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낮은 중증화율·중환자 병상 확충 등 의료대응역량 유지(2.28., 정례브리핑)
낮은 중증화율·중환자 병상 확충 등 의료대응역량 유지(2.28., 정례브리핑)
- 확진자 동거자 수동감시 전환, 정신건강증진시설 4차접종 실시 -
◆ 코로나19 주간 위험도 평가 ○ 2월 4주차 전국, 수도권, 비수도권 ‘높음’으로 평가 ○ 주간 일평균 확진자 138,902명, 신규 위중증 환자 655명, 사망자 541명 ◆ 주요국 발생 양상 분석 ○ 우리나라는 싱가포르, 뉴질랜드와 유사하게 늦은 시기에 오미크론 유행이 진행중이며, 누적 발생률·누적사망률은 낮은 수준 ◆ 확진자 동거자는 자율 격리, 검사 권고(수동감시 전환, 3.1.이후) ○ 3월 1일부터 예방접종력과 관계없이 동거인 수동감시 전환 ○ 10일 동안 유전자증폭(PCR)검사 1회 및 6~7일차 신속항원검사 권장 단, 60세 이상은 2회 모두 PCR검사로 조기 진단 및 치료 ◆ 정신건강증진시설 추가(4차)접종 실시 ○ 집단 거주, 장기 재원, 고령층, 만성질환 보유 등 코로나19 위험도가 높아 추가(4차)접종 시행 ○ 3차접종 후 4개월 이후, 메신저리보핵산(mRNA)백신으로 접종(2.28.부터 순차적으로 시행) 단, 집단 감염 우려 시, 3개월(90일) 이후부터 접종 가능 |
○ 주간 위험평가 지표별 추이(※ 잠정통계로 향후 변동 가능)
구분 |
지표명 |
2월1주 (1.30.~2.5.) |
2월2주 (2.6.~2.12.) |
2월3주 (2.13.~2.19.) |
2월4주 (2.20~2.26.) |
|||
대응역량 |
① 중환자실 병상 가동률(%) |
16.1 |
20.2 |
31.0 |
44.0 |
|||
수도권 |
16.2 |
20.0 |
29.7 |
41.5 |
||||
비수도권 |
15.8 |
20.5 |
34.0 |
50.1 |
||||
①-1 일평균 재원 위중증 환자 수(명) |
272 |
275 |
343 |
541 |
||||
② 의료대응역량 대비 발생 비율(%) |
87.1 |
63.9 |
111.7 |
69.5 |
||||
수도권 |
71.4 |
51.8 |
91.1 |
58.9 |
||||
비수도권 |
128.2 |
97.9 |
169.2 |
94.0 |
||||
③ 감염병전담병원 병상가동률(%) |
39.9 |
44.6 |
42.6 |
47.3 |
||||
수도권 |
31.8 |
37.4 |
40.6 |
46.0 |
||||
비수도권 |
47.9 |
51.5 |
44.5 |
48.6 |
||||
④ 생활치료센터 가동률(%) |
47.1 |
37.3 |
22.6 |
23.6 |
||||
수도권 |
47.4 |
36.3 |
24.4 |
23.4 |
||||
비수도권 |
46.4 |
39.0 |
19.6 |
23.8 |
||||
⑤ 재택치료 의료기관 가동률(%) |
81.1 |
85.1 |
34.7 |
37.0 |
||||
수도권 |
84.6 |
86.6 |
40.2 |
41.2 |
||||
비수도권 |
75.5 |
83.4 |
29.2 |
33.1 |
||||
⑤-1 재택치료자 비율(%) |
78.7 |
79.1 |
89.4 |
92.9 |
||||
발생 |
⑥ 주간 사망자 수(명) |
146 |
187 |
309 |
541 |
|||
⑦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수(명) |
133 |
232 |
367 |
655 |
||||
⑦-1 중증화율(%) |
(10월)2.11, (11월)2.95, (12월)2.01, (1월)0.61 |
|||||||
⑧ 주간 입원환자 수(명) |
8,447 |
9,600 |
9,902 |
12,092 |
||||
⑨ 주간 일평균 확진자 수(명), 국내 |
22,654 |
46,039 |
80,410 |
138,902 |
||||
수도권 |
13,424 |
27,443 |
48,271 |
82,511 |
||||
비수도권 |
9,230 |
18,596 |
32,139 |
56,391 |
||||
⑨-1 주간 일평균 확진자 수(명), 해외유입 |
187 |
134 |
131 |
143 |
||||
⑨-2 주간 일평균 발생률(인구10만 명당), 국내 |
43.9 |
89.2 |
155.7 |
269.0 |
||||
수도권 |
51.6 |
105.5 |
185.5 |
317.1 |
||||
비수도권 |
36.0 |
72.6 |
125.5 |
220.1 |
||||
⑨-3 주간 신규 확진자 수(명), 국내 |
158,579 |
322,270 |
562,869 |
972,315 |
||||
수도권 |
93,969 |
192,101 |
337,897 |
577,580 |
||||
비수도권 |
64,610 |
130,169 |
224,972 |
394,735 |
||||
⑩ 60세 이상 확진자 비율(%) |
9.2 |
11.7 |
11.4 |
13.4 |
||||
⑩-1 주간 60세 이상 확진자 수(명) |
14,523 |
37,677 |
64,393 |
129,920 |
||||
⑪ 18세 이하 확진자 비율(%) |
25.7 |
23.9 |
27.3 |
26.1 |
||||
⑪-1 주간 18세 이하 확진자 수(명) |
40,764 |
76,865 |
153,800 |
254,087 |
||||
⑫ 확진자 중 미접종자(1차접종포함) 비율(%) |
10.3 |
10.7 |
9.5 |
- |
||||
⑬ 감염재생산지수(Rt) |
1.60 |
1.60 |
1.44 |
1.46 |
||||
⑭ 검사양성률(%) |
9.53 |
- |
- |
- |
||||
예방 접종 |
⑮ 2차 접종률(%) |
85.9 |
86.1 |
86.3 |
86.4 |
|||
⑮-1 3차 접종률(%) |
54.5 |
57.0 |
59.1 |
60.9 |
||||
⑯ 60세 이상 2차 접종률(%) |
95.4 |
95.5 |
95.6 |
95.6 |
||||
⑰ 60세 이상 3차 접종률(%) |
86.1 |
86.9 |
87.6 |
88.2 |
||||
⑱ 예방접종효과(3차 접종완료군) *1월 3주 기준 |
감염 예방효과 75.7% |
위중증 예방효과 92.6% |
사망 예방효과 95.3% |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2월 4주차(2.20.~2.26.) 주간 위험도 평가를 실시한 결과,
○ 오미크론 변이 우세종화에 따라 확진자 발생이 급증하고 신규 위중증 환자가 증가추세이나, 낮아진 중증화율 및 중환자 병상 확충으로 중환자 중심의 의료대응 역량을 유지하고 있어 위험도를 전국, 수도권, 비수도권 모두 ‘높음’단계로 평가하였다.
<종합평가 결과 – 2월 4주차>
구분 |
11월 |
12월 |
1월 |
2월 |
|||||||||||||
1주 (10.31.~) |
2주 (11.7.~) |
3주 (11.14.~) |
4주 (11.21.~) |
1주 (11.28.~) |
2주 (12.5.~) |
3주 (12.12.~) |
4주 (12.19.~) |
5주 (12.26.~) |
1주 (1.2.~) |
2주 (1.9.~) |
3주 (1.16.~) |
4주 (1.23.~) |
1주 (1.30.~) |
2주 (2.6.~) |
3주 (2.13.~) |
4주 (2.20.~) |
|
전국 |
매우 낮음 |
낮음 |
높음 |
매우 높음 |
매우 높음 |
매우 높음 |
매우 높음 |
매우 높음 |
매우 높음 |
중간 |
중간 |
높음 |
높음 |
높음 |
높음 |
높음 |
높음 |
수도권 |
중간 |
중간 |
매우 높음 |
매우 높음 |
매우 높음 |
매우 높음 |
매우 높음 |
매우 높음 |
매우 높음 |
중간 |
중간 |
높음 |
높음 |
높음 |
높음 |
높음 |
높음 |
비수도권 |
매우 낮음 |
매우 낮음 |
중간 |
중간 |
중간 |
매우 높음 |
매우 높음 |
높음 |
중간 |
낮음 |
중간 |
높음 |
높음 |
높음 |
높음 |
높음 |
높음 |
○ (대응역량지표) 지속적인 병상 확보*로 일상회복 시작 시기(11월~) 대비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감소하였으나, 오미크론 확산에 따른 신규 위중증 환자 증가(2.3주 367명→2.4주 655명)로 가동률이 상승하는 추세이다.
* (전국) 31.0%→44.0%, (수도권) 29.7%→41.5%, (비수도권) 34.0%→50.1%
* 중환자 확보병상(가동률): (11.1.) 1,083병상(45.2%) → (12.13.) 1,276병상(82.6%) → (2.4.) 2,430병상(14.9%) → (2.26.) 2,704병상(44.0%)
- 델타 대비 중증화율이 낮은 오미크론의 특성상 감당 가능 확진자 수는 증가하여 의료대응역량 대비 발생비율은 감소하였다.
* (전국) 111.7%→69.5%, (수도권) 91.1%→58.9%, (비수도권) 169.2%→94.0%
- 확진자 급증으로 입원환자가 늘어 감염병 전담병원 가동률은 증가하였으며, 생활치료센터 가동률도 소폭 증가하였다.
* 감염병 전담병원 병상가동률
: (전국) 42.6%→47.3%, (수도권) 40.6%→46.0%, (비수도권) 44.5%→48.6%
* 생활치료센터 가동률: (2.3주) 22.6% → (2.4주) 23.6%(+1.0%p)
<중환자실 병상 가동률 추이, 감염병전담병원 병상 가동률 추이 그림 붙임 참고>
○ (발생지표) 확진자는 주간 일평균 확진자는 138,902명으로, 7주째 지속 증가하고 있다.
* 주간 일평균 확진자: (2.3주) 80,410명 → (2.4주) 138,902명(+58,492명)
<확진자 발생 추이, 60세 이상 확진자 및 3차 접종률 그림 붙임 참고>
- 60세 이상 확진자의 수가 전주 대비 2배로 증가하였으며 전체 확진자 중 60세 이상의 비율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 60세 이상 확진자 수(비율): (2.3주) 64,393명(11.4%) → (2.4주) 129,920명(13.4%)
- 확진자 발생이 급증하면서 입원환자는 1월 2주부터 지속 증가하고 있으며,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는 2월 1주 이후 지속 증가하고 있다.
* 주간 입원환자 수: (2.3주) 9,902명 → (2.4주) 12,092명(+2,190명)
*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수: (2.3주) 367명 → (2.4주) 655명(+288명)
* 주간 사망자 수: (2.3주) 309명 → (2.4주) 541명(+232명)
○ 일상회복지원위원회 방역의료분과위원회에서는 2월 4주 코로나19 주간 위험도에 대해 다음과 같은 의견을 제시하였다.
- 유행곡선은 예측치로 발생하고 있으며 의료대응역량은 유지 중이나, 중증환자 병상의 실질적인 활용 및 포화에 대비한 준비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 오미크론 유행 하에서 1차 의료기관 대응이 주력이 되고 보건소는 이를 관리하는 방식으로의 전환되어야 하고, 정점 이후에는 1차 의료기관 중심으로 코로나19 의료대응의 일상화가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 또한, 재택치료자에 대한 안정적 관리와 충분한 정보 제공도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국내외 연구진들이 2월 23~24일 수행한 향후 발생 예측을 종합한 결과, 3월 9일 일일 확진자 23만 명 이상 발생, 재원중 중환자는 1,200명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고 밝혔다.
○ 유행 정점 시기는 3월 초에서 중순까지 폭넓게 예측되었으며, 유행 규모 또한 18만 명대에서 35만 명대까지 다양한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 주기적으로 유행상황을 예측모형에 반영함에 따라, 결과의 변동 가능성이 크지만, 유행에 대비하고 정책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연구진들의 예측 결과를 활용할 계획이다.
2. 코로나19 주간 발생 현황 |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종화되면서 유행이 본격화된 이후 주간 단위 발생 상황은,
○ 확진자 수는 급속하게 증가하여 5주간 25.4배가 증가하였으나, 오미크론 변이의 낮은 중증도와 높은 3차 접종률(60.9%)로 위중증 확진자는 2.91배, 사망자는 2.18배 증가하였다.
구분 |
1월3주 |
1월4주 |
2월1주 |
2월2주 |
2월3주 |
2월4주 |
4주간 증가비 (1.3주 대비 2.4주) |
확진자수 |
38,290 |
84,829 |
159,892 |
323,209 |
563,784 |
973,318 |
25.4배 |
입원건수 |
4,070 |
6,199 |
8,447 |
9,600 |
9,902 |
- |
2.4배 |
위중증(신규) |
225 |
167 |
133 |
232 |
367 |
655 |
2.91배 |
사망자 |
248 |
183 |
146 |
187 |
309 |
541 |
2.18배 |
오미크론 검출률(%) |
50.3 |
80.0 |
92.1 |
96.9 |
98.9 |
99.6 |
49.3%p |
< 전국/수도권/비수도권(’21.10.31.~’22.2.26.) 관련 그림 붙임 참고>
○ 2월1주 중증화율은 0.19%, 치명률은 0.08%로 델타변이 유행이 진행되었던 작년 11-12월에 비해 낮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 최근들어 60세이상 고령층 확진자가 증가하고 있어 중증 병상 및 치료제 등 중증화 예방조치를 강화하면서 예의주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주간 일평균 확진환자 수, 중증화율, 치명률(’21.11월1주~’22.2월1주, 2022.2.26. 0시 기준) 그림 붙임 참고>
구분 |
2021년 |
2022년 |
||||||||||||
11월 1주 |
11월 2주 |
11월 3주 |
11월 4주 |
12월 1주 |
12월 2주 |
12월 3주 |
12월 4주 |
12월 5주 |
1월 1주 |
1월 2주 |
1월 3주 |
1월 4주 |
2월 1주 |
|
(10.31~11.6) |
(11.7~ 11.13) |
(11.14~11.20) |
(11.21~11.27) |
(11.28~12.4) |
(12.5~ 12.11) |
(12.12~12.18) |
(12.19~12.25) |
(12.26~ '22.1.1) |
(1.2~ 1.8) |
(1.9~ 1.15) |
(1.16~ 1.22) |
(1.23~ 1.29) |
(1.30~ 2.5) |
|
확진환자 수 (일평균, 명) |
2,153 |
2,190 |
2,752 |
3,522 |
4,421 |
6,096 |
6,896 |
6,169 |
4,744 |
3,678 |
3,854 |
5,470 |
12,118 |
22,842 |
중증화율(%) |
2.79 |
2.90 |
3.16 |
2.82 |
2.94 |
2.26 |
2.03 |
1.80 |
1.72 |
1.66 |
1.02 |
0.65 |
0.29 |
0.19 |
치명률(%) |
1.17 |
1.36 |
1.64 |
1.49 |
1.60 |
1.16 |
1.10 |
0.91 |
0.82 |
0.78 |
0.48 |
0.32 |
0.15 |
0.08 |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최근 1주간(’22.2.20.~’22.2.26.) 일평균 재원중인 위중증 환자 수(541명) 및 사망자 발생(541명)이 전주대비 57% 이상 증가하여, 3주 연속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 주별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수 : (1월4주) 369명 → (2월1주) 272명 → (2월2주) 275명 → (2월3주) 343명 → (2월4주) 541명
* 주간 사망 환자 수 : (1월4주) 183명 → (2월1주) 146명 → (2월2주) 187명 → (2월3주) 309명 → (2월4주) 541명
* 가용 중환자실 : (1월4주) 1,692개 → (2월1주) 1,718개 → (2월2주) 1,702개 → (2월3주) 1,523개 → (2월4주) 1,268개
○ (연령군별 사망자 수) 2월 4주 사망자 수는 60대 이상이 514명(95.0%)으로 가장 많았고, 40~50대가 20명(3.7%), 20~30대가 5명(0.9%), 19세 이하가 2명(0.4%)이었다.
- (사망자 접종현황) 최근 5주간 사망자 1,366명 중 절반 이상이 백신 미접종자 및 1차 접종자(694명, 50.8%)이며, 2차 접종자는 20.9%(285명), 3차 접종자는 28.3%(387명)이었다.
- (60대 이상 사망자 접종현황) 최근 5주간 60대 이상 사망자 1,282명 중 백신 미접종자 및 1차 접종자는 50.7%(650명), 2차 접종자는 20.1%(258명), 3차 접종자는 29.2%(374명)이었다.
<최근 5주간 연령군별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 최근 5주간 연령군별 사망자수 그림 붙임 참고>
□ 최근 1주간(2.20.~2.26.) 코로나19 국내 발생 신규환자는 일평균 138,902명(국내 발생 972,315명)으로 전주(일평균 80,410명) 대비 72.7%(58,492명) 증가하여 6주 연속 수도권·비수도권 모두 매주 약 2배 규모로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
○ 수도권은 최근 1주간 일평균 82,511명(전체 환자 수 577,580명)으로, 전주(일평균 48,271명) 대비 70.9% 증가하였다.
○ 비수도권은 최근 1주간 일평균 56,391명(전체 환자 수 394,735명) 발생하여 전주(일평균 32,139명) 대비 75.5% 증가하였다.
○ 주간 감염재생산지수(Rt)는 전주대비 0.02 증가하여 전국 1.46로 6주연속 확산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수도권은 1.46, 비수도권은 1.47이었다.
* 전국 Rt : 1.60(2월1주) → 1.60(2월2주) → 1.44(2월3주) → 1.46(2월4주)
○ 해외유입 사례는 일 평균 143.3명(총 1,003명)으로 전주 대비(130.7명) 9.6% 증가하였다.
○ (연령군) 모든 연령대에서 일평균 발생률이 전주대비 1.5배이상 증가하였고, 특히 0~9세 연령군에서 높은 발생률(인구 10만명당 513.4명)을 보이고 있다.
- (60대이상) 전주대비 일평균 발생률은 2.0배 이상 급증하였고,(70.8명→142.9명), 전체 확진자 중 비중은 2%p 소폭 증가하였다.(11.4%→13.4%)
< 전국 연령별 일평균 발생률(2.26. 0시 기준) >
구분 |
계 |
0-9세 |
10-19세 |
20-29세 |
30-39세 |
40-49세 |
50-59세 |
60-69세 |
70-79세 |
80세이상 |
|
1월 4주 (1.23.~1.29.) |
환자수 |
83,102 |
9,712 |
15,532 |
18,242 |
12,205 |
12,847 |
7,909 |
3,985 |
1,427 |
1,243 |
일평균발생률 |
23.0 |
36.9 |
47.1 |
39.2 |
25.9 |
22.5 |
13.1 |
7.9 |
5.5 |
8.4 |
|
2월 1주 (1.30.~2.5.) |
환자수 |
158,581 |
17,959 |
27,255 |
33,162 |
23,609 |
25,627 |
16,446 |
9,010 |
3,333 |
2,180 |
일평균발생률 |
43.9 |
68.2 |
82.7 |
71.2 |
50.2 |
44.8 |
27.2 |
18.0 |
12.8 |
14.8 |
|
2월 2주 (2.6.~2.12.) |
환자수 |
322,271 |
33,595 |
49,861 |
68,513 |
47,350 |
49,474 |
35,801 |
22,037 |
9,325 |
6,315 |
일평균발생률 |
89.2 |
127.6 |
151.3 |
147.1 |
100.6 |
86.5 |
59.2 |
43.9 |
35.9 |
42.8 |
|
2월 3주 (2.13.~2.19.) |
환자수 |
562,869 |
74,425 |
88,921 |
99,605 |
84,641 |
90,243 |
60,641 |
38,991 |
14,834 |
10,568 |
일평균발생률 |
155.7 |
282.7 |
269.7 |
213.8 |
179.8 |
157.9 |
100.3 |
77.7 |
57.0 |
71.6 |
|
2월 4주 (2.20.~2.26.) |
환자수 |
972,315 |
135,128 |
131,652 |
152,741 |
151,653 |
160,151 |
111,070 |
79,434 |
30,331 |
20,155 |
일평균발생률 |
269.0 |
513.4 |
399.4 |
327.8 |
322.2 |
280.1 |
183.7 |
158.4 |
116.6 |
136.6 |
*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 = (확진자수)/(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21.12월 기준) × 100,000(명)
- (학령기 연령군) 전주대비 모든 연령군에서 일평균 발생률은 1.3배이상 증가하였고, 특히 12세이하 연령군에서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0~6세 10만 명당 489.8명, 7~12세 10만 명당 512.9명)
< 학령기 연령군별 일평균 발생률 추이 그림 붙임 참고>
○ (집단발생) 신규 집단발생은 총 51건으로 의료기관/요양시설 49건, 다중이용시설 2건이 발생하였다.
□ (외국인 발생현황) 외국인 확진자 발생 비중은 2.3%(22,147명)로 전주대비 0.8%p 소폭 감소하였다.
<주차별 외국인 확진자 발생 추이 그림 붙임 참고>
□ (변이바이러스 검출현황) 국내감염 사례의 오미크론형 변이 검출률은 전주 대비 0.7%P 증가하여 99.6%*(5,568건)로 확인되었고, 해외유입 사례도 대부분 오미크론형 변이(99.5%, 544건)로 확인되었다.(2.26. 0시 기준)
* (국내) 2월1주 92.1% → 1월3주 96.9% → 2월1주 98.9% → 2월4주 99.6%
- 또한, 이번 주 오미크론 세부계통 BA.2의 국내감염 검출률은 10.3%로 증가추세*를 나타내었고, 해외유입 사례는 18.4%로 확인되었다.
* (국내) 2월1주 1.0% → 2월4주 10.3%, (해외) 2월1주 10.8% → 2월4주 18.4%
< 국내감염 주요 변이바이러스 분석률 및 검출률(2.26. 기준) >
구분 |
분석주차 |
분석 건수 |
주요 변이 |
델타형 |
오미크론형 |
||||
건 |
검출률(%) |
건 |
검출률(%) |
건 |
검출률(%) |
BA..2* 검출률 (%) |
|||
국내감염 |
2월1주 |
5,029 |
5,029 |
100.0 |
399 |
7.9 |
4,630 |
92.1 |
1.0 |
2월2주 |
8,148 |
8,148 |
100.0 |
256 |
3.1 |
7,892 |
96.9 |
3.8 |
|
2월3주 |
6,749 |
6,749 |
100.0 |
72 |
1.1 |
6,677 |
98.9 |
4.9 |
|
2월4주 |
5,588 |
5,588 |
100.0 |
20 |
0.4 |
5,568 |
99.6 |
10.3 |
|
해외유입 |
2월1주 |
1,217 |
1,217 |
100.0 |
23 |
1.9 |
1,194 |
98.1 |
10.8 |
2월2주 |
983 |
983 |
100.0 |
11 |
1.1 |
972 |
98.9 |
7.0 |
|
2월3주 |
620 |
620 |
100.0 |
5 |
0.8 |
615 |
99.2 |
12.3 |
|
2월4주 |
547 |
547 |
100.0 |
3 |
0.5 |
544 |
99.5 |
18.4 |
* 전장유전체분석 기반 별도산출
□ (인구이동량) 인구이동량 이동평균 기준점 대비 –3.0%로 전주대비(-3.1%) 0.1%p 증가하였다.(2.22. 기준)
<인구이동량 관련 그림 붙임 참고>
* 인구이동량 이동평균: 구글 인구이동량 중 소매 및 여가시설(식당, 카페, 쇼핑센터, 놀이공원, 박물관, 도서관, 영화관과 같은 일상생활 장소)에 대한 7일 이동 평균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확진자 급증 지속, 18세 이하 소아·청소년 확진자 확산, 요양병원·시설 집단 감염 지속 등의 위험요인이 있다고 밝혔다.
○ (확진자 급증 지속) 오미크론 확산세로 2월 4주 일평균 확진자는 전주 대비 1.7배 상승한 138,902명 발생하였다.
- 확진자 급증으로 의료진, 소방관 등 사회 필수 인력의 격리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누적된 확진자 영향으로 신규 위중증 및 사망자가 지속 증가하고 있다.
* (신규 위중증 주간 총합) (1.4주) 167 (2.1주) 133 (2.2주) 232 (2.3주) 367 (2.4주) 655(사망자 주간 총합) (1.4주) 183 (2.1주) 146 (2.2주) 187 (2.3주) 309 (2.4주) 541
- 정부는 기 발표한 격리 관리 개선방안*을 3월1일부터 시행하여 국민 편의를 제고하고 중앙부처 행정 인력의 보건소 파견으로 확진자 급증 상황에 대응할 예정이다.
* 동거가족의 수동감시 전환, 격리통지서 문자·SNS 전송
- 위중증 환자 증가에 대비하여 중증과 준증증 병상 운영 현황을 점검하고 필요 인력을 확보하는 등 병상 운영을 내실화한다.
- 아울러 확진자 급증에 따른 사회 필수기능 유지를 위해 격리기간 단축 및 음압병상 대신 일반병상 사용 허용 등을 내용으로 한 의료기관 BCP를 차질없이 이행하고, 소방 구급 등 추가 필수분야 BCP를 점검한다.
○ (18세 이하 소아·청소년 확진자 확산) 2월 4주 18세 이하 소아·청소년 확진자는 전주 대비 1.7배 증가한 36,298명 발생하였다. 전주대비 증가규모는 청·장년(1.7배) 및 고령층(2.0배)과 비슷한 상황이나 10만명당 발생률은 2배 이상 높은 상황이다.
* (10만명당 발생률) : 18세이하 455.1명, 19~59세 274.0명, 60세 이상 142.9명
- 입원환자수는 1월 대비 소폭 증가하였으며 특히 0~3세 연령에서 약 2배 증가한 상황이다.
- 오미크론 변이 우세화 된 2월에는 18세이하 확진자가 52만여명으로 급증하였으나, 위중증 환자는 20명, 사망자는 2명 보고되었다.
* 위중중, 사망자는 기간경과에 따라 변동 가능함
구분 |
1월 (1.2.~1.29.) |
2월 (1.30-2.26) |
||
18세 이하 |
확진자(명) |
44,209 |
525,516 |
|
위중중환자(명) |
6 |
20 |
||
사망자(명) |
1 |
2 |
||
중증화율(%) |
0.016 |
0.004 |
||
치명률(%) |
0.002 |
0.00038 |
||
0~3세 |
확진자(명) |
4,510 |
59,071 |
|
위중중환자(명) |
2 |
7 |
||
사망자(명) |
- |
1 |
||
4~6세 |
확진자(명) |
7,982 |
97,535 |
|
위중중환자(명) |
- |
2 |
||
사망자(명) |
- |
1 |
||
7~11세 |
확진자(명) |
13,603 |
173,178 |
|
위중중환자(명) |
3 |
5 |
||
사망자(명) |
- |
- |
||
12~15세 |
확진자(명) |
7,881 |
102,161 |
|
위중중환자(명) |
- |
2 |
||
사망자(명) |
- |
- |
||
16~17세 |
확진자(명) |
4,602 |
60,187 |
|
위중중환자(명) |
1 |
2 |
||
사망자(명) |
1 |
- |
||
18세 |
확진자(명) |
5,631 |
33,384 |
|
위중중환자(명) |
- |
2 |
||
사망자(명) |
- |
- |
||
19세 이상 |
확진자(명) |
124,242 |
1,490,520 |
|
위중중환자(명) |
819 |
1,245 |
||
사망자(명) |
583 |
956 |
||
중증화율(%) |
0.910 |
0.136 |
||
치명률(%) |
0.445 |
0.064 |
- 3월 2일 학교 개학에 따라 새학기 적응 주간(3.2~3.11)을 운영하고 학교별 대응체계를 가동한다.
집중 점검 과제 |
‣ 신속항원검사도구(키트) 지원 ‣ 현장 이동형 유전자증폭(PCR) 검사소 설치·운영 ‣ 학교 자체조사 지원 긴급대응팀 편성 및 운영 ‣ 학교 전담 방역 인력 및 보건 인력 배치 ‣ 학교 학사 운영 상황 및 학교별 업무연속성계획(BCP) 수립 ‣ 유초중등 교원 대체인력 확보 및 학교 지원 |
- 5-11세 대상 화이자 백신 허가(2.21.)에 따라 해외 동향과 접종 안정성·효과성 등을 종합 검토하여 3월중 접종계획을 마련하며, 소아환자 재택치료 역량 확충 및 응급 대비 방안*을 지속 추진한다.
* 소아 환자 대응 가이드라인 제작 배포, 소아 환자 관리를 위한 거점 소아의료기관 지정, 소아 전문응급센터 구축(18개소), 소아 상담센터 보강, 119 핫라인 설치 등
○ (요양병원·시설 감염 증가) 요양병원 및 시설 감염이 지속 증가하여 2월에 261건, 9,934명이 발생하였다.
* 집단발생: (2.1주) 69건(2,835명) (2.2주) 92건(3,716명) (2.3주) 100건(3,383명)
- 고위험군의 면역형성률을 증진하고 중증 및 사망을 예방하기 위해 요양병원·시설의 4차접종을 신속하게 시행하고, 감염병전담요양병원 관리도 강화한다.
3. 주요국 발생 양상 분석 |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주요 9개국의 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따른 발생 동향을 분석하였다.
○ 우리나라는 누적 발생률(인구 100만 명당)과 누적 사망률(인구 100만 명당)은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9개국 주간 확진자 수(인구 100만 명당) 변화(’21.11.1주.∼’22.2.3주.) (WHO) 그림 붙임 참고>
<9개국 주간 사망자 수(인구 100만 명당) 변화(’21.11.1주.∼’22.2.3주.) (WHO) 그림 붙임 참고>
○ 최근들어 오미크론 변이 유행으로 인구 100만 명당 주간 확진자는 덴마크, 싱가포르, 독일 다음 순의 높은 발생 규모를 보이고, 싱가포르, 뉴질랜드와 유사하게 현재 증가 추세에 있다.
- 인구 100만 명당 주간 사망자는 낮은 수준으로 고령층 3차 접종, 중환자 병상 및 먹는 치료제 확충, 고위험군 중심의 검사·관리 등 고위험군 중심 대응 강화로 위중증과 사망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고 있는 상황이다.
<9개국 누적 발생률(인구 100만 명당) 변화 그림 붙임 참고> (’21.1.1.∼’22.2.26., Our World in Data)
<9개국 누적 사망률(인구 100만 명당) 변화 그림 붙임 참고> (’20.2.13.∼’22.2.26., Our World in Data)
□ 최근 주요 국가의 유행 발생상황과 방역체계 동향은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 (미국, 영국, 프랑스) 비교적 이른 시기(’21년 12월)에 발생이 급증한 이후 5~6주 만에 확진자 발생이 정점(’22년 1월 초~말)에 도달하였고, 최근 발생은 오미크론 확산 전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 오미크론 유행 정점이 지난 미국, 영국 등은 주요 방역 조치를 단계적으로 완화하여, 미국은 2월 9일부터 일부 주*를 중심으로 마스크 착용 의무화를 해제하였고, 영국은 2월 24일부터 방역조치를 전면 해제할 것을 발표하였다.
* 뉴욕, 워싱턴, 네바다, 뉴저지, 델라웨어, 텍사스 등 21개 주정부
<코로나19 주간 발생 현황(WHO, ’21.7.1.∼’22.2.20.) 그림 붙임 참고>
○ (독일, 일본, 덴마크) 1월부터 확진자 발생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9~10주 만에 정점에 도달하였고, 최근 감소세로 전환하였다.
- 확진자 발생과 사망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중환자 발생이 감소세로 전환됨에 따라 방역 조치를 일부 완화하여, 덴마크는 2월 1일부터 모든 방역조치를 해제하였고, 독일은 마스크 착용 및 거리두기 등의 조치는 유지하되 3월 20일까지 단계적(3단계)으로 조치 완화 예정이다.
<코로나19 주간 발생 현황(WHO, ’21.7.1.∼’22.2.20.) 그림 붙임 참고>
○ (싱가포르, 뉴질랜드) 우리나라와 유사하게 비교적 늦은 시기에 유행이 급증하기 시작하여 현재 유행이 진행중이다.
- 확진자 및 중환자 수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의료역량 및 자원을 고위험군에 집중하는 체계로 전환을 지속하고 있다.
* (뉴질랜드, 2.24.∼) 고위험군 대상 PCR 검사, 확진자의 동거가족만 밀접접촉자로 분류, 고위험 시설 및 취약계층 중심 역학조사
* (싱가포르, 2.16.∼) 재택치료 대상 확대, 밀접접촉자 자체 신속항원검사 음성 시 일상생활 가능 (시행 예정이던 거리두기 완화는 발생급증으로 유예)
<코로나19 주간 발생 현황(WHO, ’21.7.1.∼’22.2.20.) 그림 붙임 참고>
○ 우리나라도 다른 국가들과 유사하게 오미크론의 낮아진 중증화율과 높은 전파력 특성을 감안하여 오미크론 대응 체계로 전환하여,
- 고위험군 중심 진단검사·환자관리 등 대응체계로 사망 등 건강피해를 최소화하고,
- 확진자 동거인 관리, 방역패스 등은 효율화하여 사회필수기능을 유지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4. 코로나19 예방접종 효과 |
□ 확진자에서 예방접종력에 따라 중증 진행을 평가한 결과 ‘3차접종 후 확진군’*은 ‘미접종 후 확진군’에 비해 중증(사망 포함)으로 진행할 위험이 97.5%, ‘2차접종 후 확진군’도 ‘미접종 후 확진군’에 비해 67.1% 낮게 나타났다.
○ 즉, ‘미접종 후 확진군’의 중증화율은 ‘3차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39배, ‘2차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3배 높게 나타났다.
< 확진자 중 예방접종력에 따른 연령대별 누적 중증화율 위험도 비교 (’22.2.20. 기준) 그림 붙임 참고>
5. 확진자 동거자 자율 격리, 검사 권고(수동감시 전환, 3.1.이후) |
□ 중앙방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