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오미크론 변이의 특성 분석과 확산 대비(1.24., 정례브리핑)
오미크론 변이의 특성 분석과 확산 대비(1.24., 정례브리핑)
- 델타 변이, 인플루엔자와 오미크론 변이의 특성 비교, 오미크론 우세화 이후 중증예방 중심의 지속가능한 방역체계로 전환 -
◆ 오미크론 변이 발생 현황 및 특성 ○ 국내발생 분석결과 오미크론 변이 1월 3주 검출률 50.3%로 우세종화 ○ 오미크론 변이는 델타 변이보다 전파력 높으나 중증도 낮음, 인플루엔자보다 전파력 높고 중증도 다소 높음 ○ 예방접종 및 먹는 치료제는 오미크론 변이에도 여전히 효과적인 수단 ◆ 오미크론 우세화 이후 영향과 대응 ○ ‘개인 중증도’는 낮더라도, ‘사회 피해 규모’는 클 수 있음 ⇒ 고위험군 중증예방을 위한 조기진단·조기투약, 일반 국민은 동네 병·의원에서 적시에 진료·검사 ○ 설 연휴에 앞서, 신속한 예방접종 완료와 개인방역수칙 준수 및 올바른 마스크 착용 당부 |
1. 오미크론 변이 발생 현황 및 특성 분석 |
1 |
국내 오미크론 변이 우세종화 시작 |
□ 해외 각 국에서 오미크론이 빠르게 우세화됨에 따라, 확진자 발생도 급증하면서 역대 최다 코로나19 발생이 보고되고 있다.
○ 우리나라는 그간 해외 유입 차단과 국내 확산 억제로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확산을 지연시켜 왔으나, 1월 3주 국내 확진자의 오미크론 변이 검출률이 50.3%로 증가하여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화되었다.
* 오미크론 변이 검출률 : 국내 확진자 50.3%, 해외유입 97.5% 「붙임1」
○ 권역별 검출률은 호남권이 82.3%로 가장 높고, 경북권 69.6%, 강원권 59.1% 순으로 높았다.
<그림 1. 주차별 변이 분석율 및 오미크론 변이 확정사례 감염경로(국내, 해외) 붙임 참고>
2 |
오미크론 변이의 전파력, 중증도, 백신 효과 |
□ 현재까지 국내외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오미크론 변이의 전파력은 델타변이에 비해 2배 이상 높고, 중증도는 델타 변이에 비해 낮으나 인플루엔자보다는 다소 높게 보고되고 있다.
< 그림 2. 주요 감염병 전파력 및 중증도 비교 붙임 참고>
※ 코로나19 오미크론변이 전파력 관련 세부 근거 「붙임 6」 참고
○ 국내에서 오미크론 변이 중증도를 평가하기 위해 델타, 오미크론 변이 확정 사례를 대상으로 비교 분석한 결과, 오미크론 변이 치명률은 0.16%*로 델타 바이러스 0.8%*에 비해 약 1/5배 낮게 분석되었다.
* 연령표준화율: 결과값의 신뢰도(비교성)를 높이기 위하여, 결과(위중증, 사망)에 영향을 주는 연령을 비교하고자 하는 두 집단에서 연령 구성비를 동일하게 하여 계산한 비율
※ 코로나19 델타, 오미크론 변이 위중증률, 치명률 현황 「붙임 7」 참고
- 오미크론 변이 유행 확산으로 고위험군 확진자가 증가할 경우 위중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위중증·사망자 규모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감염예방 효과는 2차 접종 후 시간 경과에 따라 감소하나 중증 예방효과는 지속되며, 3차 접종을 한 경우 중화항체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국내 조사 결과, 3차 접종 후 오미크론과 델타 변이바이러스에 대한 중화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이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한 성인에서 화이자 백신으로 3차 접종을 한 경우, 접종 2~4주 경과 시 오미크론주에 대한 중화항체가는 접종 전 대비 10.5~113.2배 증가하였다.
【바이러스별 중화항체가(GMT ND50) 비교】 |
|||||
접종군 |
바이러스주 |
3차 접종 전 (기본접종 후 6개월) |
3차접종 후 (접종 후 1개월) |
||
고령층* (75세~) |
Pf+Pf+Pf |
초기주 |
67.0 |
2897 |
(43.2배 ↑) |
델타주 |
18.4 |
2248 |
(122.2배 ↑) |
||
오미크론주 |
4.2 |
475.6 |
(113.2배 ↑) |
||
건강한 성인** (20~59세) |
Pf+Pf+Pf |
초기주 |
424 |
3310 |
(7.8배 ↑) |
델타주 |
81 |
1701 |
(21배 ↑) |
||
오미크론주 |
39 |
660 |
(17배 ↑) |
||
Az+Pf+Pf |
초기주 |
244 |
2408 |
(9.9배 ↑) |
|
델타주 |
75 |
1072 |
(14.3배 ↑) |
||
오미크론주 |
26 |
272 |
(10.5배 ↑) |
||
Az+Az+Pf |
초기주 |
221 |
4632 |
(21배 ↑) |
|
오미크론주 |
9 |
260 |
(28.9배 ↑) |
* 국립중앙의료원 수행, ** 국립보건연구원 수행
□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치료제 효과는 기존 항체치료제는 효과가 떨어지지만, 항바이러스제(팍스로비드, 렘데시비어 등)는 입원 및 사망위험을 80% 이상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 정은경 청장)는 오미크론 변이가 중증화율이 낮지만, 높은 전파력으로 단기간 내 대규모 발생 시 방역·의료대응에 심각한 부담이 될 수 있어, ‘개인 중증도’는 낮지만 ‘사회적 피해 규모’는 증가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국외 오미크론 변이 위험도 평가 결과 참고] • WHO(1.7)는 오미크론이 델타에 비해서 중증도는 낮지만 발생이 급증하여 의료체계에 부담을 줄 수 있기에 위험도는 ‘매우높다’고 평가 • ECDC(1.14) 오미크론 확산과 의료체계 부담의 우려에 따라 위험도를 ‘매우높음’으로 평가하며 백신접종이 대응에 핵심이라고 강조 |
○ 고령층 및 감염취약시설에 전파될 경우 중환자 발생 규모도 동반 상승하기 때문에 감염 확산 억제와 고위험군 우선 보호는 지속적으로 필요하여,
○ 청장년층에서 발생이 가속화되고 확산될 경우 업무 공백으로 사회기능 유지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어, 의료·돌봄·교육 등 사회필수기능 유지를 위해 3차접종률을 높이고, 분야별 업무 지속계획을 수립·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3 |
오미크론 변이 우세화로 인한 영향 및 전망 |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오미크론 변이 우세화에 따라 1월 14일에 발표한 오미크론 대응전략에 따라 방역 대응체계를 전환을 추진한다.
○ 오미크론 대응 방역 의료체계 전환의 핵심은 한정된 방역·의료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전체 확진자 규모의 통제·관리보다 고위험군의 신속한 진단과 치료에 집중하고, 확진자 급증에 대응하기 위해 지속가능하고 효율적인 진단검사·역학조사·관리 대응체계로 전환하는 것이다.
□ 진단검사 체계 전환
○ 코로나 19 진단검사 개편은 PCR검사 역량을 60대 이상 등 고위험군 조기진단에 집중하여 조기치료를 통해 위중증을 예방하고자 한다.
○ 보건소 선별진료소 PCR검사는 60대이상 고위험군(우선검사필요군)에 집중하며, 이외 대상자는 보건소 선별진료소 자가 신속항원검사를 활용하고, 유증상자는 호흡기전담클리닉 등 지정 의료기관에서 진료와 검사(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를 시행한다.
○ 진단검사체계 개편은 오미크론 우세지역인 광주, 전남, 평택, 안성에서 1월 26일 우선 시범적용하고, 전국 확대를 추진한다.
< 선별진료소 검사대상 및 검사방법 관련 그림 붙임 참고>
< PCR 우선순위 대상자(안) >
구분 |
내 용 |
확인방법 |
60세 이상 |
감염 시 위중증 우려가 높은 고령층 |
신분증 |
역학적 연관자 |
보건소에서 밀접접촉 등의 이유로 PCR검사를 |
PCR검사 요청 안내 문자 |
의사소견자 |
진료 과정에서 의사가 코로나19 검사가 필요하다고 소견서를 작성해 준 환자 |
의사소견서 |
감염취약시설 선제검사대상 |
감염취약시설 종사자 |
재직 관련 증명서류 |
신속항원검사 양성자 |
병·의원(호흡기클리닉 등) 및 선별진료소 신속항원검사, 자가 검사에서 양성이 확인된 자 |
양성결과가 나온 검사키트 |
□ 확진자·밀접접촉자 관리기준 변경
○ 오미크론 변이의 특성을 반영하여, 예방접종력 여부, 증상 유무를 고려하여 확진자·접촉자의 격리기간을 변경하여 1월 26일부터 전국에 적용한다.
○ 확진자 격리기간은 예방접종완료자는 7일 격리하며, 미접종자 및 이외 접종자는 10일 격리한다.
* 해외입국자는 2.3일까지는 10일 격리기간 유지, 2.3일 이후 조치사항은 추후 발표 예정
○ 밀접접촉자 중 예방접종완료자는 수동감시, 미접종자 등은 7일 자가격리를 하며 모두 6∼7일차에 PCR검사를 시행한다.
< 확진자, 접촉자 격리기준 >
구분 |
예방접종 접종완료자 (3차 접종후 14일 경과 또는 2차 접종 후 90일 이하자) |
미접종 및 그 외 예방접종자 |
|
확진자 |
무증상 |
7일 격리 * 해당기간 동안 무증상 유지 |
10일 격리 |
유증상 |
7일 격리 * 발열없고, 임상증상 호전 |
10일 격리 |
|
밀접접촉자 |
수동감시 (6~7일차 PCR 검사) |
7일 격리 (6~7일차 PCR 검사) |
※ (공통) 7일 격리해제 시 3일간 주의 : KF94(또는 이와 동급) 마스크 상시 착용, 감염위험도 높은 시설(다중이용시설, 감염취약시설 등) 이용(방문) 제한 및 사적 모임 자제
□ 예방접종 지속 추진
○ 백신 접종은 오미크론 변이에도 여전히 가장 효과적인 대응 수단으로, ①감염 시 중증·사망 위험이 높으나 아직까지 접종에 참여하지 않으신 고령층 미접종자, ②2차접종 완료 후 3개월이 경과하여 3차접종 대상자께서는 적극적으로 접종에 참여하여 주실 것을 요청하였다.
○ 설 연휴가 시작되는 이번 주말부터 빠른 전파력을 가진 오미크론 변이의 유행과 사람 간 접촉증가로 확진자 폭증이 우려되므로, 고향 방문전에 3차접종을 받을 것을 당부하였다.
○ 1월 2주차 확진자에서 예방접종력에 따라 중증 진행을 평가한 결과 ‘3차접종 후 확진군’*은 ‘미접종자 확진군’에 비해 중증(사망 포함)으로 진행할 위험이 90.9%, ‘2차접종 후 확진군’도 ‘미접종자 확진군’에 비해 80.2% 낮게 나타났다.
○ 즉, ‘미접종자 확진군’의 중증화율은 ‘3차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11배, ‘2차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5배 높게 나타났다.
<1월 2주 기준 확진자 중 예방접종력에 따른 연령대별 누적 중증화율 위험도 비교 그림 붙임 참고>
□ 개인방역수칙 준수 강화, 마스크 권고 강화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오미크론 변이 확산 억제를 위해 국민 여러분들께서 생활 속 방역수칙을 지키고, 상황별 권고 마스크를 올바른 방법으로 착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방역수칙 및 올바른 마스크 착용) 일상생활에서 ▲KF94·KF80 마스크 착용하기, ▲30초 이상 비누로 손 씻기, ▲1일 3회 이상·회당 10분 이상 환기하기, ▲사적모임·외출·집단행사는 최소화하기 등 생활 속 방역수칙 준수가 요구된다.
- 오미크론 유행상황에서 마스크 착용은 개인이 지킬 수 있는 간편하고 효과적인 방역수칙인 만큼, 실내 또는 다중이 모이거나 2m 이상 거리두기가 어려운 실외에서는 마스크를 반드시 착용하고,
- 설 연휴 고향방문·여행으로 기차 또는 비행기 등 다중이 이용하는 교통수단에서 KF80 이상의 보건용 마스크 착용을 당부했다.
새로운 생활 속 방역수칙 |
|
1 |
미접종자는 기본접종하기, 2차 접종 유효기간 만료 전 3차 접종하기 |
2 |
올바른 마스크 착용으로 입과 코 가리기, 특히 감염위험시설(3밀 환경), 감염취약시설(요양시설)에서는 반드시 보건용마스크 착용하기 |
3 |
30초 비누로 손 씻기, 기침은 옷소매에 |
4 |
1일 3회 이상·회당 10분 이상 환기하고, 손이 많이 닿는 곳(가정 내 문고리, 스위치, 전화기)은 1일 1회 이상 소독하기 |
5 |
사적 모임의 규모와 시간은 최소화하기 |
6 |
아프면 검사 받고, 집에 머물며 고위험군(60세 이상, 기저질환자 등)을 만나지 말기 |
- 시설운영자께서도 다중의 손이 닿는 손잡이·문고리 등을 주기적 소독하여 시설 방역수칙을 지켜주실 것을 요청했다.
○ 또한, 마스크로 입과 코를 완전히 가리고 얼굴과 밀착해서 착용해야 하며, 마스크 가드 등 액세서리를 함께 사용하는 것은 권고하지 않는다.
* 한국소비자원, 마스크용 액세서리 실태조사 결과(’21.12.29.)
- 일상생활에서는 KF 80 이상의 보건용 마스크 또는 수술용·비말 차단용 마스크 착용을 권장하나,
- ?기저질환자* 등 코로나19 고위험군 또는 ?3밀 시설(밀집·밀접·밀폐), ?감염취약시설**을 방문하는 경우에는, 비말 차단율이 높은 KF94 또는 KF80 마스크 착용을 우선 권장한다.
* 심혈관질환, 당뇨, 만성 폐질환, 암, 뇌혈관질환, 면역저하, 비만, 천식 등
** 코로나19 고위험군이 주로 이용하는 시설(예. 요양병원·시설, 노인복지시설 등)
<상황별 권고 마스크>
상황 |
보건용 마스크 |
수술용 마스크 |
비말차단용 마스크 |
||
KF 94 |
KF 80 |
||||
의료 관련 상황 |
· 코로나19 환자를 돌보는 경우 |
필수 |
- |
- |
- |
· 호흡기 증상이 있는 경우 · 건강취약계층, 기저질환자* |
(우선) 권장 |
사용 가능 |
|||
생활 방역 상황 |
· 3밀시설(밀집·밀점·밀폐) 또는 |
(우선) 권장 |
사용 가능 |
||
· 타인 접촉이 잦은 직업군 · 실내 다중이용시설을 이용하는 경우 · 실외에서 2m(최소1m) 거리 유지가 |
권장 |
||||
* 심혈관질환, 당뇨, 만성 폐질환, 암, 뇌혈관질환, 면역저하, 비만, 천식 |
- 다만, 넥워머, 바라클라바 등 옷가지로 얼굴을 가리는 것은 마스크 착용으로 인정되지 않아 마스크 미착용에 따른 과태료 부과 대상이 된다.
2. 코로나19 주간 위험도 평가 |
○ 주간 위험평가 지표별 추이(※ 잠정통계로 향후 변동 가능)
구분 |
지표명 |
12월5주 (12.26.~1.1.) |
1월1주 (1.2.~1.8.) |
1월2주 (1.9.~1.15.) |
1월3주 (1.16.~1.22.) |
|||
대응역량 |
① 중환자실 병상 가동률(%) |
71.9 |
56.9 |
41.5 |
25.9 |
|||
|
수도권 |
75.2 |
58.5 |
43.5 |
26.8 |
|||
|
비수도권 |
66.1 |
53.8 |
37.5 |
24.9 |
|||
①-1 일평균 재원 위중증 환자 수(명) |
1,095 |
932 |
732 |
517 |
||||
② 의료대응역량 대비 발생 비율(%) |
71.4 |
35.1 |
35.3 |
34.4 |
||||
|
수도권 |
81.7 |
35.1 |
34.3 |
30.6 |
|||
|
비수도권 |
55.1 |
34.9 |
37.7 |
44.8 |
|||
③ 감염병전담병원 병상가동률(%) |
54.5 |
40.0 |
31.2 |
30.0 |
||||
|
수도권 |
56.4 |
39.3 |
27.7 |
23.7 |
|||
|
비수도권 |
52.8 |
40.8 |
34.9 |
36.8 |
|||
④ 생활치료센터 가동률(%) |
50.9 |
44.1 |
41.8 |
47.6 |
||||
|
수도권 |
53.7 |
46.1 |
44.0 |
51.1 |
|||
|
비수도권 |
45.0 |
39.7 |
37.2 |
40.9 |
|||
⑤ 재택치료 의료기관 가동률(%) |
- |
- |
33.0 |
34.5 |
||||
|
수도권 |
- |
- |
34.2 |
35.1 |
|||
|
비수도권 |
- |
- |
30.1 |
33.3 |
|||
⑤-1 재택치료자 비율(%) |
65.9 |
59.7 |
52.8 |
57.5 |
||||
⑥ 방역망 내 관리 비율(%) |
36.6 |
36.3 |
31.8 |
28.6 |
||||
발생 |
⑦ 주간 사망자 수(명) |
449 |
361 |
295 |
248 |
|||
⑧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수(명) |
565 |
440 |
309 |
225 |
||||
⑧-1 중증화율(%) |
(9월)1.53, (10월)2.11, (11월)2.95, (12월)2.01 |
|||||||
⑨ 주간 입원환자 수(명) |
3,670 |
2,970 |
3,022 |
4,070 |
||||
⑩ 주간 일평균 확진자 수(명), 국내 |
4,644 |
3,506 |
3,529 |
5,160 |
||||
|
수도권 |
3,267 |
2,460 |
2,399 |
3,370 |
|||
|
비수도권 |
1,377 |
1,046 |
1,130 |
1,790 |
|||
⑩-1 주간 일평균 확진자 수(명), 해외유입 |
101 |
174 |
325 |
311 |
||||
⑩-2 주간 일평균 발생률(인구10만 명당), 국내 |
9.0 |
6.8 |
6.8 |
10.0 |
||||
|
수도권 |
12.5 |
9.4 |
9.2 |
12.9 |
|||
|
비수도권 |
5.3 |
4.1 |
4.4 |
6.9 |
|||
⑪ 60세 이상 확진자 비율(%) |
21.0 |
16.6 |
12.6 |
9.5 |
||||
⑪-1 주간 60세 이상 확진자 수(명) |
6,831 |
4,075 |
3,124 |
3,424 |
||||
⑫ 18세 이하 확진자 비율(%) |
25.1 |
25.0 |
25.3 |
26.4 |
||||
⑫-1 주간 18세 이하 확진자 수(명) |
8,166 |
6,125 |
6,240 |
9,536 |
||||
⑬ 확진자 중 미접종자(1차접종포함) 비율(%) |
30.5 |
30.7 |
29.1 |
- |
||||
⑭ 감염재생산지수(Rt) |
0.86 |
0.82 |
0.92 |
1.18 |
||||
⑮ 검사양성률(%) |
2.45 |
1.88 |
2.19 |
2.88 |
||||
예방 접종 |
⑯ 2차 접종률(%) |
83.0 |
83.7 |
84.7 |
85.3 |
|||
⑯-1 3차 접종률(%) |
35.9 |
40.2 |
44.9 |
48.6 |
||||
⑰ 60세 이상 2차 접종률(%) |
93.0 |
94.8 |
95.1 |
95.2 |
||||
⑱ 60세 이상 3차 접종률(%) |
77.2 |
80.7 |
83.1 |
84.6 |
||||
⑲ 예방접종효과(2차 접종완료군) *12월 5주 기준 |
감염 예방효과 58.2% |
위중증 예방효과 91.2% |
사망 예방효과 87.7% |
|||||
오미크론 |
⑳ 오미크론 검출률(%), 국내 |
4.0 |
12.5 |
26.7 |
50.3 |
|||
⑳-1오미크론 검출률(%), 해외유입 |
69.5 |
88.1 |
94.7 |
97.5 |
||||
오미크론 치명률(%), 전체 |
0.16 (연령표준화) |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월 3주차(1.16.~1.22.) 주간 위험도 평가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중환자실 병상가동률은 중환자 병상 확충 및 위중증 환자 감소 등으로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단계적 일상회복 시작 직전(10월 4주차) 대비 전국 및 수도권은 매우 낮은 수준이나 비수도권은 높은 수준이다.
* 수도권: (1.2주) 43.5% → (1.3주) 26.8%(-16.7%p)
* 비수도권: (1.2주) 37.5% → (1.3주) 24.9%(-12.6%p)
* 10.4주: (전국) 42.1%, (수도권) 55.4%, (비수도권) 21.1%
- 의료대응역량 대비 발생의 경우, 병상 확충에 따라 감당가능 확진자 수가 증가하여 전국, 수도권은 감소하였으나 비수도권은 뚜렷한 증가세가 확인되었다.
* 수도권: (1.2주) 34.3% → (1.3주) 30.6%(-3.7%p)
* 비수도권: (1.2주) 37.7% → (1.3주) 44.8%(+7.1%p)
- 오미크론 확산으로 인해 발생이 증가하며 재택치료자 비율 및 재택치료 의료기관 가동률도 증가하였다.
* 재택치료 의료기관 가동률: (1.2주) 33.0% → (1.3주) 34.5%(+1.5%p)
* 재택치료자 비율: (1.2주) 52.8% → (1.3주) 57.5%(+4.7%p)
○ 발생지표의 경우 오미크론 확산으로 인해 전반적인 발생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비수도권은 11월 3주 주간 일평균 발생률(인구 10만 명당)이 2.2명이었으나 1월 3주 7.0명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 주간 일평균 확진자: (1.2주) 3,529명 → (1.3주) 5,160명(+1,631명)
* 주간 일평균 발생률(인구 10만 명당): (1.2주) 6.8명 → (1.3주) 10.0명
- 3차 접종 확대에 따라 60세 이상 비율은 지속 감소하고 있으나 18세 이상 확진자 비율은 전 주 25.3%에서 1월 3주차에 26.4%로 증가하였다.
* 60세 이상 확진자 비율: (1.2주) 12.6% → (1.3주) 9.5%(-3.1%p)
- 입원환자는 큰 폭으로 증가하였고, 위중증 및 사망자는 4주 연속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 주간 입원환자 수: (1.2주) 3,022명 → (1.3주) 4,070명(+1,048명)
*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수: (1.2주) 309명 → (1.3주) 225명(-84명)
* 주간 사망자 수: (1.2주) 295명 → (1.3주) 248명(-47명)
○ 국내 오미크론 검출률은 처음으로 50% 이상을 넘어서며 급속하게 우세화 되는 양상이다.
* 국내 오미크론 검출률: (1.2주) 26.7% → (1.3주) 50.3%(+23.6%p)
○ 일상회복지원위원회 방역의료분과위원회에서는 1월 3주 코로나19 주간 위험도에 대해 다음과 같은 의견이 제시되었다.
-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종화되면서 확진자 수 증가에도 대응역량의 여유가 유지되는 상황이나, 진단검사 및 역학조사 대응 역량 부족이 우려되며,
- 오미크론 변이 확진자도 재택치료가 가능해짐에 따라 재택치료 환자가 증가하고, 입원환자 수 및 생활치료센터 입소자는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현재 오미크론 변이로 인한 유행 확산이 시작되어 적극적인 대응 및 방역패러다임 전환이 요구되는 상황임을 강조하였으며,
- 연령대별 접종률 속도가 낮은 집단에 맞춰 접종 독려 방안을 점검하고, 진단검사 우선순위 변화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할 것을 제안하였다.
○ 종합적인 위험도 평가 결과, 전국, 수도권, 비수도권 모두 높음 단계로,
- 국내 오미크론 검출률이 50%를 기록하며 급속하게 우세화되는 양상으로 환자 발생이 본격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하였고, 설 연휴 모임 증가에 따라 발생이 급증할 위험이 있다고 밝혔다.
<종합평가 결과 – 1월 3주차>
구분 |
11월 1주 (10.31.~) |
11월 2주 (11.7.~) |
11월 3주 (11.14.~) |
11월 4주 (11.21.~) |
12월 1주 (11.28.~) |
12월 2주 (12.5.~) |
12월 3주 (12.12.~) |
12월 4주 (12.19.~) |
12월 5주 (12.26.~) |
1월 1주 (1.2.~) |
1월 2주 (1.9.~) |
1월 3주 (1.16.~1.22.) |
전국 |
매우낮음 |
낮음 |
높음 |
매우높음 |
매우높음 |
매우높음 |
매우높음 |
매우높음 |
매우높음 |
중간 |
중간 |
높음 |
수도권 |
중간 |
중간 |
매우높음 |
매우높음 |
매우높음 |
매우높음 |
매우높음 |
매우높음 |
매우높음 |
중간 |
중간 |
높음 |
비수도권 |
매우낮음 |
매우낮음 |
중간 |
중간 |
중간 |
매우높음 |
매우높음 |
높음 |
중간 |
낮음 |
중간 |
높음 |
3.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 |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최근 1주간(’21.1.16.~1.22.) 일평균 재원중인 위중증 환자 수(517명)는 지난해 말까지 1천명대를 기록 후 꾸준히 감소하여 8주 만에 500명대로 내려왔고, 사망자 발생(248명)은 전주 대비 47명 감소하였다고 밝혔다.
* 주별 일평균 재원중인 위중증 환자 규모 : (12월4주) 1,054명 → (12월5주) 1,095명 → (1월1주) 932명 → (1월2주) 732명 → (1월3주) 517명
* 주간 사망 환자 수 : (12월4주) 532명 → (12월5주) 449명 → (1월1주) 361명 → (1월2주) 295명 → (1월3주) 248명
* 가용 중환자실 : (12월4주) 257개 → (12월5주) 543명 → (1월1주) 773명 → (1월2주) 1,036명 → (1월3주) 1,504명
○ (연령군별 사망자 수) 1월 3주 사망자 수는 60대 이상 연령군이 236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95.2%), 40~50대가 12명(4.8%)이었다.
- (사망자 접종현황) 최근 5주간 사망자 1,885명 중 백신 미접종자 및 1차 접종자는 62.4%(1,176명)를 차지하였고, 2차 접종자는 30.1%(567명), 3차 접종자는 7.5%(142명)이었다.
- (60대 이상 사망자 접종현황) 최근 5주간 60대 이상 사망자 1,767명 중 백신 미접종자 및 1차 접종자는 60.8%(1,074명), 2차 접종자는 31.5%(556명), 3차 접종자는 7.8%(137명)이었다.
- (입원대기 중 사망*) 최근 5주간 사망자 1,885명 중 병상 배정 중 사망자는 1.2%(22명) 이었다.
* 확진 이후 격리병상 입원 전 의료기관이 아닌 자택 등(요양원 포함)에서 사망한 경우
- (기저질환) 1월 3주 사망자 중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는 204명(82.3%), 조사중이 44명(17.7%)이었다.
<최근 5주간 연령군별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 연령군별 사망자수 그림 붙임 참고>
<주차별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현황 그림 붙임 참고>
□ 최근 1주간(1.16.~1.22.) 코로나19 국내 발생 신규환자는 일평균 5,160명(국내 발생 36,120명)으로 전주(일평균 3,529명) 대비 46.2%(1,631명) 급증하여 전국적으로 가파른 확산세를 보이고 있다.
○ 수도권은 최근 1주간 일평균 3,370명(전체 환자 수 23,587명)으로, 전주(일평균 2,399명) 대비 40.5% 증가하였다.
○ 비수도권은 최근 1주간 일평균 1,790명(전체 환자 수 12,533명) 발생하여 전주(일평균 1,130명) 대비 58.4% 증가하였다.
○ 주간 감염재생산지수(Rt)는 전주대비 0.26 상승하여 전국 1.18로 유행세로 전환되었으며, 수도권은 1.16, 비수도권은 1.27이었다.
* 전국 Rt : 0.86(12월5주) → 0.82(1월1주) → 0.92(1월2주) → 1.18(1월3주)
○ 해외유입 사례는 일 평균 311명(총 2279명)으로 전주 대비(325.1명) 4.2% 감소하였다.
< 전국/수도권/비수도권(’20.10.31.~’22.1.22.) 관련 그림 붙임 참고>
○ (연령군) 전주 대비 모든 연령대에서 인구 10만명당 주간 일평균 발생률이 증가하였고, 0~9세(17.2명)·10~19세(18.8명)연령군에서 높은 발생률을 보이고 있다.
- (60대이상) 전주대비 확진자 수는 소폭 증가하였으나(3,124명→3,424명), 전체 확진자 중 비중은 감소세를 유지하여 9.5%를 차지하고 있다.
< 전국 연령별 일평균 발생률(1.22. 0시 기준) >
구분 |
계 |
0-9세 |
10-19세 |
20-29세 |
30-39세 |
40-49세 |
50-59세 |
60-69세 |
70-79세 |
80세이상 |
|
12월 4주 (12.19.~12.25.) |
환자수 |
42,708 |
5,421 |
4,600 |
4,363 |
5,670 |
6,007 |
5,769 |
7,205 |
2,548 |
1,125 |
일평균발생률 |
11.8 |
20.6 |
14.0 |
9.4 |
12.0 |
10.5 |
9.5 |
14.4 |
9.8 |
7.6 |
|
12월 5주 (12.26.~1.1.) |
환자수 |
32,507 |
4,585 |
3,791 |
3,575 |
4,591 |
4,826 |
4,308 |
4,522 |
1,513 |
796 |
일평균발생률 |
9.0 |
17.4 |
11.5 |
7.7 |
9.8 |
8.4 |
7.1 |
9.0 |
5.8 |
5.4 |
|
1월 1주 (1.2.~1.8.) |
환자수 |
24,545 |
3,309 |
3,046 |
3,216 |
3,802 |
3,934 |
3,163 |
2,633 |
908 |
534 |
일평균발생률 |
6.8 |
12.6 |
9.2 |
6.9 |
8.1 |
6.9 |
5.2 |
5.2 |
3.5 |
3.6 |
|
1월 2주 (1.9.~1.15.) |
환자수 |
24,701 |
3,068 |
3,617 |
4,559 |
3,836 |
3,842 |
2,655 |
1,880 |
709 |
535 |
일평균발생률 |
6.8 |
11.7 |
11.0 |
9.8 |
8.2 |
6.7 |
4.4 |
3.7 |
2.7 |
3.6 |
|
1월 3주 (1.16.~1.22.) |
환자수 |
36,120 |
4,518 |
6,187 |
7,310 |
5,428 |
5,547 |
3,706 |
1,944 |
774 |
706 |
일평균발생률 |
10.0 |
17.2 |
18.8 |
15.7 |
11.5 |
9.7 |
6.1 |
3.9 |
3.0 |
4.8 |
*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 = (확진자수)/(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21.12월 기준) × 100,000(명)
- (학령기 연령군) 전주대비 모든 연령군에서 일평균 발생률은 증가하였고, 특히 18세 연령군에서 2.6배 이상 큰 폭으로 증가 하였다.(14.5명→38.1명)
< 학령기 연령군별 일평균 발생률 추이 그림 붙임 참고>
○ (감염경로) ’소규모 지역사회 접촉‘(47.1%, 18,030명) 및 ‘조사 중 비율’(35.2%, 13,499명)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 최근 4주간 감염경로(’21.12.26.~1.22.)>
구 분(명,%) |
12월 5주차 (12.26.~1.1.) |
1월 1주차 (1.2.~1.8.) |
1월 2주차 (1.9.~1.15.) |
1월 3주차 (1.16.~1.22.) |
||||
전체 |
33,211 |
(100) |
25,762 |
(100) |
26,974 |
(100) |
38,299 |
(100) |
지역사회 접촉 |
16,305 |
(49.1) |
12,040 |
(46.7) |
11,073 |
(41.1) |
18,030 |
(47.1) |
지역 집단발생 |
5,049 |
(15.2) |
3,956 |
(15.4) |
5,733 |
(21.3) |
4,551 |
(11.9) |
해외유입 |
704 |
(2.1) |
1,217 |
(4.7) |
2,273 |
(8.4) |
2,179 |
(5.7) |
해외유입 관련 |
18 |
(0.1) |
36 |
(0.1) |
36 |
(0.1) |
40 |
(0.1) |
조사중(미분류) |
11,135 |
(33.5) |
8,513 |
(33.0) |
7,859 |
(29.1) |
13,499 |
(35.2) |
○ (집단발생) 신규 집단발생은 총 68건으로 사업장 19건, 교육시설 19건, 다중이용시설 16건, 의료기관/요양시설 6건, 종교시설 3건, 가족/지인모임 2건, 기타 1건이 발생하였다.
□ (외국인 발생현황) 외국인 확진자 발생 비중은 8.2%(2,958명)로 전주대비 6%p를 감소하였다.
<주차별 외국인 확진자 발생 추이 그림 붙임 참고>
□ (변이바이러스 검출현황) 국내감염 사례의 오미크론형 변이 검출률은 50.3%(2,895건)*로 우세종이 되었고, 해외유입 사례도 대부분 오미크론형 변이(97.5%, 1,935건)로 확인되었다.(1.22. 0시 기준)
* (오미크론) 국내 26.7%(1월 2주) → 50.3%(1월 3주)
< 국내감염 주요 변이바이러스 분석률 및 검출률(1.22. 기준) >
구분 |
분석주차 |
분석 건수 |
분석률 (%) |
주요 변이 |
델타형 |
오미크론형 |
|||
건 |
검출률(%) |
건 |
검출률(%) |
건 |
검출률(%) |
||||
국내 |
12월5주 |
6,511 |
18.4 |
6,511 |
100.0 |
6,253 |
96.0 |
258 |
4.0 |
22년1월1주 |
4,900 |
18.3 |
4,900 |
100.0 |
4,288 |
87.5 |
612 |
12.5 |
|
22년1월2주 |
4,933 |
21.2 |
4,933 |
100.0 |
3,617 |
73.3 |
1,316 |
26.7 |
|
22년1월3주 |
5,760 |
18.5 |
5,760 |
100.0 |
2,865 |
49.7 |
2,895 |
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