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보건복지부]2020년 한 해 동안 새롭게 등록한 장애인 8만 3000명

btn_textview.gif

2020년 한 해 동안 새롭게 등록한 장애인 8만 3000명

- 2020년 등록장애인 통계 발표 -

≪ 주요 내용 ≫

ㅇ (등록장애인 수) 263만 3000명으로 전체 인구대비(5,183만여 명) 5.1%
ㅇ (장애유형) 15개 장애유형 중 지체장애는 비율(45.8%)은 높으나, 지속 감소하는 반면, 발달장애(지적, 자폐성)는 증가 추세(‘10년 7.0%→‘20년 9.4%)
ㅇ (장애정도) 심한 장애 98만 명(37.4%) / 심하지 않은 장애 165만 명(62.6%)
ㅇ (연령) 65세 이상 장애인 비율 지속 증가(’10년 37.1%→‘20년 49.9%)
ㅇ (성별) 여성 111만 명(42.2%) / 남성 152만 명(57.8%)
ㅇ (신규장애인) 2020년 한 해 동안 8만 3000명이 장애인 등록

□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는 2020년 등록장애인의 장애유형·장애정도·연령 등 주요 지표별 『2020년도 등록장애인 현황』을 4월 19일(월) 발표하였다.

   * 보건복지부 누리집(www.mohw.go.kr) > 정보 > 현황 > 장애인 등록현황(2020년)

□ 2020년 말 기준 등록장애인은 263만 3000명(전체 인구대비 5.1%)으로 작년 말 대비 1만 4000명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ㅇ (장애유형별) 15개 장애유형 분석 결과, 지체(45.8%) > 청각(15%) >시각(9.6%) > 뇌병변(9.5%) 순으로 비율이 높았으며, 가장 낮은 유형은 안면(0.1%) < 심장(0.2%) < 뇌전증(0.3%) 장애 순으로 나타났다.

 ㅇ (장애정도별) 심한 장애로 등록된 장애인은 98만 5000명(37.4%), 심하지 않은 장애로 등록된 장애인은 164만 8000명(62.6%)이다.
 ㅇ (연령별) 60대(60만 2000명, 22.9%), 70대(58만 5000명, 22.2%)에서 등록장애인 수가 가장 많으며, 전체 인구대비 장애인 등록 비율도 60대 이상(60대 8.9%, 70대 15.8%, 80대 이상 22%)에서 높게 나타났다.

 ㅇ (성별) 남성 등록장애인은 152만 명(57.8%)으로 여성 111만 명( 42.2%)보다 높다.

 ㅇ (지역별) 경기도 등록장애인 수가 57만 명(21.6%)으로 가장 많았으며, 세종이 1만 2000명(0.5%)으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 2020년 주요 지표별 등록장애인 현황 >

 

성별

 

연령별

 

장애유형별

 

장애정도별

 

시도별

구분

인원

비율

구분

인원

비율

구분

인원

비율

구분

인원

비율

구분

인원

비율

 

 

 

 

 

 

 

 

 

합계

 

2,633(100)

 

 

 

 

 

 

 

 

 

남성

1,521

57.8

 

0~9

32

1.2

 

지체

1,207

45.8

 

심한 장애

985

37.4

서울

394

15.0

부산

176

6.7

시각

252

9.6

10~19

59

2.2

대구

126

4.8

청각

396

15.0

인천

146

5.5

20~29

98

3.7

언어

22

0.8

광주

70

2.7

지적

217

8.2

대전

73

2.8

30~39

122

4.6

뇌병변

250

9.5

울산

51

1.9

40~49

243

9.2

자폐성

31

1.2

세종

12

0.5

정신

104

3.9

경기

570

21.6

50~59

452

17.2

강원

102

3.9

신장

98

3.7

여성

1,112

42.2

심하지 않은 장애

1,648

62.6

충북

98

3.7

60~64

314

11.9

심장

5

0.2

충남

134

5.1

호흡기

12

0.5

65~69

289

11.0

전북

132

5.0

14

0.5

전남

141

5.4

70~79

585

22.2

안면

3

0.1

경북

181

6.9

장루요루

15

0.6

경남

189

7.2

80~

440

16.7

뇌전증

7

0.3

제주

37

1.4

 

< 2020년 연령별 등록장애인 수 및 전체 인구대비 비율 >

(단위 : 명, %)

 

 

 

 

 

 

 

□ 등록장애인의 연도별 증감 추이는 다음과 같다.

 ㅇ 등록장애인 수 및 전체 인구대비 비율은 등록장애인에 대한 서비스의 확대, 등록제도에 대한 인식 개선으로 2003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였으나, 2010년부터는 전체 인구대비 5% 정도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 연도별 등록장애인 수 및 전체 인구대비 비율 >

(단위 : 명, %)

 

 

 

 

 

 

 

 

 

 


ㅇ (노년층 장애인 증가) 인구 고령화에 따라 65세 이상 노년층 장애인 수가 지속 증가(’10년 37.1%→‘20년 49.9%)하고 있어 장애 인구의 고령화가 상당한 수준으로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 노년층 장애인 중 가장 많은 장애유형은 지체(47.9%) > 청각(23.5%) > 뇌병변(10.8%) > 시각(10.1%) > 신장(3.0%) 장애 순으로 나타났다.

< 65세 이상 등록장애인 및 장애유형별 비율 >

(단위 : 명, %)

 

 

구 분

2010

2015

2019

2020

65세 이상

전체인구

5,506,352

6,775,101

8,026,915

8,496,077

65세 이상

록장애인

934,634

1,053,364

1,263,952

1,314,625

 

65세 이상

등록장애인

지체

청각

뇌병변

시각

신장

1,314,625

630,142

308,296

142,018

132,329

39,175

 

 

 


ㅇ (장애유형별 증감) 지체장애(’10년 53.1%→‘20년 45.8%)는 2010년 이후 감소 추세지만, 청각장애(‘10년 10.4%→’20년 15.0%), 발달장애(‘10년 7.0%→‘20년 9.4%), 신장장애(‘10년 2.3%→‘20년 3.7%)는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ㅇ (장애정도별 증감) 심한 장애인에 비하여 심하지 않은 장애인의 비율이 2003년 이후 지속적으로 높은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 심한 장애인 ’10년 40.1%→ ‘20년 37.4%, 심하지 않은 장애인 ‘10년 59.9%→‘20년 62.6%

  < 연도별 장애정도별 장애인 수 >

  (단위 : 천 명)

 

 

 

 

 

 

 

 

 

 

 

 

 

 

 

 

 

 

 

 

 

 

 

□ 2020년 한 해 동안 새로 등록한 장애인 현황을 살펴보면 최근의 증감 추이를 뚜렷하게 확인할 수 있다.

 ㅇ 2020년 신규 등록장애인은 총 8만 3000명으로, 그중 65세 이상 노년층 비율이 55.1%, 심하지 않은 장애인 비율은 67.8%로 연도별 증감 추세가 심화하고 있으며, 주요지표별 현황은 아래와 같다.

 ㅇ (장애유형별) 가장 많은 비중을 나타낸 장애유형은 청각(33.7%)> 지체(16.6%) > 뇌병변(15.4%) > 신장(10.1%) 장애 순으로 나타났다.
  
 ㅇ (장애정도별) 심한 장애로 등록된 장애인은 2만 6825명(32.2%), 심하지 않은 장애로 등록된 장애인은 5만 6472명(67.8%)이다.

 ㅇ (연령별) 70대(2만 1284명, 25.6%), 80대(1만 6204명, 19.5%)에서 등록장애인 수가 가장 많으며, 10대부터 30대까지의 등록장애인 수(1,876명~2,726명, 2.3~3.3%)가 가장 적다.
< 2020년 주요 지표별 신규등록 장애인 현황 >

(단위 : 명, %)

 

성별

 

연령별

 

장애유형별

 

장애정도별

구분

인원

비율

구분

인원

비율

구분

인원

비율

구분

인원

비율

 

 

 

 

 

 

 

합계

 

83,297(100)

 

 

 

 

 

 

 

남성

47,669

57.2

 

0~9

5,467

6.6

 

지체

13,801

16.6

 

심한 장애

26,825

32.2

시각

6,394

7.7

10~19

2,402

2.9

청각

28,080

33.7

20~29

1,876

2.3

언어

1,822

2.2

지적

4,649

5.6

30~39

2,726

3.3

뇌병변

12,817

15.4

40~49

5,368

6.4

자폐성

1,557

1.9

정신

2,120

2.5

여성

35,628

42.8

50~59

11,066

13.3

심하지 않은 장애

56,472

67.8

신장

8,402

10.1

60~64

8,482

10.2

심장

262

0.3

호흡기

925

1.1

65~69

8,422

10.1

995

1.2

70~79

21,284

25.6

안면

19

0.0

장루요루

1,236

1.5

80~

16,204

19.5

뇌전증

218

0.3

 

 

 

 

 

 

 


□ 보건복지부 이선영 장애인정책과장은 “매년 등록장애인의 추이 분석을 통해 장애인의 특성과 장애 유형 간의 형평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장애 인정기준 개선 등 장애인 정책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 별첨 > 장애인 등록현황 (2020년 12월 기준)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
라인플러스 화인 세필 화이트 보드마카 (12개입) 1다스 (검정색)
칠성상회
펜더 판다 예쁜 캐릭터 팬더 볼펜
칠성상회
영진 10000 비닐노트 10호 대16절 / 1권 낱권/200매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