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 장관, 그린뉴딜의 중심축인 재생에너지 현장 방문

btn_textview.gif

산업부 장관, 그린뉴딜의 중심축인 재생에너지 현장 방문
- 폐염전을 활용한 국내 최대규모(100MW) 영광 태양광 발전단지와
국산 풍력 발전기 실증을 위한 풍력 테스트베드 현장 방문-

 
성윤모 산업부장관은 127() 16, 영광 태양광 발전단지풍력 테스트베드 현장(영광군 백수읍 소재)방문하였음

 
이번 현장방문은 2050 탄소중립과 그린뉴딜의 실현을 위해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가 절실한 상황에서 국내 최대 태양광 발전단지와 풍력 실증단지를 방문하여 재생에너지 확대 여건을 점검하고, 관계자를 독려하기 위해 마련하였음
 
<
현장방문 개요
 

일 시 : ’21.1.27.() 16:00
 
장 소 : 영광 태양광 발전단지 / 풍력 테스트베드 (영광군 백수읍소)
 
 
 
참석자 :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영광군수, 한국중부발전 사장,
  
  전남테크노파크 원장 등
 
 
 
주요내용 : 태양광 발전단지 및 풍력 테스트베드 구축, 운영·실증 현
 
 
                  황 점검 및 기업인 등 관계자 격려

 
영광 태양광 발전단지‘20. 6월 준공된 국내 최대규모(100MW) 태양광 발전단지연간 13GWh의 전력(6.2만가구의 1년 전력사용량) 생산할 수 있는 규모임

 
동 단지는 폐염전을 활용하여 태양광 단지로 조성한 사례로, 염전 폐업에 따라 일자리를 상실한 염부(염전 임차인) 및 마을 주민이 운영하는 2MW 규모 주민 태양광 발전소를 조성(세대당 약 900만원 수익/)하는 유휴부지 활용과 주민수용성 측면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
또한, 대규모 발전단지 건설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태양광 모듈구조물배터리 등 주요 기자재 대부분을 국내 생산제품으로 사용함으로써,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함
 

< 영광 태양광 발전단지 개요 >
· 부지면적 : 986,804(30만평)
 

· 설비용량 : (PV) 100, (ESS) 312h
 

· 총사업비 : 3,492억원
 

· 사업기간 : (건설) ‘19.07~’20.06
(운영) ‘20.07~’40.06 (20)

 
영광 풍력 테스트베드는 국내 풍력터빈 제조기업의 ·소형 풍력터빈 인증·실증 지원을 위해 송전시설, 기상관측탑 등 성능평가 기반을 구축(1단계 ‘11~‘14)하여 운영중임

 
1단계 사업에서는 유니슨(2.3MW, 4.2MW), 두산중공업(3MW) 국산 터빈의 실증 및 인증을 제공하였고, 인증 완료된 터빈은 인근 영광풍력발전소 및 서남해 해상풍력 실증단지 등에 공급되어 국산 터빈의 보급확대에 기여한 바 있음

 
또한 현재 5MW급 이상 대형 풍력발전기 테스트베드 구축을 위해 2단계 확장사업(‘20~’22, 총사업비 260억원)을 진행중인 바,
< 영광 풍력 테스트베드 개요 >
< 1단계 >
- 사업비/사업기간 : 136억원 / ‘11.8 ~ ’14.12
- 사업내용 : ·소형 풍력 테스트베드 인프라 구축
 

< 2단계 >
- 사업비/사업기간 : 260억원 / ‘20 ~ ’22
- 사업내용 : 5MW 이상 초대형 풍력 테스트베드 구축

 
두산중공업 등에서 정부 R&D지원을 통해 개발중인 8MW급 대용량 해상풍력발전시스템도 동 영광 테스트베드(2단계)에서 실증 및 인증을 획득할 계획이며, 향후 신안, 서남해, 울산 등 대규모 해상풍력 프로젝트에 공급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정부에서는 영광 실증단지 외에도 너셀 테스트베드(경남 창원), 해상풍력산업지원센터(전북 군산) 지역별 특성에 맞는 풍력 인프라 구축 통해 국산 풍력 기자재의 실증과 전문인력 양성 등을 지원할 계획임
 

< 인프라 구축 현황 >
풍력터빈
실증단지
· (제주 김녕) 14년 준공, 총사업비 131억원
-실증 : 두산중 3MW, 효성 2MW, 5.5MW, 한진 2MW
· (전남 영광) 1단계는 14년 준공, 총사업비 136억원,
2단계 확장(3개 실증사이트 추가확보, 20~22, 260)
너셀 테스트베드
· (경남 창원) 창원산단너셀테스트베드 구축(20~24, 400)
- 풍력터빈 주요부품이 집적되어 있는 너셀의 모의환경 시험, 평가 등 수행
해상풍력
산업지원센터
· (전북 군산) 새만금산단구축(20~24, 420)
- 전문인력 양성(O&M, 안전 등), 해상풍력 단지조성 등

 
또한, 대형 풍력터빈개발 및 주요 부품 국산화 등을 위한 R&D 지원도 지속적으로 확대중에 있음

 
* 풍력 R&D 지원 현황(억원) : (‘17)279 (‘18)342 (‘19)602 (‘20)860

 
< R&D 지원 현황 >
기술개발 분야
주요 과제
지원 규모
(‘09~20)
풍력터빈개발
· 8MW급 풍력터빈 개발(285)
· MW급 부유식 해상풍력 시스템개발(290)
14개 과제,
919억원
주요부품·소재
· 대형터빈용 전력변환기 개발(70)
· 부유식 해저케이블 개발(50)
22개 과제,
974억원
설치장비·시공
· 13,000톤급 해상풍력전용설치선 개발(116)
· 해상풍력 지지구조물 설치시스템개발(104)
19개 과제,
704억원
단지설계·운영
· 해상풍력단지 환경영향 모니터링(50)
· 해상풍력단지 통합 유지보수 플랫폼 개발(60)
34개 과제,
1,768억원

 
성윤모 산업부장관은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서는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 보급이 중추적 역할을 담당해야 할 것이며, 그 과정에서 주민수용성 확보와 기술개발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하였음

 
정부는 지역주민이 참여하여 발전수익을 공유하는 주민참여형 재생에너지 보급 모델을 확산시켜 나가는 한편, 국내 재생에너지 경쟁력 제고를 위해 지속적인 R&D 확대와 관련 인프라 구축 등 정책적 지원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힘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
바르네 풀테이프 BGT-0180(8.4mmX12m) 본품 랜덤
칠성상회
아모스 글라스데코 썬데코 별자리 어린이 미술놀이
칠성상회
LF쏘나타 뒷좌석 편안하개 차량용 에어매트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