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보건복지부]오미크론 검사·치료체계 빠르게 안착 중

btn_textview.gif

오미크론 검사·치료체계 빠르게 안착 중

- 오늘(2.16.)부터 재택치료키트 우체국(집배원)을 통해 배송 -
- 오늘(2.16.)부터 모든 동네 약국에서 처방의약품(팍스로비드 먹는 치료제 제외)을 조제·전달 가능하고, 먹는치료제는 지정된 담당약국이 조제·전달 -
- 많은 동네 병·의원이 코로나 검사와 치료에 동참으로, 전화상담·처방 의료기관 4,855개소, 24시간 의료상담센터 192개소 운영 중 -
- 재택치료 행정상담을 위해서도 지자체별로 행정안내센터 확대 운영 중 -
- 재택치료 관련 의료기관 및 약국의 명단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누리집 등을 통해 확인 가능 -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본부장: 국무총리 김부겸)는 오늘 본부장 주재로 정부세종청사 영상회의실에서 각 중앙부처, 17개 광역자치단체, 18개 시․도 경찰청과 함께 ▲ 우체국 재택치료키트 배송 지원방안 ▲주요 지자체 코로나19 현황 및 조치사항 등을 논의하였다.

 

1. 오미크론 대응 코로나19 검사 및 치료체계 현황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는 「오미크론 대응체계 전환 현황」을 논의하고, 진단검사와 재택치료체계 개편 이행 상황을 점검하였다.

【병·의원 검사·치료체계 전환】

□ 동네 병·의원 검사·치료 체계 전환(2.3.)으로 유전자증폭검사(이하 ‘PCR 검사’) 우선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일반 국민은 호흡기전담클리닉 및 호흡기 진료 지정 의료기관(동네 의원)에서 신속항원검사*를 받을 수 있다.

   * 신속항원검사는 개인이 약국 등에서 자가검사키트(일반용)를 구매하여 실시하거나, 의료기관(호흡기전담클리닉 및 호흡기진료 지정의료기관) 및 보건소 선별·임시선별검사소에서 검사 가능

 ○ 2월 15일(17시 기준) 기준 호흡기전담클리닉은 436개소, 호흡기 진료 지정 의료기관(동네 의원)은 4,023개소로 2월 3일 본격 시행 이후 10여 일 만에 4,459개소로 증가하였다.

   - 참고로 호흡기전담클리닉 및 진료 지정 의료기관(동네의원) 명단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누리집, 코로나19 누리집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재택치료체계 개편】

□ 정부는 오미크론의 특성 및 무증상·경증 환자 다수 발생에 대비, 재택치료 관리 여력을 지속 확대해나가고 있다.

○ 재택치료자 집중관리군 대상 건강관리(1일 2회)를 위한 관리의료기관은 현재 685개소(2.16.0시)로 20만명 이상의 집중관리군을 관리할 수 있는 역량이다.
○ 재택치료자 일반관리군은 자택에서 발열 등 증상이 있을 경우 동네 의료기관에서 전화 상담·처방을 받을 수 있다.

  - 전화상담·처방이 가능한 동네 의료기관의 참여도 증가하여 전국 4,855개소(호흡기전담클리닉 포함)가 운영되고 있다. (2.16일 기준)

  - 이외 24시간 운영되는 재택치료 의료상담센터도 192개소 운영되고 있다. (2.16일 기준)

  - 재택치료자 전화 상담·처방 의료기관 등 명단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및 일부 지자체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 한편, 대면진료가 가능한 단기외래진료센터* 명단도 2월 11일부터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및 일부 지자체 누리집에서 공개하고 있다.
  
  * 재택치료 중 필요한 경우 검사, 처치, 수술, 단기입원 등 대면진료가 가능한 의료기관(2.16일 기준 79개소)

  - 따라서 재택치료 중 필요시 대면진료를 원하는 국민들은 해당 의료기관 명단을 확인하고 이용할 수 있다.

○ 아울러, 재택치료 생활안내, 격리해제일 등 행정적 문의 대응을 위한 재택치료 행정안내센터 241개소(2.16일 기준)가 각 지자체별로 운영되고 있다.

※ 의료상담 · 행정안내 일일 건수 (각 지자체 제출 자료 취합, 2.15.)

 

의료상담

총 계

진료 상담

진료 및 처방 상담

의료 외 상담

상담 건수

(비중)

16,403 (100.0%)

6,889(42.0%)

5,839(35.6%)

3,675(22.4%)

 

행정안내

총 계

격리해제 등 일반안내

외출 등 생활안내

진단키트 등 배송안내

진료 등 의료안내

기타

상담 건수

(비중)

24,628 (100.0%)

8,038(32.6%)

3,178(12.9%)

3,630(14.8%)

4,410(17.9%)

5,372(21.8%)

 

 


○ 오늘(2.16.)부터 전화상담·처방에 따른 의약품은 모든 동네 약국에서 조제·전달 받을 수 있게 된다.

  - 단, 먹는 치료제(팍스로비드)는 시군구에서 지정하는 별도의 담당약국을 통해 조제·전달 받을 수 있다.

  - 먹는 치료제를 조제·전달하는 담당약국의 명단(472개소)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및 일부 지자체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아울러, 오늘(2.16.)부터 재택치료대상자(집중관리군)에게 지급되는 재택치료키트 등을 적시에 배송하기 위해 우편서비스 체계를 활용한다.

  - 그간 보건소에서 공무원이 직접 또는 퀵서비스 등 배송업체를 활용하여 배송하여 온 것에서,

  - 집배원을 통해 재택치료키트 등을 책임있게 배달하며, 배달완료 즉시 당사자에게 문자, SNS 통보하여 적시 수령 가능하도록 한다.

  - 참고로 재택치료키트 등은 집배원 안전을 위해서 비대면 배달을 원칙으로 한다.

 


2. 주요방역지표 현황


【병상】
□ 2월 16일(수) 0시 기준, 코로나19 치료 병상은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병상 확충을 지속 추진 중에 있다.

 ○ 전체 병상 보유량은 46,049병상, 전일 대비 187병상이 감소되었다.

 ○ 병상 가동률은 위중증병상 27.0%, 준-중증병상 45.1%, 중등증병상 41.1%이다. 생활치료센터 가동률은 20.5%이다.

< 2.16. 0시기준 중등도별 병상 현황 > (단위 : 개, %)

 

 

구분

(, %)

위중증(危重症)

준중증(-重症)

중등증(中等症)병상

무증상·경증(輕症)

중환자 전담치료병상

-중환자병상

감염병 전담병원

생활치료센터

보유

(증감)

사용

(가동률)

가용

보유

(증감)

사용

(가동률)

가용

보유

(증감)

사용

(가동률)

가용

보유

(증감)

사용

(가동률)

가용

전국

2,655

716

1,939

3,086

1,391

1,695

19,877

8,171

11,706

20,431

4,192

16,239

(+36)

(27.0)

(+22)

(+34)

(45.1)

(-1)

(+131)

(41.1)

(+187)

(-388))

(20.5)

(-231)

수도권

1,881

499

1,382

2,324

991

1,333

9,566

3,797

5,769

12,553

2,852

9,701

(+8)

(26.5)

(+5))

(+0)

(42.6)

(-26)

(+0)

(39.7)

(-14)

(-388)

(22.7)

(-300))

 

중수본

0 

0 

0 

0

0 

0 

0

0 

0 

3,198

514

2,684

서울

629

161

468

523

232

291

4,102

1,639

2,463

5,224

1,258

3,966

경기

874

267

607

1,300

542

758

3,731

1,549

2,182

3,037

921

2,116

인천

378

71

307

501

217

284

1,733

609

1,124

1,094

159

935

비수도권

774

217

557

762

400

362

10,311

4,374

5,937

7,878

1,340

6,538

(+28)

(28.0)

(+17)

(+34)

(52.5)

(+25)

(+131)

(42.4)

(+201)

(+0)

(17.0)

(+69)

 

중수본

0

0

0

0

0

0

0

0

0

1,114

150

964

강원

63

16

47

36

15

21

695

320

375

499

48

451

충청권

161

47

114

172

92

80

2,440

905

1,535

617

69

548

호남권

187

43

144

193

101

92

2,706

983

1,723

754

116

638

경북권

154

49

105

112

68

44

2,126

1,084

1,042

1,596

201

1,395

경남권

187

62

125

237

124

113

1,999

974

1,025

2,861

588

2,273

제주

22

0

22

12

0

12

345

108

237

437

168

269

 
※ 증감은 전일 대비 변동량

 

○ 단계적 일상회복을 시작한 2021년 11월 1일과 비교하면, 총 14,024개의 병상이 확충되었으며, 세부적으로는 중환자 전담치료병상이 1,572개, 준-중환자 병상 2,631개, 감염병전담병원 9,821개이다.

 

< ’21년 11월 1일 이후 병상 확충 현황 > (단위 : 개)

 

 

구분

 

’21.11.1. (0)

’22.2.16. (0)

보유

사용

(가동률)

보유

사용

(가동률)

중증 병상

1,083

489

45.2%

2,655

(+1,572)

716

27.0%

 

수도권

667

390

58.5%

1,881

499

26.5%

비수도권

416

99

23.8%

774

217

28.0%

준중증 병상

455

182

60.0%

3,086

(+2,631)

1,391

45.1%

 

수도권

276

204

73.9%

2,324

991

42.6%

비수도권

179

69

38.5%

762

400

52.5%

감염병 전담병원

10,056

5,172

51.4%

19,877

(+9,821)

8,171

41.1%

 

수도권

4,655

3,265

70.1%

9,566

3,797

39.7%

비수도권

5,401

1,907

35.3%

10,311

4,374

42.4%

 

 

 

 

 


【입원대기】
□ 입원대기는 병상여력이 회복되면서 2021년 12월 29일 0명으로 해소된 이후 지속적으로 0명이다.

【신규입원·위중증 등】
□ 2월 16일(수) 0시 기준,

 ○재원 중인 위중증 환자는 313명(전일 대비 1명 감소)으로 2월 14일부터 3백 명 대를 유지 중이다.

    ※  단계적 일상회복 시점(’21.11.1.)의 위중증 환자 : 343명

 ○ 신규 사망자는 39명이고, 60세 이상이 35명(89.7%)이다.

 

 

구분

2.3.

2.4.

2.5.

2.6.

2.7.

2.8.

2.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입원

1,200

1,364

1,571

1,360

1,299

1,369

1,469

1,393

1,278

1,432

1,316

1,219

1,199

1,686

위중증

274

257

269

272

270

268

285

282

271

275

288

306

314

313

사망자

25

24

22

15

13

36

21

20

49

33

36

21

61

39

 

 

 

○ 고위험군인 60세 이상 확진자는 10,280명이고 전일 대비 4,308명 증가 하였다.

   - 국내발생 확진자(90,281명) 중 60세 이상 확진자의 비중은 11.4%이며, 최근 2주 상황을 보면 2월 5일 10%대(11.6%) 진입하여 10.5%~12.4% 사이를 유지하고 있다.

    ※ 단계적 일상회복 시점(’21.11.1.)의 60세 이상 확진자, 비중 : 514명, 30.9%

 ○ 국내 발생 확진자 중 18세 이하 확진자는 25,196명이고, 비중이27.9%로 20%대를 계속 유지하고 있다.

 

 

구분

2.3.

2.4.

0 Comments

3M 8997 폴리이미드 캡톤테이프 20mm x 32.9M
바이플러스
가정용 코팅기 KOLAMI-324 4롤러 A3 무소음 무기포
칠성상회
물고기 애벌레 원목 낚시놀이 장난감
칠성상회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