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농림축산식품부]신(新)식품 제조, 국산 소재화 기술 등 미래 유망 식품분야 연구개발(R&D) 강화

btn_textview.gif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우리 식품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농업과 식품산업간 상생 활성화를 뒷받침하기 위해 ’24년 미래 유망 식품 분야 41개 신규과제에 대한 연구개발(R&D)을 지원한다.

 

  ’24년 총 122억원 규모의 예산이 지원되는 식품 분야 신규 연구개발 과제는 최근의 식품기술 동향과 전문가 및 기업의 수요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선정된 지정공모과제’(24, 75억 원)와 창업 초기부터 규모확대 단계(스케일업)까지 기업 성장단계별 다양한 기업이 참여할 수 있는 자유공모과제’(17, 47억 원)로 구성되며, 선정된 연구과제에 대해서는 최대 4년간 총 550억원 규모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다. 붙임 참고

 

  분야별로는 대체기능성 식품, 질환관리식 등 신()식품 제조기술 분야에 18개 과제 53억 원이 투입되며, 냉해동살균 자동화 등 식품 품질과 안전관리 기술 분야에 6개 과제 15억 원, 식품 제조 부품설비 국산화 및 국산 소재화 등 가공기술 고도화 분야에 14개 과제 37억 원, 식물성 대체식품식품로봇 등 해외 연구소대학기업 등과 공동연구가 필요한 분야에 3개 과제 17억 원을 지원한다.

 

  특히, 가공기술 고도화 분야에는 가루쌀 제분기술 등(3개 과제, 7억 원) 가루쌀의 활용도 제고 및 쌀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연구개발도 포함된다.

 

  신규과제 공고는 119일부터 221일까지, 과제 접수는 25일부터 221일까지 진행되며, 자세한 내용은 농식품부 및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누리집,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IRIS, www.iris.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농식품부 양주필 식품산업정책관은 케이(K)-푸드 산업의 경쟁력은 식품 연구개발(R&D)의 성과와 혁신성에 달려 있다.”라고 하며, “역량있는 식품기업과 연구자들이 식품 연구개발(R&D)에 많이 참여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붙임 고부가가치식품기술개발(R&D) 신규과제 개요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
바르네 풀테이프 BGT-0180(8.4mmX12m) 본품 랜덤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