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보건복지부]주간 주요 방역지표 동향 분석(2.6.~2.12.)

btn_textview.gif

주간 주요 방역지표 동향 분석(2.6.~2.12.)


◈ 동네 병·의원 중심으로 코로나19 검사·치료체계 신속히 전환중
 - 코로나19검사·치료에 호흡기전담클리닉 426개소, 호흡기 진료 지정 의료기관 2,912개소 등 총 3,338개소 참여(2.12일 기준)
 - 재택치료자 전화 상담·처방 의료기관 3,925개소, 지정약국 472개소 참여(2.11일 기준)
 - 2.21일부터 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교, 노인복지시설 등 216만명 대상 자가검사키트 무상배포 추진

◈ 확진자 수는 크게 늘었지만, 위중증 환자 수 및 중증 병상 등 의료대응 체계는 안정적 관리 중
 - 위중증 환자는 2월 13일(0시) 기준 288명으로 지난주에 이어 2백 명 대 유지 중
 - 전국 중증 병상 가동률은 20%대, 준중증 및 감염병 전담병원 병상 가동률은 40%대에서 안정적 유지 중 (※ 해당일 0시 기준)
   * 중증(2.6 16.9% → 2.13. 22.2%), 준중증(2.6 43.3% → 2.13. 43.6%),감염병 전담병원(2.6 42.1% →2.13. 42.6%)

◈ 2월 14일부터 노바백스 백신 접종 시작
 - 우리국민의 접종경험이 풍부한 B형 간염, 독감 백신과 같은 방식으로 생산된 백신으로, 아직까지 미접종한 국민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접종에 참여 기대
 - 2.13 기준 인구대비 3차 접종률은 60세 이상 87.0%, 18~59세 57.1% 기록, 청소년 1차 접종률도 16~18세 89.5%, 13~15세 74.3% 등 꾸준히 증가하는 중

◈ 전 세계 주간 확진자 오미크론에 의한 폭발적인 증가 이후 처음으로 감소
 - 여전히 일본, 독일, 러시아에서 역대 최다 발생이 지속되고 있으며, 일본 및 이스라엘은 사망자 급증


1. 오미크론 대응체계 전환 현황


【병·의원 검사·치료체계 전환】

□ 동네 병·의원 검사·치료 체계 전환(2.3.)으로 유전자증폭검사(이하 ‘PCR 검사’) 우선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일반 국민은 호흡기전담클리닉 및 호흡기 진료 지정 의료기관(동네 의원)에서 신속항원검사*를 받을 수 있다.

   * 신속항원검사는 개인이 약국 등에서 자가검사키트(일반용)를 구매하여 실시하거나, 의료기관(호흡기전담클리닉 및 호흡기 진료 지정 의료기관) 및 보건소 선별·임시선별검사소에서 검사 가능

 ○ 호흡기전담클리닉 및 진료 지정 의료기관(동네의원) 명단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및 코로나바이러스-19 누리집에 공개하고 있다.

    * 2.12일 기준 호흡기전담클리닉 426개소, 동네 의원(호흡기 진료 지정 의료기관) 2,912개소 등 총 3,338개소

【재택치료체계 개편】

□ 재택치료자 모니터링 체계 개편(2.10)으로 일반관리군은 자택에서 발열 등 증상이 있을 경우 동네 병·의원에서 전화 상담·처방을 받을 수 있고, 지정약국에서 먹는 치료제 등 처방의약품을 전달받을 수 있다.


< 재택치료 모니터링 체계 개편 개요 > : 본문 참조

○ 재택치료자 전화 상담·처방 의료기관 및 지정약국 등 명단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및 일부 지자체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전화 상담·처방 의료기관 : 재택치료자 일반관리군이 재택치료 중 발열 등 증상이 있을 경우 전화 상담·처방이 가능한 동네 병·의원 등 의료기관(2.11일 기준 3,925개소: 동네 병의원 3,717개소, 의료상담센터 208개소)

* 코로나19 지정약국 : 재택치료자 대상 전화상담·처방을 통해 처방의약품을 조제·전달하는 약국으로 지자체(시군구)에서 지정(2.11일 기준 472개소)


○ 재택치료자 집중관리군 대상 건강관리를 위한 관리의료기관은 현재 665개소(2.13.0시)이다.

○ 한편, 대면진료가 가능한 단기외래진료센터* 명단도 2월 11일부터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및 일부 지자체 누리집에서 공개하고 있으며,

   - 재택치료 중 필요시 대면진료를 원하는 국민들은 해당 의료기관 명단을 확인하고 이용할 수 있다.

     * 재택치료 중 필요한 경우 검사, 처치, 수술, 단기입원 등 대면진료가 가능한 의료기관(2.11일 기준 70개소)

 ○ 아울러, 재택치료 생활안내, 격리해제일 등 행정적 문의 대응을 위한 ‘재택치료 행정안내센터‘를 지자체별로 별도 운영하도록 하였다.

【신속항원검사 키트 무료 배포】

□ 정부는 신속항원검사 수급 대응 TF를 중심으로 생산·공급·유통 과정 전반에 대해 철저히 관리하고 있다.

    * 2월 10일  「신속항원검사 키트 수급 대응 TF」(윤창렬 국무1차장 주재) 개최

□ 우선 정부는 선별진료소 등 방역현장에 충분한 양의 신속항원검사 키트를 최우선 공급하고, 2월 21일부터는 감염에 취약한 어린이집(원생·종사자), 노인복지시설 등 약 216만명에게 주당 1~2회분의 신속항원검사 키트를 무상 배포하기로 결정하였다.

  ※ 물량, 시기, 방식 등 구체적인 계획은 확정되는 대로 발표할 예정

□ 또한 유통과정에서의 가격교란 행위를 원천 차단하여 시장을 조기에 안정화시켜 나가기로 하였다.
 
 ○ 이를 위해 2월 13일부터는 신속항원검사 키트 온라인 판매를 금지(2.16까지는 재고물량 소진)하고, 오프라인의 경우 유통경로가 단순하고 접근성이 확보된 약국·편의점 등으로 판매처를 한정할 예정이다.

  ※ 구체적인 판매처, 유통경로, 최고 판매가격 수준, 구입방식 등은 현재 관련 업계와 최종 협의·조율 중이며 확정되는 즉시 발표할 예정


2. 코로나19 주요방역지표 현황


【병상】

□ 2월 13일(일) 0시 기준, 전체(중증, 준중증, 중등증) 병상 보유량은 25,033병상으로,

 ○ 단계적 일상회복을 시작한 2021년 11월 1일(0시, 11,594개)에 비해 총 13,439개의 병상이 확충되었으며,

  - 세부적으로는 중환자 전담치료병상이 1,490개, 준-중환자 병상 2,583개, 감염병전담병원 9,366개가 확충되었다.

< ’21년 11월 1일 이후 병상 확충 현황 > (단위 : 개)

 

구분

 

’21.11.1. (0)

’22.2.13. (0)

보유

사용

(가동률)

보유

사용

(가동률)

중증 병상

1,083

489

45.2%

2,573

(+1,490)

572

22.2%

 

수도권

667

390

58.5%

1,843

409

22.2%

비수도권

416

99

23.8%

730

163

22.3%

준중증 병상

455

182

60.0%

3,038

(+2,583)

1,324

43.6%

 

수도권

276

204

73.9%

2,311

956

41.4%

비수도권

179

69

38.5%

727

368

50.6%

감염병 전담병원

10,056

5,172

51.4%

19,422

(+9,366)

8,283

42.6%

 

수도권

4,655

3,265

70.1%

9,555

3,813

39.9%

비수도권

5,401

1,907

35.3%

9,867

4,470

45.3%

 

 

 

 

 ○ 정부의 적극적인 병상 확보 및 오미크론의 낮은 치명률 특성 등으로 인해 전국의 중환자 전담치료병상 가동률은 20%대, 준중증 및 감염병 전담병원 병상가동률은 40%대를 유지하고 있다.
  
    * 병상가동률(2.6.→2.13.): 중증(16.9% → 22.2%), 준중증(43.3% → 43.6%), 감염병 전담병원(42.1% → 42.6%)

 

□ 2월 2주(2.6.~2.12., 0시 기준) 주간 평균 병상 가동률은,

 ○ 2월 1주(1.30.~2.5.)에 비해 중증도별 병상 가동률이 상승하였다. 중증 병상은 2.9%p, 준중증 병상은 9.7%p, 감염병 전담병원 병상은 4.7%p 상승하였다.

    * 2월 1주→2월 2주 : (중증)15.8%→18.7%, (준중증) 36.6%→46.3%, (감염병 전담병원) 39.9% →44.6%

< 주간(일~토) 주차별 병상 가동률 현황 > (단위: %)

 

 

구분

12

(1.9.~1.15.)

13

(1.16.~1.22.)

14

(1.23.~1.29.)

21

(1.30.~2.5.)

22

(2.6.~2.12..)

증감

(중증병상)

중환자실 병상 가동률(%)

41.5

25.9

18.6

15.8

18.7

2.9

 

수도권

43.4

26.3

18.5

15.1

19.4

4.3

 

비수도권

37.5

24.8

19.0

17.6

17.0

0.6

(준중증 병상)

-중환자 병상가동률(%)

40.4

33.5

34.1

36.6

46.3

9.7

 

수도권

41.1

34.1

35.1

36.1

45.5

9.4

 

비수도권

38.9

31.9

31.5

38.4

49.2

10.8

(중등증 병상)

감염병전담병원 병상가동률(%)

31.2

30.0

35.7

39.9

44.6

4.7

 

수도권

27.7

23.7

27.7

31.8

37.4

5.6

 

비수도권

34.9

36.8

44.0

47.9

51.5

3.6

 

 

 

 


 ※ 해당일 0시 기준, 2월 2주 수치 변동 가능성 있음

【입원대기】

□ 입원대기는 병상여력이 회복되면서 2021년 12월 29일 0명으로 해소된 이후 지속적으로 0명이다.

【신규입원·위중증 등】

□ 2월 2주(2.6~2.12., 0시 기준) 주간 일일 평균 발생현황을 보면,

 ○ 신규 입원 환자는 일일 평균 1,371명으로 1주 전(2월 1주, 1,207명) 대비 164명 증가(13.6%)하였다.

 ○ 확진자·신규 입원환자 급증에도 불구,재원 중인 위중증 환자 규모는 일일 평균 275명으로 1주 전 일일 평균(2월 1주, 272명) 과 비교 시 거의 변동이 없는(3명 증가, 1.1%) 수준이다.

    ※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규모 : 1월 2주 732명 → 1월 3주 517명 → 1월 4주 369명 → 2월 1주 272명 → 2월 2주(2.6.~2.12.) 275명

 ○ 사망자는 1주간 총 187명(일일평균 27명) 발생하였고, 1주 전(2월 1주, 146명, 일일평균 21명)에 비해 41명 증가하였다.

 ○ 60세 이상 확진자는 일일 평균 5,383명 발생하였고, 1주 전(2월 1주, 2,075명)에 비해 3,308명 증가(159.4%)하였다. 60세 이상 확진 비중은 11.7%로 1주 전(2월 1주, 8.8%)보다 소폭 상승하였다.

   ※ 일일 평균 확진자 수(국내발생) : (2월 1주) 22,655명→(2월2주) 46,040명 (+23,385명, 103.2%)

 ○ 18세 이하 확진자는 일일 평균 10,981명이고, 1주 전(2월 1주, 5,824명)에 비해 5,157명 증가(88.5%)하였다. 18세 이하 확진 비중도 23.8%로 계속 20%대를 유지하고 있다.

<2월 2주(2.6.~2.12., 0시 기준) 주간 일일 평균 발생현황>

 

 

(주간 일일 평균)

21(1.30.~2.5.)

22(2.6.~2.12.)

증감

신규 입원

1,207

1,371

164(13.6% )

위중증(재원 중)

272

275

3(1.1%)

사망

21(1주간 총 146)

27(1주간 총 187)

6(28.6%)

신규 확진자(국내발생)

22,655

46,040

23,385(103.2%)

 

(60세 이상)

2,075

5,383

3,308(159.4%)

(비중) %

8.8%

11.7%

2.9%p

(18이하)

5,824

10,981

5,157(88.5%)

(비중) %

26.1%

23.8%

2.3%p

 

 

 

 

 

 

 

 

□ 2월 13일(일) 0시 기준,

 ○ 신규 입원한 환자는 1,316명으로 전일 대비 116명 감소하였다.

 ○재원 중인 위중증 환자는 288명(전일 대비 13명 증가)으로 2백명 대를 유지하고 있다.

    ※  단계적 일상회복 시점(’21.11.1.)의 위중증 환자 : 343명

 ○ 신규 사망자는 36명이고, 60세 이상이 32명(88.9%)이다.


    ※ 누적 사망자 7,081명, 치명률 0.52%

 

 

구분

1.31.

2.1.

2.2.

2.3.

2.4.

2.5.

2.6.

2.7.

2.8.

2.9.

2.10.

2.11.

2.12.

2.13.

입원

1,054

1,001

1,202

1,200

1,364

1,571

1,360

1,299

1,369

1,469

1,393

1,278

1,432

1,316

위중증

277

272

278

274

257

269

272

270

268

285

282

271

275

288

사망자

23

17

15

25

24

22

15

13

36

21

20

49

33

36

 

 

3.  2월 14일부터 노바백스 백신 접종 시작


□ 노바백스 백신이 국내 도입(2.9일)됨에 따라 2월 14일(월)부터 18세 이상 연령을 대상으로 접종이 시작된다.

 ○ 노바백스 백신은 우리 국민들께서 접종 경험이 풍부한 백신 제조 방식으로 생산되어 ?18세 이상 성인 미접종자를 대상으로 기초접종(1차· 2차)에 활용할 예정이다.

   - 특히, 일회용 주사기(prefilled syringe)로 공급되고, 냉장보관(2~8℃) 조건으로 보관과 수송이 용이한 점을 고려하여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병원 및 시설 내 자체접종 및 방문접종을 시행할 계획이다.

     * 중증·사망 위험이 높은 입원환자, 요양시설 입소자, 재가노인, 재가중증장애인 등

   - 고위험군 대상 자체접종·방문접종은 2월 14일(월)부터 실시하며, 일반 국민 대상 당일접종은 2월 14일(월)부터 가능하고, 예약접종은 2월 21일(월)부터 예약(누리집)한 후 3월 7일(월)부터 접종할 수 있다.

 ○ 노바백스 백신을 활용하여 교차접종과 3차접종도 가능하다.

   - (교차접종) 2차접종은 1차접종과 동일한 백신으로 접종하는 것이 원칙이나, 의학적 사유(금기·연기 등)로 의사가 판단한 경우 예외적으로 노바백스 백신을 통한 교차접종이 가능하다.

     * 의료기관 예비명단을 통한 당일접종 방식으로 접종 가능

   - (3차접종) 기초접종을 노바백스 백신으로 실시한 경우, 3차접종은 노바백스 백신이 원칙이며 접종간격은 2차접종 완료 3개월 이후이다.
     한편, 아래와 같은 두 가지 예외적인 경우가 있다.

   · [?-2(예외). 노바백스 기초접종 ⇒ (3차)mRNA 접종 (NVX-NVX-mRNA)]
     노바백스 백신으로 기초접종을 받은 사람이 mRNA 백신으로 3차접종을 희망하는 경우, 특별한 사유가 없더라도 접종 가능하다.

     * 당일접종 방식(민간 SNS 예약, 의료기관 예비명단)으로 가능하며, 사전예약 불가

   · [?-2(예외). 노바백스外 기초접종 ⇒ (3차)노바백스 접종 ((mRNA, AZ, J)- NVX)]
     노바백스 백신 외의 백신으로 기초접종을 받은 사람이 기초접종 시 금기·연기 사유 등이 발생한 경우, 의사 판단 하에 예외적으로 노바백스 백신으로 3차접종이 가능하다.

     * 의료기관 예비명단을 통한 당일접종 방식으로 접종 가능

□ 한편, 2.13일 0시 기준으로 3차접종은 총 2,942명이 받아, 전체 인구 대비 57.3%, 60세 이상 인구 대비 87.0가 3차접종을 완료하였다.

 ○ 18~59세 연령층은 인구 대비 57.1%가 3차접종을 완료하였으며, 2월말을 기준으로 접종간격 3개월 도래한 대상자 대비로는 60세 이상 92.6%, 18~59세 62.6%가 3차접종에 참여하였다.

 ○ 청소년(13~18세) 접종률은 높은 수준으로, 1차접종률을 기준으로 16~18세 89.5%, 13~15세 74.3% 등 접종률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오미크론 변이의 유행 및 우세종화에도 코로나19 예방접종은 가장 효과적인 대응수단임을 재차 강조하였다.

 ○ 아울러, “노바백스 백신은 B형간염, 인플루엔자 백신 등과 같은 유전자재조합 방식으로 생산된 백신으로 우리 국민에게는 접종경험이 많은 백신인 만큼, 미접종하신 국민들께서 보다 적극적으로 접종에 참여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4. 국외발생 동향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인한 전 세계 코로나19 발생의 급증 이후 처음으로 주간 발생이 감소했다고 밝혔다.

 ○ 1.31.∼2.6. 1주간 전 세계 신규발생은 1,953만명(WHO 기준)으로 전 주 대비 16% 감소하였다.

     * (5주) 확진 19,534,241명(-16.0%), 사망 68,372명(+7.3%)

   - 이스라엘은 최근 2주 주간 발생이 감소하였으나 사망자는 6주 연속 급증하며 작년 2월 이후 최다를 기록하였고, 60세 이상 일일(2.6.) 신규 중환자 중 미접종자는 인구 10만 명당 63.1명, 접종완료자는 4.3명으로 보고하였다.

     * 이스라엘: (5주) 확진 381,913명(-19.3%), 사망 328명(+3.5%)

   - 러시아는 3주 연속 역대 최다 발생을 기록하였고, 사망자는 감소세를 보였다. 15∼17세에서 발생률이 최대를 차지하였고 입원환자는 증가(전 주 대비 23%)하였으나 위중증 환자는 감소(전 주 대비 -9%)한 것으로 보고하였다.

     * 러시아: (5주) 확진 1,073,111명(+70.7%), 사망 4,686명(+1.5%)

   - 독일은 4주 연속 역대 최다 발생을 기록하였고, 사망자는 감소세를 보였다.

     * 독일: (5주) 확진 1,285,375명(+21.8%), 사망 992명(-1.5%)

   - 일본은 3주 연속 역대 최다 발생을 기록하였고, 작년 5월 말 이후 최다를 기록하였다. 청년층 발생은 감소세, 고령층 및 어린이 발생은 확산세를 보였다.

     * 일본: (5주) 확진 623,128명(+34.5%), 사망 528명(+120.9%)


주요 7개국 주간 확진자 수(인구 100만 명당) 변화(’21.6.6.∼’22.2.6., WHO) : 본문 참조

 

【7개국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22.2.7. 기준, WHO, our world in data)】

 

 

구분

누적 발생()

인구100만 명당 누적발생()

인구100만 명당

최근 7일간 발생

(’22.1.31.‘22.2.6.)

예방접종률(%)

(’22.2.6.)

확진자 수

사망자 수

확진자 수

사망자 수

(치명률)

확진자 수

사망자 수

1회 이상

접종 완료

미국

73,416,961

890,464

227,844

2,690(1.2%)

5,662

42.6

75.9

63.9

프랑스

20,049,457

129,532

308,267

1,992(0.6%)

26,725

28.7

79.9

76.8

영국

17,750,003

158,243

261,468

2,331(0.9%)

8,772

25.5

76.9

71.3

독일

11,022,590

118,717

132,536

1,428(1.1%)

15,,455

11.9

75.3

73.8

일본

3,207,724

19,257

25,362

152(0.6%)

4,927

4.2

80.5

79.3

이스라엘

3,161,239

9,160

365,227

1,058(0.3%)

44,117

<

0 Comments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
라인플러스 화인 세필 화이트 보드마카 (12개입) 1다스 (검정색)
칠성상회
펜더 판다 예쁜 캐릭터 팬더 볼펜
칠성상회
영진 10000 비닐노트 10호 대16절 / 1권 낱권/200매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