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중소벤처기업부]팁스(TIPS),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선도할 운영사 확대

btn_textview.gif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선도할 유망기술 스타트업 발굴·육성을 위한 팁스(TIPS :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운영사가 61개로 확대된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는 8월 13일(목), 팁스(TIPS)의 신규 운영사 9개를 추가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팁스(TIPS)는 성공벤처인 등 민간 역량을 활용해 창업팀을 선별하고, 민간투자와 정부의 기술개발(R&D)을 연계하여 고급 기술인력의 창업을 촉진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기존 52개사가 운영사로 참여하고 있었다.
 
팁스 운영사는 1~2억원 내외의 선투자를 통해 유망 창업팀을 선별해 보육하고, 팁스 창업팀으로 최종 선정할 수 있는 추천권을 보유하고 있는 등 팁스 사업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이번에 9개 운영사를 추가 선정한 이유는 매년 팁스에 참여하는 창업팀 수*를 확대해 나가는 한편, 기존 운영사 중 6년의 운영기한이 올해 종료되는 5개 운영사**를 채우기 위함이다.
 
* 팁스 신규 창업팀 : (‘19년) 250개 → (‘20년) 300개 → (‘21년) 400개

** ’20년 종료(예정) 운영사 : (~’20.5월) 2개, (‘20.12월) 3개
신규 운영사는 투자재원, 보육 및 글로벌 진출지원 역량과 함께 다양한 실적을 갖추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추고 있다.
 
첫 번째로 9개사 모두 비대면 관련 분야 투자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신규 9개 운영사의 최근 3년간 총 투자 비중을 보면 바이오헬스 39%, 서비스플랫폼 30%, 인공지능 11.4%, 빅데이터 4.4% 순으로 향후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이끌어 나갈 비대면 분야의 스타트업 발굴·육성이 더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두 번째로 신규 9개사 중 3개사(33%)가 지방소재 운영사이다. 현재
중기부는 지역 창업 활성화를 위해 팁스 지방 운영사가 사업 신청시 가점을 부여하고 있다. 그 결과 이번 운영사 공모에 신청한 26개사 중 지방 운영사는 6개로 전체의 23.1%였으나, 최종 선정된 지방 운영사는 3개사로 전체 9개사의 33%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그동안 충남 지역에는 팁스 운영사가 없었으나, 이번에 JB벤처스가 충남 지역 최초로 선정돼 충남 지역 스타트업 발굴·육성도 더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 (충남) JB벤처스, (경북) 포스코기술투자, 대경지역대학공동기술지주
 
신규 운영사는 총 6년의 운영기간(3년+3년)을 부여받고, 창업팀 추천권을 배정받아 9월부터 본격적으로 유망 창업팀 발굴 및 투자 활동에 나설 예정이다.
 
한편, 팁스 프로그램에 참여를 희망하는 창업팀은 중기부 및 팁스 누리집, K-스타트업, 또는 관리기관*의 문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중소벤처기업부(www.mss.go.kr), K-스타트업(www.k-startup.go.kr), 팁스 사업 누리집(www.jointips.or.kr)에서 공고문 확인 가능
 
* 관리기관 : 한국엔젤투자협회, ☏02-3440-7421, 7422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중소벤처기업부 기술창업과 손희찬 사무관(☎ 042-481-8947)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참고1   팁스 개요 및 주요성과 (’20.6월말 기준)
 
□ 팁스(TIPS) 개요 * TIPS :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ㅇ (목적) 성공벤처인 등 민간의 역량을 활용하여 창업팀을 선별하고 민간투자와 정부R&D를 연계 지원하여 고급 기술인력의 창업 활성화
 
ㅇ (지원내용) TIPS 운영사가 고급기술 창업팀에 先투자(1~2억원 내외)·보육·추천하면, 정부가 R&D, 창업사업화 자금 등을 매칭 지원(최대 7억원)
 
* 민간 엔젤투자(1~2억원) + 정부 매칭지원(R&D 최대 5억원, 창업사업화 최대 1억원,
해외마케팅 최대 1억원) + 추가연계(엔젤투자매칭펀드 2억원) + 후속지원(최대 5억원)
 
□ 추진실적
 
ㅇ 성공벤처인 주도의 엔젤투자회사, 선도벤처 등 52개 운영사 선정
 
ㅇ 창업팀 1,001개 선정, 엔젤투자 2,150억원(팀당 평균 2억원)에 매칭 방식으로, R&D 4,234억원, 창업사업화 473억원, 해외마케팅 385억원 지원
 
□ 주요성과
 
ㅇ (고급기술인력 창업) 전체 창업자(2,934명) 중 석․박사 59%(1,720명), 국내․외 대기업* 출신 30%(873명), 전문직 10%(304명)
 
* 삼성 336명, 애플․구글 18명, 네이버․다음 87명, LG 151명, SK 79명, 인텔·MS 23명 등

ㅇ (고용 효과) 사업지원 후 전체 신규 채용은 6,576명*, 기업 당 7.4명
 
* (조사 기준) ’13년~’19년 선정기업, 890개사 / (선정당시) 6,132명, (‘19년말) 12,708명
 
ㅇ (민간투자 유치) 국내․외 민간투자 총 27,878억원(엔젤투자 2,150억원+후속투자 25,728억원) 유치, 정부지원금 대비 민간투자 유치 5.5배
 
- 이 중 54개팀이 글로벌 VC 등으로부터 약 15,873만 달러 해외투자 유치
 
ㅇ (EXIT) IPO(기업공개) 2개 창업팀 및 M&A 19개 창업팀
 
선행 엔젤투자 후속 투자 총 민간투자
(선행+후속)
전체 M&A 해외투자 국내투자
(M&A 제외)
창업팀수 금액
(억원)
창업팀수 금액
(억원)
창업팀수 금액
(억원)
창업팀수 금액
(만달러, 억원)
창업
팀수
금액
(억원)
창업팀수 금액
(억원)
평균
(억원)
1,001 2,150 413 25,728 19 3,705 54 15,873
(1,905)
396 20,118 1,001 27,878 27.9
참고2   20년 팁스 신규 운영사 개요
 
1. JB벤처스
대표자 유상훈 소재지 충남
형 태 엔젤투자회사 투자재원 고유계정,
개인투자조합
협력기관 충청남도, 충남테크노파크, 충남창조경제혁신센터, 충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한국자동차연구원, 순천향대학교기술지주회사, 한국기술교육대학교산학협력단, 호서대학교창업지원단, 오픈놀, ERA, United Ventures Agency
인큐베이터 충남창조경제혁신센터 BI(충남 천안), 오픈놀 BI(서울 서대문)
주요 특징 충남 지역 내 최대 도시가스 공급사(JB)의 공동 설립 참여 및 대표자의 창업경험을 바탕으로 지역 기반의 초기 스타트업 발굴, 투자, 보육 등을 지원
주요 멘토단 JB벤처스 내 전문인력 등
글로벌 전략 컨소시엄 기관인 ERA, United Ventures Agency(미국)의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글로벌 진출을 지원
 
2. 대경지역대학공동기술지주
대표자 김현우 소재지 서울
형 태 기술지주사 투자재원 고유계정,
개인투자조합
협력기관 VentureNest Partners, 경북테크노파크, 경북창조경제혁신센터, 대구창조경제혁신센터,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영남대학교의료원, 에프엠씨인베스트먼트,
삼성증권 대구기업금융지점
인큐베이터 경북테크노파크 BI(경북 경산)
주요 특징 11개 대학 및 대구/경북TP가 공동 설립한 기술지주회사로 지역기반의 우수 연구성과에 대한 기술사업화를 통해 예비창업자, 유망기업을 발굴하여 투자·보육지원
주요 멘토단 대경지역대학공동기술지주 내 전문인력 등
글로벌 전략 협력기관인 VentureNest Partners(미국)의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글로벌 진출을 희망하는 초기 스타트업을 지원할 예정
3. 더벤처스
대표자 호창성 소재지 서울
형 태 엔젤투자회사 투자재원 엔젤계정
협력기관 Golden Equator Ventures, WFUNA
인큐베이터 자체 BI(서울 서초)
주요 특징 2기 운영사로 활동하였으며, 성공벤처인(호창성)의 주도적인 참여와 성공벤처회수자금(비키)으로 설립된 액셀러레이터로서, 창업·투자·M&A경험을 통한 초기 스타트업의 팀빌딩, 투자유치 전략 등을 지원
주요 멘토단 호창성(더벤처스), 더벤처스 내 전문인력 등
글로벌 전략 협력기관인 Golden Equator Capital(베트남), WFUNA(아세안)의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글로벌 진출을 희망하는 초기 스타트업을 지원
 
4. 디티앤인베스트먼트
대표자 이승석 소재지 서울
형 태 창업투자회사 투자재원 초기기업 창업펀드
협력기관 COLOPL NEXT, Innolab Asia,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디티앤씨, 전남대학교기술지주회사, 아이피에스
인큐베이터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BI(서울 용산, 서울 종로)
주요 특징 코스닥 상장사 디티앤씨(전자기기 시험인증 전문기업)에서 100% 출자하여 설립된 벤처캐피탈로 안정적인 투자재원 확보 및 성공벤처인(박채규)을 활용한 초기 스타트업 멘토링을 지원
주요 멘토단 박채규(디티앤씨), 디티앤인베스트먼트 내 전문인력 등
글로벌 전략 협력기관인 CLOLPL NEXT(일본), Innolab Asia(베트남)의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글로벌 진출을 지원
5.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
대표자 남기문 소재지 경기
형 태 창업투자회사 투자재원 초기기업 창업펀드
협력기관 스마일게이트희망스튜디오, 스마일게이트홀딩스, 서강대학교, Smilegate West, 소문신식과기(상해), Smilegate Barcelona S.L, 전북대학교기술지주회사, 부산정보산업진흥원
인큐베이터 오렌지팜 BI(서울 서초, 서울 서대문)
주요 특징 성공벤처인(권혁빈)의 재원출자와 직접 사업에 참여하는 구조로 스마일게이트 그룹사의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글로벌 진출을 희망하는 스타트업 발굴·투자·멘토링을 지원
주요 멘토단 권혁빈(스마일게이트그룹 의장), 그룹사 내 전문인력 등
글로벌 전략 모회사(스마일게이트홀딩스)가 보유한 해외법인(캐나다, 스페인)의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글로벌 진출을 지원
 
6. 아주아이비투자
대표자 김지원 소재지 서울
형 태 신기술금융사 투자재원 고유계정,
초기기업 창업펀드
협력기관 Solasta Ventures, 스파크플러스, 한국기술벤처재단,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고려대학교의료원,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특허법인 다해
인큐베이터 자체 BI(서울 강남), 한국기술벤처재단 BI(서울 성북)
주요 특징 안정적인 투자재원으로 스타트업의 성장단계에 따른 지속적인 후속지원이 가능하고 꾸준한 투자활동으로 구축한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초기 스타트업 발굴 및 멘토링 지원
주요 멘토단 아주아이비투자 내 전문인력 등
글로벌 전략 주간사가 보유한 해외법인(미국)을 통해 글로벌 진출을 희망하는 초기 스타트업을 지원할 예정
7. 연세대학교기술지주
대표자 이충용 소재지 인천
형 태 기술지주사 투자재원 고유계정,
개인투자조합
협력기관 연세대학교,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 부산대학교기술지주, 라파스, 한국컴퓨터, 대성창업투자, PrimerSazzePartners
인큐베이터 연세대학교 BI(서울 서대문),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 BI(서울 용산)
주요 특징 연세대학교 내부 원천기술을 활용하여 지속적인 액셀러레이팅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우수 연구성과의 사업화지원 경험을 바탕으로 예비창업자, 유망기업을 발굴·육성
주요 멘토단 정도현(라파스), 박상수(한국컴퓨터), 주간사 내 전문인력 등
글로벌 전략 협력기관인 PrimerSazzePartners(미국), 한국컴퓨터(베트남)의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글로벌 진출을 지원
 
8. 이노폴리스파트너스
대표자 이상진 소재지 서울
형 태 유한책임회사 투자재원 초기기업 창업펀드
협력기관 안랩, 이디리서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 Queen Mary Innovation, TusStar
인큐베이터 한국생명공학연구원 BI(대전 유성),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 BI(대전 유성)
주요 특징 성공적인 글로벌 EXIT실적의 투자경험 보유 및 대덕연구단지 기반의 벤처캐피탈로 기존 2기 운영사로서 활동해 온 경험을 바탕으로 초기 스타트업 발굴 및 멘토링 지원
주요 멘토단 주간사 내 전문인력 등
글로벌 전략 협력기관인 Queen Mary Innovation(미국), TusStar(중국)의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글로벌 진출을 희망하는 초기 스타트업을 지원할 예정
9. 포스코기술투자
대표자 심동욱 소재지 경북
형 태 신기술금융사 투자재원 초기기업 창업펀드
협력기관 POSCO INTERNATIONAL SHANGHAI, 포스코인터네셔널, 한양대학교산학협력단, 인덕대학교,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소사코리아
인큐베이터 인덕대학교 BI(서울 노원), 숭실대학교 BI(서울 동작)
주요 특징 포스코에서 95% 출자하여 설립된 벤처캐피탈로 모회사의 인프라를 활용하여 오픈 이노베이션 체계를 통한 초기 스타트업 발굴, 투자 육성 등을 지원
주요 멘토단 주간사 내 전문인력 등
글로벌 전략 모회사(포스코)가 보유한 해외법인(중국)의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글로벌 진출을 지원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
라인플러스 화인 세필 화이트 보드마카 (12개입) 1다스 (검정색)
칠성상회
펜더 판다 예쁜 캐릭터 팬더 볼펜
칠성상회
영진 10000 비닐노트 10호 대16절 / 1권 낱권/200매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