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보건복지부]2018년 보건산업 분야 신규창업 1,666개, 신규고용 8,251명 최근 7년간(2012년~2018년) 보건산업…

btn_textview.gif

2018년 보건산업 분야 신규창업 1,666개, 신규고용 8,251명
최근 7년간(2012년~2018년) 보건산업 분야 8,801개 기업 창업
- 보건산업 창업기업 실태조사 결과(’20.6월~11월) 발표-
 

 

(창업) ‘18년 보건산업분야* 신규창업1,666**

 

* 의료서비스(·의원)와 도소매업을 제외한 의약품(제약), 의료기기, 화장품, 연구개발, 기타(컨설팅, 교육)

** (분야별) 의약품 50(3.0%), 의료기기 598(35.9%), 화장품 868(52.1%), 연구개발업 140(8.4%), 기타 10(0.6%)

 

최근 7년간(2012~2018) 창업한 기업은 총 8,801이고, 연도별 창업기업 수는 ’12736에서 ’181,666개로 2배 이상 크게 증가

 

* (’12) 736(’14) 1,074(’16) 1,430(’18) 1,666

 

(고용) ’18년 창업기업신규 고용창출은 8,251*이고, 최근 7년간(’12~’18) 생존 창업기업의 ‘19.12월 기준 총 고용인원은 61,678

 

* (분야별) 의약품 721(8.7%), 의료기기 2,812(34.1%), 화장품 3,230(39.1%), 연구개발업 1,432(17.4%), 기타 55(0.7%)

 

(매출) 최근 7년간(’12~’18) 창업기업’19평균 매출액은 1,219백만 *이며, 초기 어려움을 극복하고 성장기에 들어서며 매출액 증가**

 

* (분야별) 의약품 2,150백만 원, 의료기기 957백만 원, 화장품 1,420백만 원, 연구개발업 471백만 원, 기타 501백만 원

** (연차별) (1년차) 335백만 원 (3년차) 1,000백만 원 (5년차) 1,421백만 원 (7년차) 1,494백만 원

□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권순만)은 ‘보건산업 창업기업 실태조사’를 실시(‘20.6월~11월)하여 창업 및 고용 현황, 자금 조달 및 재무현황 등 결과를 발표하였다.

 ㅇ 보건산업 창업기업 실태조사는 창업기업의 성장 주기별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로, 2018년부터 매년 조사(2020년 3회차)를 진행하고 있다.

□ ‘보건산업 창업기업’의 주요 현황은 아래와 같다.


(1) 창업 현황


□ 2018년 보건산업 분야 신규창업은 총 1,666개, 화장품 분야가 868개(52.1%)로 가장 많았으며, 의료기기 598개(35.9%), 연구개발 140개(8.4%), 의약품 50개(3.0%), 기타 10개(0.6%) 등 순서로 나타났다.

 

<그림> 2018년 보건산업 분야별 신규 창업기업(단위: 개소, %)

 
 
 

□ 최근 7년간(’12년~’18년) 창업기업은 총 8,801개이고, 연도별 창업기업 수는 증가추세이며, 2012년 736개에서 2018년 1,666개로 대폭 증가하였다.

    * (’12) 736개 → (’14) 1,074개 → (’16) 1,430개 → (’18) 1,666개

 ㅇ 화장품 분야가 4,347(49.4%)개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의약품 356개(4.0%), 의료기기 3,257개(37.0%), 연구개발 771개(8.8%), 기타 70개(0.8%) 등으로 나타났다.

 

<그림> 연도별 창업기업(단위: 개소, %)

1) ( )는 전년대비 증가율임
2) 2017년 창업기업 모집단 변경(1,362개소 1,659개소): 기업데이터(기업DB), 한국산업 기술진흥협회(연구소 및 연구개발전담부서 보유 업체) 등 추가 기업정보 업데이트
3) 차년도 모집단 구축 시 2018년도 창업기업 수 기업정보 업데이트에 따른 추가 발굴 가능

 

     ※ 2018년 창업기업 증가율: 전산업 7.3%, 제조업 8.6%, 지식서비스업 7.7%(중소벤처기업부, 2018년 창업기업실태조사 결과발표 보도자료 ’21.5월 )


(2) 휴폐업 현황


□ 보건산업 분야 창업기업의 휴폐업은 2012년~2017년* 동안 총 1,022개로 조사되었다.

   * 2018년 신규 창업기업은 생존기업을 대상으로 모집단 구축

 ㅇ 보건산업 창업기업의 전체 휴폐업률은 11.6%로 창업연차*가 오래될수록 휴폐업률은 높게 나타났다.

   * 2017년 창업(창업 2년차) 9.3% ⇒ 2012년 창업(창업 7년차) 17.7%

 ㅇ 휴폐업률은 의약품이 15.4%(55개)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연구개발 14.0%(108개), 화장품 13.0%(563개), 의료기기 9.1%(295개) 순으로 나타났다.

   * 2017년 창업기업 휴폐업률 : 연구개발 12.6%, 화장품 11.9%, 의료기기 5.9%, 의약품 4.5% 순

 

<그림> 연도별 보건산업 휴폐업률(단위: %)

 
 
 
 
 
 
 
 
 
 
 


(3) 인력 현황


□ 2018년 창업 기업의 신규 고용창출은 총 8,251명으로, 화장품 분야가 3,230명(39.1%), 의료기기 2,812명(34.1%), 연구개발업 1,432명(17.4%), 의약품 721명(8.7%), 기타 55명(0.7%) 등 순서로 나타났다.

 ㅇ 신규인력 중 연구개발인력은 총 2,852명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다음으로 사무직 2,719명, 생산직 1,649명, 영업직 712명, 기타 319명 순으로 나타났다.

 

<그림> 보건산업 분야별 신규 고용현황(단위: )

 

□ 최근 7년간(‘12~’18년) 휴·폐업 제외 생존 창업기업의 2019년 12월 기준 총 고용인원은 6만 1,678명이고, 연구개발 인력은 1만 8,807명으로 전체 종사자 중 30.5%를 차지하였다.
 ㅇ 기업 당 평균 종사자 수는  8.1명이고, 연구개발업 14.4명, 의약품 12.4명, 의료기기 7.9명, 화장품 7.1명, 기타 6.1명 등 순서로 나타났다.

     ※ 2018년 창업기업 당 평균 종사자 수: 1.62명(중소벤처기업부, 한눈에 보는 창업동향 ’21.5월 )

□ 향후 필요 전문인력은 연구개발이 56.9%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유통 및 마케팅 44.0%, 영업 32.3%, 생산 및 품질관리 30.5%, 인허가 21.9% 등 순으로 나타났다.(복수응답)


(4) 창업자금 조달


□ 최근 7년간(’12년~’18년) 창업기업의 평균 창업자금은 264백만 원, 창업 이후 자금 조달액은 712백만 원으로 조사되었다.

 ㅇ 의약품이 493백만 원으로 창업자금이 가장 많이 들었으며, 연구개발 348백만 원, 화장품 261백만 원, 의료기기 239백만 원 순으로 나타났다.

 

<그림> 보건산업 분야별 창업자금 조달금액(단위: 백만 원)

ㅇ 창업자금은 자기(본인)자금(69.0%), 민간금융(12.8%), 정부정책자금(9.3%), 개인 간 차용(8.3%) 순으로 나왔으며, 창업이후에는 민간금용(35.7%), 자기(본인)자금(31.1%), 정부정책자금(27.2%), 개인 간 차용(5.2%) 순으로 나타났다.


(5) 매출액 현황


□ 기업의 연차별 평균 매출액은 창업 1년차 335백만 원에서 7년차 1,494백만 원으로 증가하며, 창업 후 초기 어려움을 극복하고 성장기에 들어서며 기업의 매출액이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창업1년차) 335백만 원 → (창업3년차) 997백만 원 → (창업5년차) 1,421백만 원 → (창업7년차) 1,494백만 원

 

<그림> 창업 연차별 매출액 현황(단위: 백만 원)

 ㅇ 최근 7년간(’12년~’18년) 창업기업의 ‘19년도 평균 매출액은 1,219백만 원이고, 분야별 평균 매출액은 의약품이 2,150백만 원으로 가장 높았고, 화장품 1,420백만 원, 의료기기 957백만 원 등 순서로 나타났다.
 

 

<그림> 보건산업 분야별 매출액 현황(단위: 백만 원)

 


(6) 연구개발 활동


□ 2019.12월 기준, 연구개발 인력 보유 기업의 연구개발비 지출금액은 390백만 원(평균), 매출액 대비 비중은 32.0%이다.

 ㅇ 전체 보건산업 기업 중 65.9%의 창업기업이 연구개발 조직(연구소 34.4%, 전담부서 17.3%)·인력(14.2%)을 보유하고 있으며, 연구개발비는 자체부담 226백만 원과 정부재원 126백만 원으로 자체부담하는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그림> 재원별 연구개발비 현황(단위: 백만 원)

 


(7) 정부 창업지원 사업


□ 창업기업의 43.8%가 창업지원 사업 수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정책자금(68.6%), 연구개발(R&D) 지원(45.2%), 사업화 지원(38.6%) 등을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창업지원사업 수혜 경험(단위: %)

 
 ㅇ (필요 지원정책) 창업단계별 필요한 창업지원책으로는 대부분 자금과 관련된 것으로 응답하였다. 필요 지원정책은 창업단계별로 달랐는데 창업기 기업은 교육, R&D지원을, 성장기․성숙기 기업은 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이 되는 정책자금 또는 판로·마케팅·해외전시를, 쇠퇴기에 해당하는 창업기업은 기업이 다시 도약할 수 있도록 멘토링·컨설팅 또는 정책자금이 필요하다고 답변하였다.

 

<그림> 창업 활성화를 위한 창업단계별 필요 지원정책

 

 ㅇ (필요 지원정책) 창업단계별 필요한 창업지원책으로는 대부분 자금과 관련된 것으로 응답하였다. 필요 지원정책은 창업단계별로 달랐는데 창업기 기업은 교육, R&D지원을, 성장기․성숙기 기업은 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이 되는 정책자금 또는 판로·마케팅·해외전시를, 쇠퇴기□ 보건복지부 이강호 보건산업국장은 “2018년도 보건산업 분야 신규 창업은 1,666개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신규 고용도 8,251명이 창출되는 등  실질적인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면서

 ㅇ “보건산업 분야는 미래 성장 가능성이 높고, 시장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유망한 분야로 우리나라 미래 먹거리를 주도해나갈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ㅇ 아울러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보건산업혁신창업센터는 아이디어부터 R&D, 인허가, 창업, 판로개척, 컨설팅에 이르는 사업화 전주기적인 지원을 하고 있으므로 창업기업은 이를 십분 활용하기를 바란다. ”라고 강조하면서

 ㅇ 끝으로 “정부는 앞으로 보건산업 분야에서 신규창업을 활성화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도록 더욱 적극적인 지원정책을 펼치겠다.”라고 하였다.

< 붙 임 1> 2020년 보건산업 창업기업 실태조사 개요
< 붙 임 2> 보건산업 창업기업 현황 통계
< 붙 임 3> 보건산업혁신창업센터 개요에 해당하는 창업기업은 기업이 다시 도약할 수 있도록 멘토링·컨설팅 또는 정책자금이 필요하다고 답변하였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알파 베이직 젯소 500ml
칠성상회
3M 전자계산기 SJC-830P
바이플러스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