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산업통상자원부]「2021 대한민국 기술사업화 대전」 개최

btn_textview.gif

2021 대한민국 기술사업화 대전개최
기술의 가치, 연대와 협력으로 높이다
 

대기업, 공기업, 대학, 공공연 기술나눔 참여협약 체결
기술사업화 기업과 투자기관 간 550억원 규모 투자협력식 체결
기술사업화 유공자 포상, BM경진대회, 기술상담회 등 병행 개최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21.11.25() COEX 2층 아셈홀에서 기술사업화 주체 연대와 협력강화하는 성과확산의 장으로 2021 대한민국 기술사업화 대전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기술사업화 대전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주관하는 연례행사로, 기술이전과 사업화 관련 활동성과를 공유하기 위해 2013년 첫 개최 이후 올해로 9번째 맞는 행사이다.
 

ㅇ 금번 행사는 기술의 가치, 연대와 협력으로 높이다를 슬로건으로 기술공급자*, 기술수요자**, 기술중개자***VC·은행과 같은 투자·금융기관 등 다양한 기술사업화 주체들이 연대와 협력을 통해 그간 기술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활동들을 돌아보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 모색하는 자리를 가졌다.
 

* 대학(산학협력단, 지주회사), 연구소(출연연, 전문연 등), 대기업·공기업 등
 

** 대기업, 중소·중견기업, 스타트업 등
 

*** 공공연 기술이전전담조직(TLO), 테크노파크, 사업화전문회사, 기술거래기관, 기술거래사, 액셀러레이터 등
<기술사업화 주체간 연대와 협력의 체계도>
 

(연대) 우선 기술나눔 확대를 위한 참여자 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기존 기술나눔에 참여하던 대기업·공기업뿐만 아니라 새롭게 대학·공공연으로 기술나눔 참여확대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대기업에서는 LS일렉트릭*SK 그룹**·중소 동반성장을 지속 실천하기 위해 이번 기술나눔 협약식에 참여하였다.
 

* LS일렉트릭 : ’15년부터 기술나눔 지속 참여, ’21년도 하반기 기술나눔 참여
 

** SK 그룹 : ’20년 기술나눔에 처음 참여, ’22년 기술나눔 참여 예정
 

공기업에서는 에너지 공기업 5개사*가 올해 기술나눔을 실시했고, 이 중 올해 기술나눔에 처음으로 참여한국가스공사한국서부발전협약식참석하였다.
 

* 한국가스공사, 한국서부발전,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수자원공사, 한전원자력연료
 

대학에서는 한양대학교한국산업기술대학교, 공공연에서는 한국생산기술연구원한국자동차연구원 등 총 4개 기관이 내년부터 기술나눔참여키로 결정하여, 앞으로 공공기술의 나눔 활성화보탬이 될 예정이다.
 

(협력) 또한 산업부의 스케일업 기술사업화 프로그램* 참여 기업투자기관 기술사업화 투자협력식체결하여 사업의 성과제고와 신산업 분야 민간투자 확산을 도모하였다.
 

* 스케일업 기술사업화 : 1단계 BM기획(0.6억원/9개월) 2단계 R&D(10억원/2년간)
(2단계 신청 자금 대비 70%이상 민간 투자유치 필수)
 

ㅇ 기술사업화를 추진하는 기업들이 투자기관들을 통해 550여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함으로써 기술사업화속도를 낼 전망이다.
 

’21년 스케일업 기술사업화 프로그램 투자유치 현황
연번
분야
기업명
기업유형
투자기관
투자금액
(억원)
1
전기·
전자
제이쓰리
중소기업
KB증권,
유안타인베스트먼트 등 다수
150
2
전기·
전자
테토스
중소기업
케이투인베스트먼트
15
3
정보
통신
이큐브랩
중소기업
오픈워터인베스트먼트
50
BSK인베스트먼트
5
4
정보
통신
에스씨솔루션글로벌
중소기업
비에이파트너스
31
5
정보
통신
레신저스
중소기업
포스코기술투자
20
6
정보
통신
이랑텍
중소기업
중소기업은행
10
7
정보
통신
이지스로직
중소기업
임팩트파트너스
7
8
지식
서비스
푸드팡
중소기업
중소기업은행
10
9
기계·
소재
젠트로피
중소기업
베터그라운드
25
10
기계·
소재
링크솔루션
중소기업
오픈워터인베스트먼트
5
케이오씨파트너스
2
11
바이오·
의료
메디허브
중소기업
PGS파트너스
20
12
바이오·
의료
도터
중소기업
케이앤투자파트너스
20
13
바이오·
의료
헬스맥스
중소기업
제이씨파트너스
20
14
바이오·
의료
헬스허브
중소기업
아주아이비투자
12
15
바이오·
의료
오토텔릭바이오
중소기업
중소기업은행
10
16
바이오·
의료
에스
엔비아
중소기업
BSK인베스트먼트
10
17
바이오·
의료
이노파마스크린
중소기업
엠벤처투자
10
18
바이오·
의료
휴벳
중소기업
마그나인베스트먼트
10
19
바이오·
의료
진씨커
중소기업
프렌즈투자파트너스
50
20
바이오·
의료
아울바이오
중소기업
인라이트벤처스
5
21
화학
티에프
제이글로벌
중소기업
SBI인베스트먼트
30
KB인베스트먼트
20
투자건수 24, 투자금액 547억원(기업 21, 투자기관 22)
547
 

한편, 기술사업화 유공자 시상식에서는 기술이전·거래, 기술사업화, 기술나눔, 정책금융, 녹색인증, 산업 디지털전환 등 총 6개 분야에서 크게 기여한 개인단체산업부 장관상 40수상하였다.
 

 

< 기술사업화 유공자 사례 >
 

 

 

 

 

 

 

 

 

사례1: 피엠그로우는 폐기되는 ESS(에너지저장장치) 배터리를 재사용하여 전기상용차용 배터리 운영 시스템을 개발했다. 동 시스템을 국내 전기버스에 적용하는 사업화에 성공하고 이를 통해 탄소저감을 실천함
 

사례2: 에이올코리아는 장기임대 아파트의 다기능 복합 환기시스템 기술혁신에 성공하여 사업화를 이뤄낸 결과, 26,000세대 공공임대 주택에 적용되었고, 이를 통해 국민 주거 환경을 개선함
 

 

이와 더불어, 국가기술은행*에 등록공공기술 기반으로 기술사업화 대학원생비즈니스 모델(BM) 경진대회를 개최하여 우수 사업화 팀을 시상하는 ‘BM 경진대회도 함께 개최하였다.
 

* 국가기술은행(NTB) : www.ntb.kr
 

ㅇ 올해 BM경진대회는 인공지능, 블록체인 등 디지털 분야의 기술활용하여 사업화 아이디어를 현장에서 발표하고 온라인 투표를 통해 10개팀을 시상하였다.
 

그밖에 부대행사로는 기술사업화 혁신포럼, 기술이전·사업화 우수성과 발표 및 상담회, 디지털 기술이전·그린뉴딜·혁신기술과 관련된 기술사업화 설명회 등을 ·오프라인병행해 개최하였다.
 

기술사업화 혁신 포럼에서는 디지털 전환, 탄소중립, ESG 등 급변하는 환경변화에 따른 우리 기업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각 분야 전문가들이 연사*로 나서 강연토크콘서트를 진행했다.
 

* (강연) 한국경제산업연구원 김광석 실장, 중앙대 김상윤 교수, 이노마드 박혜린 대표
(토크콘서트) SK에너지 이재호 부사장, N15 류선종 대표
 

ㅇ 또한, 공식 홈페이지* 25개 기업이 참여하는 3D 방식의 온라인 가상 전시관을 개설해 R&D재발견프로젝트, 사업화연계기술개발사업, 혁신조달, 기술나눔 등의 기술사업화 우수성과전시·홍보하였다.
 

* 2021 대한민국 기술사업화 대전 공식 홈페이지 : www.koreatechcom.co.kr
 

< 3D 온라인 전시관 모습 >
 

행사에 참석한 산업부 김상모 산업기술융합정책관패러다임 대전환기에 직면한 우리 경제는 속도감 있게 디지털 전환탄소중립 실현하기 위해 미래형 산업구조로 바꿔나가야 한다라고 밝히며,
 

기술사업화 주체들이 연대와 협력을 통해 활용가능한 모든 자원을 신속하게 확보하고 적용해 사업화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미래 혁신성장의 엔진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강조하였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알파 베이직 젯소 500ml
칠성상회
3M 전자계산기 SJC-830P
바이플러스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