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질병관리청]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2.8., 정례브리핑)

btn_textview.gif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2.8., 정례브리핑)


□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 정은경 청장)는 2월 8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264명, 해외유입 사례는 25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 수는 81,185명(해외유입 6,544명)이라고 밝혔다.
 ○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21,222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13,742건(확진자 47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34,964건, 신규 확진자는 총 289명이다.
     * 익명검사 신규 확진자는 신상정보 확인 및 역학조사 등을 진행하여 확진자 통계에 반영
 ○ 신규 격리해제자는 353명으로 총 71,218명(87.72%)이 격리해제되어, 현재 8,493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188명, 사망자는  3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1,474명(치명률 1.82%)이다.


【국내 발생 확진자 현황(2.8일 0시 기준, ‘20.1.3일 이후 누계)】


구분
합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신규
264
111
7
20
17
7
4
0
1
79
4
0
5
0
0
5
4
0
누계
74,641
24,457
2,773
8,280
3,773
1,790
1,076
860
174
19,251
1,675
1,532
1,977
957
701
2,934
1,927
504



【해외유입 확진자 현황(2.8일 0시 기준, ‘20.1.3일 이후 누계)】


구분
합계
(추정)유입국가*
확인 단계
국적
중국
아시아
(중국 외)
유럽
아메리카
아프리카
오세
아니아
검역단계
지역사회
내국인
외국인
신규
25
1
9
6
3
6
0
9
16
12
13
누계
6,544
40
2,939
1,127
2,138
277
23
2,821
3,723
3,579
2,965
(0.6%)
(44.9%)
(17.2%)
(32.7%)
(4.2%)
(0.4%)
(43.1%)
(56.9%)
(54.7%)
(45.3%)
* 중국 : 중국 1(1), 아시아(중국 외) : 러시아 4(1), 인도네시아 1, 미얀마 3(3), 요르단 1(1), 유럽 : 영국 1, 폴란드 3, 프랑스 1(1), 크로아티아 1(1), 아메리카 : 미국 2(1), 브라질 1, 아프리카 : 남아프리카공화국 1(1), 수단 1(1), 콩고민주공화국 2(1), 탄자니아 1, 튀니지 1(1) 괄호 안은 외국인 수



【확진자 관리 현황*(‘20.1.3일 이후 누계)】
구분
격리해제
격리 중
위중증 환자**
사망자
2.7.() 0시 기준
70,865
8,560
190
1,471
2.8.() 0시 기준
71,218
8,493
188
1,474
변동
(+)353
(-)67
(-)2
(+)3
* 270시부터 280시 사이에 질병관리청으로 신고·접수된 자료 기준
** 위중증 :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으로 격리 치료 중인 환자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2월 8일(0시 기준) 국내 주요 발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 1페이지 0시 기준 통계, 지자체 자체 발표 자료와 집계시점 등의 차이로 일부 상이할 수 있으며, 향후 역학조사에 따라 분류 결과 변동 가능
  
 ○ 2월 8일 0시 기준 국내발생 신규 확진자는 264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351.7명), 수도권에서 207명(78.4%) 비수도권에서는 57명(24.6%)이 발생하였다.
         (주간 : 2.2일~2.8일, 단위 : 명)


구분
전국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경북권
경남권
강원권
제주권
(서울, 인천, 경기)
(대전, 세종, 충남, 충북)
(광주, 전남, 전북)
(대구, 경북)
(부산, 울산, 경남)
(강원)
(제주)
2.8(0시 기준)
264
207
10
7
25
11
4
-
주간 일 평균
351.7
264.0
22.1
16.1
18.6
24.0
5.0
1.9
주간 총 확진자 수
2,462
1,848
155
113
130
168
35
13


 ○ 수도권


(주간 : 2.2~2.8, 단위 : )
구분
2.2.
2.3.
2.4.
2.5.
2.6.
2.7.
2.8.
주간 일 평균
주간 누계
수도권
199
309
337
257
274
265
207
264.0
1,848
서울
121
184
166
122
142
141
111
141.0
987
인천
8
18
43
25
24
15
17
21.4
150
경기
70
107
128
110
108
109
79
101.6
711


  - (서울 중구 복지시설 관련) 2월 6일 이후 접촉자 추적관리 중 9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92명*이다.
    * (구분) 종사자 2명(지표포함), 이용자 등 88명(+9), 지인 2명
  - (서울 성동구 대학병원 관련) 2월 6일 이후 접촉자 추적관리 중 3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83명*이다.
    * (구분) 환자 31명(+1), 종사자 9명, 간병인 18명(+1), 가족/보호자 25명(지표포함, +1)
  - (경기 안산시 인테리어업 관련) 접촉자 추적관리 중 5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35명*이다.
    * (구분) 종사자 21명(지표포함, +4), 가족 12명(+1), 기타 2명
  - (경기 안산시 병원2 관련) 접촉자 추적관리 중 7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40명이다.


구분

환자 구분
병원 관련
35(+2)
종사자 3(지표포함), 환자 21(+1), 가족/보호자 4(+1), 기타 7
안산시 교회 관련
5(+5)
교인 5(+5)



    * (추정감염경로) 병원 → 교회
  - (수도권 도매업 관련) 접촉자 추적관리 중 8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42명이다.


구분

환자 구분
도매업 관련
13
종사자 8(지표포함) 가족 및 지인 5
강원도 횡성 병원 관련
8(+2)
환자 2, 종사자 2(+1), 지인 및 가족 4(+1)
안양시 사우나 관련
21(+6)
사우나 이용자 20(+5), 기타 1(+1)


    * (추정감염경로) 도매업 → 의료기관·사우나
 ○ 충청권


(주간 : 2.2~2.8, 단위 : )
구분
2.2.
2.3.
2.4.
2.5.
2.6.
2.7.
2.8.
주간 일 평균
주간 누계
충청권
23
51
19
13
23
16
10
22.1
155
대전
-
7
2
-
8
6
4
3.9
27
세종
-
1
-
-
-
1
1
0.4
3
충북
18
8
4
2
2
1
-
5.0
35
충남
5
35
13
11
13
8
5
12.9
90


  - (대전 중구 주민센터 관련) 접촉자 추적관리 중 5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6명*이다.
    * (구분) 종사자 4명(지표포함), 가족 7명(+3), 지인 2명(+2), 기타 3명
  - (충남 당진시 유통업체 관련) 2월 6일 이후 접촉자 추적관리 중 2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46명*이다.
    * (구분) 종사자 34명(지표포함), 가족 12명(+2)
  - (충남 청양군 마을이장 관련) 접촉자 추적관리 중 3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1명*이다.
    * (구분) 지표가족 4명(지표포함), 지인 3명, 동료 3명(+2), 가족 1명(+1)
 ○ 호남권


(주간 : 2.2~2.8, 단위 : )
구분
2.2.
2.3.
2.4.
2.5.
2.6.
2.7.
2.8.
주간 일 평균
주간 누계
호남권
27
22
15
14
14
14
7
16.1
113
광주
23
6
12
14
12
10
7
12.0
84
전북
2
10
1
-
1
-
-
2.0
14
전남
2
6
2
-
1
4
-
2.1
15

  - (광주 북구 교회2/IM 선교회 미인가 대안 교육시설 관련) 접촉자 추적관리 중 1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218명이다.


구분

환자 구분
북구 교회2
11
교인 6(지표포함), 기타 5
북구 에이스 TCS*
21(+1)
IM 선교회 에이스 TCS 15, 기타 6(+1)
어린이집 관련
20
원아 3, 교직원 7, 기타 10
광산구 광주 TCS*
133
학생 81, 교직원 24, 교인 7, 기타 21
캠프 관련
33
방문자 11, 추가전파 22
**(지역) 서울 4, 경기 19, 울산 3, 경남 7



   * TCS(Two Commandment School) : 미국 초중고 입시과정(기숙형) 
  ** 경기 안성 TCS 관련 사례 중 역학조사 과정에서 캠프 참석자에 의한 전파 확인되어 재분류
  - (광주 서구 교회 관련) 2월 6일 이후 접촉자 추적관리 중 5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35명이다.


구분

환자 구분
교회 1 관련
88(+5)
교인 47(지표포함, +5), 가족 20, 기타 21
교회 2 관련
18
교인 15, 가족 1, 기타 2
어린이집 관련
11
원아 3, 교직원 2, 가족 4, 기타 2
고등학교 관련
7
학생 7
청소업체 관련
11
종사자 6, 가족 5



 ○ 경북권


(주간 : 2.2~2.8, 단위 : )
구분
2.2.
2.3.
2.4.
2.5.
2.6.
2.7.
2.8.
주간 일 평균
주간 누계
경북권
20
19
13
20
21
12
25
18.6
130
대구
10
9
7
14
17
11
20
12.6
88
경북
10
10
6
6
4
1
5
6.0
42



  - (대구 북구 음식점 관련) 2월 3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9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0명*이다.
    * (구분) 종사자 7명(지표포함), 가족 3명
  - (대구 달서구 음식점 관련) 2월 1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7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8명*이다.
    * (구분) 종사자 2명(지표포함), 가족 2명, 지인 1명, 기타 3명
  - (대구 북구 일가족 관련) 접촉자 조사 중 2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0명*이다.
    * (구분) 가족 4명(지표포함), 지인 1명, 직장 관련 5명(+2)
 ○ 경남권


(주간 : 2.2~2.8, 단위 : )
구분
2.2.
2.3.
2.4.
2.5.
2.6.
2.7.
2.8.
주간 일 평균
주간 누계
경남권
19
26
35
39
26
12
11
24.0
168
부산
10
18
26
33
14
8
7
16.6
116
울산
-
-
2
-
2
-
-
0.6
4
경남
9
8
7
6
10
4
4
6.9
48



  - (부산 기장군 요양병원 관련) 1월 30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추적관리 중 7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8명*이다.
    * (구분) 종사자 2명(지표포함), 환자 6명
  - (부산 해운대구 요양시설 관련) 접촉자 추적관리 중 3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8명*이다.
    * (구분) 종사자 2명(지표포함), 환자 3명, 병원관련 3명(+3)
    * (추정감염경로) 요양시설 입소자 → 병원 입원
□ 지난 1주간(’21.1.31일~2.6일) 방역 관리 상황은 다음과 같다.

【 1주 간격 위험도 평가 지표 】


구 분
12
(1.10.~1.16.)
13
(1.17.~1.23.)
14
(1.24.~1.30.)
21
(1.31.~2.6.)
일일 평균
확진환자 수()
국내발생
516.1
384.0
424.0
354.6
해외유입
29.9
26.9
27.3
27.7
전 체
546.0
410.9
451.3
382.3
감염경로 조사 중 분율(%)()
21.5(821/3,822)
22.2(638/2,876)
19.2(607/3,159)
23.0(616/2,676)
방역망 내 관리 분율(%)1)
45.3
44.7
38.7
42.5
감염재생산지수(Rt)
0.79
0.82
0.95
0.96
신규 집단발생 건수()
49 (3*)
39 (4*)
33 (22*)
15**
주별 평균 위중증 환자 규모()
382
324
260
215
주간 사망 환자 수()
136
101
77
50
즉시 가용 중환자실()(’21.2.6. 09시 기준)
261
410
476
723




 1) 방역망 내 관리 분율 : 신규 확진자 중 자가격리 상태에서 확진된 사람의 비율
 2) 개별 사례 간 연관성이 확인되어 집단발생으로 재분류
 3) 역학조사 진행 중으로 이후 증가할 수 있음
 ※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결과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 국내 발생 확진자는 최근 1주간 1일 평균 354.6명으로 직전 1주(’21.1.24일~’21.1.30일, 424.0명)보다 69.4명(-16.4%) 감소하였다.
   - 해외유입 확진자도 최근 1주간 1일 평균 27.7명으로 4주간 평균 30명 이하로 발생하고 있다.
 ○ 권역별로는, 수도권은 200명대를 지속하여 거리두기 2단계 기준 초과하고 있고, 대다수의 비수도권은 감소세로 전환되었다.

【 권역별 단계조정 기준 및 국내발생 현황(’21.1.10.~2.6.) 】


구분
전국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경북권
경남권
강원
제주
기준
3단계
전국 800~1,000명 이상 또는 더블링 등 급격한 환자 증가
2.5단계
전국 400~500명 이상 또는 더블링 등 급격한 환자 증가
2단계
-
200명 이상
60명 이상
60명 이상
60명 이상
60명 이상
20명 이상
20명 이상
1.5단계
-
100명 이상
30명 이상
30명 이상
30명 이상
30명 이상
10명 이상
10명 이상
12
(’21.1.10.~1.16.)
516.1
340.6
26.1
27.0
31.4
74.0
14.7
2.3
13
(’21.1.17.~1.23.)
384.0
264.9
17.4
20.6
24.7
44.9
8.9
2.7
14
(’21.1.24.~1.30.)
424.0
243.6
40.6
49.7
30.7
46.0
12.9
0.6
21
(’21.1.31.~2.6.)
354.6
257.6
20.6
20.6
18.7
29.7
5.7
1.7


 ○ 감염경로*는 △선행 확진자 접촉 36.0%(963명), △집단발생 25.4%(681명), △병원·요양시설 8.3%(222명), △해외유입 7.2%(194명), △조사중 23.0%(616명) 순으로 선행 확진자 접촉이 증가(26.9%→36.0%)하였다.
    * 최근 1주간 감염경로별 확진자 발생 현황(’21.1.31. 0시∼2.6. 0시까지 신고된 2,676명 기준)
【 4주간 확진자의 감염경로 현황(’21.2.6일 기준) 】


구 분
12
(1.10.~1.16.)
13
(1.17.~1.23.)
14
(1.24.~1.30.)
21
(1.31.~2.6.)
전체
3,822
(100%)
2,876
(100%)
3,159
(100%)
2,676
(100%)
확진자 접촉
1,410
(36.9%)
1,080
(37.6%)
850
(26.9%)
963
(36.0%)
지역 집단발생
987
(25.8%)
683
(23.7%)
1,221
(38.7%)
681
(25.4%)
병원 및 요양시설 등
365
(9.5%)
277
(9.6%)
287
(9.1%)
222
(8.3%)
해외유입
209
(5.5%)
188
(6.5%)
191
(6.0%)
194
(7.2%)
해외유입 관련
30
(0.8%)
10
(0.3%)
3
(0.1%)
0
(0.0%)
조사중(미분류)
821
(21.5%)
638
(22.2%)
607
(19.2%)
616
(23.0%)


 ○ 신규 집단발생은 총 15건으로 △사업장(5건*, 33%), △가족·지인모임(4건, 27%), △병원·요양시설(2건, 13%), △종교시설(2건, 13%), △다중이용시설(2건, 13%) 이었다.
    * 인테리어업 관련, 유통업체, 축산물업체, 무역회사 등
 ○ 위중증 환자·사망자 수는 지속 감소하고 있으나, 치명률은 전주와 동일(1.82%)하고, 80대 이상 치명률은 20% 이상으로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 60대 이상 격리 중 확진자 및 위중증 확진자 현황(’21.2.6일 기준) 】


구 분
60
70
80대 이상
전체
격리중 확진자
1,416(17.2%)
717(8.4%)
558(6.5%)
8,555
위중증 확진자
52(26.4%)
83(42.1%)
43(21.8%)
197
치명률
1.34%
6.45%
20.63%
1.82%




 ○ 사망자는 총 50명*으로, 80대 이상이 35명(70.0%)으로 가장 많았고, 60세 이상이 90%(45명)를 차지하였다.
    * 80대 이상 35명(70.0%), 70대 6명(12.0%), 60대 4명(8.0%), 50대 3명(6.0%)
   - 사망자의 추정 감염경로는 △시설 및 병원 25명(50.0%), △확진자 접촉 6명(12.0%), △지역 집단발생 6명(12.0%), △조사중 13명(26.0%)이며,
   -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49명(98.0%), 그 외 1명(80대 이상)은 조사 중이다.
□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가 추가로 확인된 상황은 다음과 같다.
 
 ○ 2월 3일 이후 총 77건(국내 65건, 해외유입 12건)을 분석한 결과, 국내 65건은 변이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으나,
  
   - 해외유입 12건 중 3건*(내국인)에서 변이바이러스가 확인되었으며,모두 검역단계에서 코로나19로 확진되었다.
    * (영국 변이) 3건 확인(내국인 3) : △헝가리 發 1인, △폴란드 發 1인, △가나 發 1인
 
   - 확진자에 대한 접촉자 조사 결과, 현재까지 변이주 감염이 확인된 사례는 없었으며, 동일 항공기 근접 좌석* 탑승객 조사 중 2명이 코로나19로 확진되어 변이주 검사를 진행 중이다.
     * 확진자 좌석 기준 해당 열(row)과 앞·뒤 2열 전체 탑승객(총 5열)
 ○ 이에 따라, 10월 이후 현재까지 확인된 변이 바이러스는 총 54건*(영국 변이 40건, 남아공 변이 9건, 브라질 변이 5건 / ’21.2.8일 0시 기준)이다.
    * 총 2,737건 분석 완료(국내발생 1,975건, 해외유입 762건 / ’21.2.8일 0시 기준)
 
□ 지난 주(5주차, 1.24.~1.30.) 인플루엔자 발생 동향은 유행기준 이하 수준을 계속 유지 중이다.
  
   * 의사환자(ILI) 분율이 외래환자 1,000명당 1.9명(전년 동기간 28.0명)으로 유행기준(5.8명) 이하
 
 ○ 표본감시 의료기관(의원급 의료기관 52개소)의 병원체 감시 결과 바이러스는 검출되지 않았고(0건/73건)*, 국내 검사전문의료기관(5개소) 모두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다.(0건/1,801건)
   * 전년 동기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률 : 40.9%(101/247)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집단발생의 지속과 변이바이러스의 국내 확산 위험, 설 연휴 이동증가 등 감염확산 요인이 여전히 있다고 보며, 감염 확산의 위험 요인과 당부사항을 설명하였다.
 ○ 설 연휴,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으로 사람 간 접촉 증가 등에 따른 확산 위험이 있다.
   - △설 연휴 가족·지인 간 접촉, 지역 간 이동 증가 △비수도권 일부 시설(식당, 실내체육시설, 노래연습장 등) 운영시간 연장(21시→22시)으로 이용 인원·시간 증가, △의료기관, 사업장(육가공업체, 감천항 부두 등), 종교시설 등 집단 감염사례 지속 발생 등 확산 위험이 있다.
 
   - 이에 따라, 정부는 △5인이상 사적모임 금지, △연휴기간 여행·이동 자제 등 설 연휴(2.11∼2.14) 특별방역 대책 등을 추진한다.
 
    ·또한, 의료기관, 감염취약시설, 종교시설의 방역관리 강화를 지속하고, 육가공업체 등 3밀(밀폐·밀집·밀접) 환경의 사업장과 유행지역의 방역조치 강화 및 임시선별검사소 운영도 지속한다.
 
   - 국민들께 △5인 이상 사적 모임 금지, △설 연휴 귀성·여행 자제, △다중이용시설에서의 마스크 상시 착용, △주기적 환기·소독 등 방역수칙 준수를 당부하였다.
 ○ 변이바이러스의 지역사회 확산 위험도 있다.
   - △변이바이러스 발생 국가 증가*, △국내 감염 환자 증가(45→54건**) 등으로 지역사회 전파 위험도 향후 있을 수 있다고 보았다.
      * (영국 변이주) 75개국, (남아공 변이주) 31개국, (브라질 변이주) 15개국
      ** 영국 40명(+17), 남아공 9명(+3), 브라질 5명(+0)으로 총 54명(+20)
   - 정부는 모든 아프리카 입국자 PCR 음성확인서 제출 의무화(외국인→ 내·외국인) 및 입국 후 임시생활시설에서 PCR 검사(단기체류외국인→ 내국인, 장기·단기체류외국인) 등 검역을 강화(2.22~)할 뿐만 아니라, 유전자 변이 분석도 진행한다.
   - 격리면제자에 대해서도 입국 시 PCR 음성확인서 제출을 의무화하고, 입국 후 5∼7일 사이 PCR 검사하여 관리를 강화(2.15~)할 방침이다.
   - 또한, 해외입국자 자가격리 관리도 강화할 예정으로, 입국한 자가격리대상자 및 동거가족은 격리 해제 시까지 자가격리 생활수칙을 철저히 준수할 것을 거듭 당부하였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설 연휴 동안 전국적 이동 및 가족 모임 등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설 명절을 계기로 감염이 재확산되지 않도록 ‘설 연휴 생활방역수칙’을 철저히 지켜줄 것을 당부하였다.
 
 ○ 코로나19 3차 유행 지속·변이바이러스 증가 등 위험 요인이 상존하는 상황에서, 연휴기간 동안 사람 간 접촉이 증가할 경우 재유행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고 우려하면서,
  
   - △고향·친지 방문 및 여행 자제, △5인 이상 사적모임 금지 등 이동과 접촉을 최소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 우선, △거주공간이 동일한 가족 외 방문·모임은 자제하고 마음으로 함께하며,  △요양병원·시설 면회는 영상 통화 활용, △ 밀집·밀폐·밀접 접촉이 발생 할 수 있는 다중이용시설에는 가지 않는다.
  
   - 또한, △온라인 성묘·추모 서비스, △봉안시설 사전예약제 등을 활용하여 안전하게 추모한다.
 ○ 부득이하게 고향·친지 방문 시에는 △마스크 상시 착용, △머무르는 시간은 짧게, △손 씻기 등 철저히 준수, △증상이 있으면 가족·친지는 방문하지 않고 즉시 검사를 받는다.
  
   - 이동 시에는 △가급적 개인차량 이용, △기차·버스 내 취식 금지·대화 자제, △휴게소 등 이용 시간 최소화하고,
  
   - 귀가 후에는 △손 씻기 등 개인방역 철저, △발열 및 호흡기 증상 여부 관찰, △외출은 자제하도록 한다.
 ○ 정부는 △콜센터 24시간 대국민 상담·안내, △비상진료체계(병상·생활치료센터·응급실 등)를 차질없이 운영하고, △강화된 특별입국 절차를 지속 실시할 계획이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 준비상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밝혔다.
 ○ 관계부처 합동으로 백신 수송·보관 전 과정의 콜드체인 시스템을 점검하고, 국내·외에서 공급되는 백신의 안전한 유통과 보관 체계를 마련하고 있다. 
   - 질병관리청은 백신의 안전한 유통·보관을 위해 코로나19 백신 수송지원본부와 공동으로 관계부처* 합동 모의훈련(2.1~3)을 시행했으며,
     * 국방부, 질병관리청, 국토교통부, 관세청, 경찰청, 소방청, 국립중앙의료원 등 
   - 안전한 코로나19 백신 유통을 위한 콜드체인 관리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식약처와 공동으로「코로나19 백신 보관·수송 관리지침*」을 제정하여 배포(2.8)하였다.
     * 제조사부터 접종기관까지의 단계별 관리사항 및 백신별 취급 주의사항 등 포함
 ○ 또한, 내일(2.9)부터 코로나19 화이자 백신 초도물량의 원활한 접종을 위해 중앙예방접종센터(국립중앙의료원)와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이 합동 모의훈련*을 실시한다.
   - 이번 훈련을 통해 실제 예방접종 시 발생 가능한 상황을 확인·점검하고, 코로나19 예방접종 가이드라인을 보완할 계획이다.
     * 2.9(화) 모의훈련(언론 공개) 관련 보도참고자료 별도 배포 예정
 ○ 2.8(월)부터는 예방접종 참여 의료진(의사·간호사), 지자체공무원 등을 대상으로 온라인 교육을 실시한다.
   - 금번 교육은 교육대상자별* 특성에 따라 맞춤형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었고, 플랫폼별 다양한 특성에 대한 이해와 실무적 활용을 위한 것으로,
     * 접종센터·위탁의료기관·지자체·유관기관·행정보조인력
   - 코로나19 예방접종지침에 따라, 교육의무대상자는 접종시행 전까지 예방접종 교육을 반드시 이수하여야 접종시행이 가능하다.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붙임> 1.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2. 코로나19 국외 발생 현황
        3. 수도권 방역조치 요약표(’21.2.1. ∼ ’21.2.14.)
        4. 비수도권 방역조치 요약표(’21.2.1. ∼ ’21.2.14.)
        5. 설 특별방역대책 주요내용
        6. 설 연휴 방역수칙 포스터
        7. 수도권·수도권 외 목욕장업 방역지침
        8. IM 선교회 미인가 대안 교육시설 및 관련환자 현황
        9. 인플루엔자 유행 현황
       10.「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별첨> 1. 설 연휴 생활방역 수칙
        2. 가족 감염 최소화를 위한 방역수칙
        3. 가족 중 의심환자 발생시 행동요령 점검표
        4. 새로운 생활 속 거리 두기 수칙 웹포스터 2종
        5. 코로나19 일상적인 소독방법 바로 알기 카드뉴스
        6. 올바른 소독방법 카드뉴스 1, 2, 3편
        7. 코로나19 살균·소독제품 오·남용 방지를 위한 안내 및 주의사항(환경부)
        8. 코로나19 살균·소독제품 안전 사용을 위한 홍보자료 목록(환경부)
        9. 코로나19-인플루엔자 동시유행 대비 대국민 행동 수칙
       10. 마스크 착용 권고 및 의무화 관련 홍보자료
       11. 코로나19 예방 손씻기 포스터
       12. 일상 속 유형별 슬기로운 방역생활 포스터 6종
       13. 코로나19 고위험군 생활수칙(대응지침 9판 부록5)
       14. 생활 속 거리 두기 행동수칙 홍보자료(3종)
       15. 마음 가까이 두기 홍보자료
       16.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마스크 착용
       17.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환경 소독
       18.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어르신 및 고위험군
       19.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건강한 생활 습관
       20. 자가격리 대상자 및 가족·동거인 생활수칙
       21. <입국자> 코로나19 격리주의 안내[내국인용]
       22. 잘못된 마스크 착용법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알파 베이직 젯소 500ml
칠성상회
3M 전자계산기 SJC-830P
바이플러스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