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산업통상자원부]첨단 기술 및 소부장 기술로 원자력 안전성을 극대화

btn_textview.gif

첨단 기술 및 소부장 기술로 원자력 안전성을 극대화
 

- (과기정통부, 산업부 공동)가동원전 안전성 향상 핵심기술 개발사업공고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 이하 '과기정통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 이하 '산업부')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수준으로 원자력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과기정통부, 산업부 협업으로가동원전 안전성 향상 핵심기술 개발사업(‘22‘29)을 선정 공고(‘22.1.27~3.3)한다.
 

원전은 향후 60여년 간 국내 주요 에너지원으로써 안정적인 운영이 필요한 만큼, 그동안 축적된 원자력 기술과 ICT 첨단 기술의 융합을 통해 원전 안전성을 극대화하고 궁극적으로 국민이 안심하는 안전한 원자력을 실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후쿠시마 사고('11), 경주('16) 및 포항('17) 지진 이후 높아진 국민의 안전 요구 수준을 고려할 때, 극한재해 대응과 안전현안 등을 해결하기 위한 혁신기술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간 과기정통부는 세계선도 수준의 안전기술 확보를 위해미래원자력 안전역량 강화방안('18), 첨단기술을 통한 안전 혁신을 위해미래선도 원자력 기술역량 확보방안('19)을 마련했으며, 산업부는 안전 최우선의 원전 운영을 위해Nu-Tech 2030('19)등을 마련하였다.
 

ㅇ 이에, 과기정통부와 산업부는 국민 안전이라는 최우선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가동원전 안전성 향상 핵심기술 개발사업안전 관련 R&D 사업에 집중 투자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와 산업부가 공동으로 추진하는가동원전 안전성 향상 핵심기술 개발사업예비타당성조사 결과('21.6월 최종 통과)에 따라,
 

'22년부터 '29년까지 총사업비 6,424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며, '22년 과기정통부는 345억원(61개 내외 과제), 산업부는 263억원(16개 내외 과제) 규모의 신규 과제를 선정한다.
 

본 사업은 국민 안심 수준의 원전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ICT 첨단기술 융합을 통해 원전의 이상 징후를 조기에 파악·대처하고, 다수호기, 다중 사고, 극한 복합재해 등에 대한 사고 예방 기술을 강화하며, 소부장 기술 강화를 통해 사고 대응력을 높일 계획이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가정용 코팅기 KOLAMI-324 4롤러 A3 무소음 무기포
칠성상회
물고기 애벌레 원목 낚시놀이 장난감
칠성상회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