라인
14.5
8.9
9.6
3.8
17.1
9.1
44.9
-
 

(구매건수·구매단가) 대형마트·SSM 온라인 쇼핑으로의 소비자 이동, 재난지원금 사용처 제외* 등에 따라 구매건수감소, 한편 백화점·편의점구매건수와 구매단가모두 증가
 

* 재난지원금 사용이 가능한 재래시장·중소슈퍼·편의점 등으로 소비가 이동한 것으로 추정
 

<‘219월 오프라인 부문 구매건수·단가 증감률 (단위 : %)>
 

구분
전체
대형마트
백화점
편의점
SSM
구매건수
0
16.1
13
2.8
14
구매단가
3.3
3.4
10
6.1
2.5
* 온라인은 구매건수를 집계하지 않고 있어 통계자료에 미포함
 

(업태별 매출 비중) 온라인 부문 매출 비중2.5%p 증가(43.6% 46.1%), 오프라인 부문 2.5%p 감소(56.4% 53.9%)
 

백화점(2.3%p)·편의점(0.2%p)비중증가한 반면, 대형마트(4.1%p)·SSM(0.9%p)비중감소
 

 

<’20vs. ’219월 업태별 매출구성비>
 

 

 

’209월 업태별 매출구성비
’219월 업태별 매출구성비
 

 

2. 유통업체별 매출 동향
 

오프라인 유통업체
 

대형마트(13.3%)·SSM(16.1%)매출 감소하였으나, 백화점(24.3%), 편의점(9%)매출이 상승하여 전체 3.3% 증가
 

(대형마트) 지난해 대비 추석효과의 감소*, 점포수의 감소(397386), 재난 지원금 사용처 제외 등에 따라 스포츠(5.1%), 기타(8.1%) 제외한 전 상품군의 매출하락하면서 전체 매출이 13.3% 감소
 

* ‘20년 추석 연휴 : 9.30~10.2, ’21년 추석 연휴 : 9.20~9.22
 

(백화점) 코로나 장기화에 따른 보복소비 홈코노미 트랜드 지속·골프 장비 등 스포츠 장비의 매출 성장으로 해외유명브랜드(38.1%) 아동/스포츠(36.9%), 가정용품(17.4%)의 매출이 크게 성장하면서 전체 24.3% 증가
 

(편의점) 주류·안주류 매출 증가, 1인 가구추석 비귀성 인구의 증가 등으로 음료 가공(14.1%), 생활용품(11.5%) 상품군의 매출상승하면서 전체매출이 9% 증가
 

(준대규모점포(SSM)) 점포수의 감소(1,1581,113), 재난 지원금 사용처 제외, 온라인 유통 등의 빠른 성장에 따라 전 품목의 매출이 감소하면서, 전체 16.1% 감소
 

<’219월 오프라인 업태별 전년동월 대비 매출 증감률 (단위 : %)>
구분
전체
대형마트
백화점
편의점
SSM
매출 증감률
3.3
13.3
24.3
9
16.1
 

(점포당 매출) 대형마트·SSM점포당 매출 점포수 모두 감소 반면, 편의점·백화점모두 증가
 

<’219월 전년동월 대비 점포당 매출 증감률 (단위 : %)>
구분
전체
대형마트
백화점
편의점
SSM
점포당 매출 증감률
13
10.8
18.1
2.5
12.8
점포 수 증감률
6
2.8
5.3
6.3
3.9
 

온라인 유통업체
 

아동/유아(0.6%)를 제외한 전 상품군의 매출증가하여 온라인 유통업체 매출전년동월 대비 14.5% 상승
 

추석특수로 인한 생활가전·식품 각종 선물 상품의 특가행사 등에 따른 식품(17.1%), 가전/전자(9.6%), 화장품(19.9%) 등의 매출 증가와 함께,
 

e쿠폰 관련 상품 등의 지속적인 판매 호조와 여행상품 판매 증가서비스/기타(44.9%)매출 성장 지속
 

ㅇ 반면, 아동/유아(0.6%) 상품군은 8개월 연속으로 매출감소
 

<‘219 상품군별 전년동월 대비 매출증감률·매출비중 (단위 : %)>
구분
전체
가전
전자
도서
문구
패션
의류
스포츠
화장품
아동
유아
식품
생활
가구
서비스기타
매출증감률
14.5
9.6
2.0
4.9
8.4
19.9
0.6
17.1
9.7
44.9
매출비중
100.0
22.3
2
8.8
3.9
4.6
3.6
25.6
15.9
13.4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
라인플러스 화인 세필 화이트 보드마카 (12개입) 1다스 (검정색)
칠성상회
펜더 판다 예쁜 캐릭터 팬더 볼펜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