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산업통상자원부](설명자료)동해 심해 가스전은 금번에 처음으로 유망성 평가와 유망구조 도출이 완료된 것임

btn_textview.gif

동해 심해 가스전은 금번에 처음으로 유망성 평가와 유망구조 도출이 완료된 것임

보도 주요 내용>

6.5.() 시사인 호주 최대 석유개발회사, 영일만 가망 없다결론내렸다, 6.6.() 경향신문 유전 사업성 의문작년엔 탐사 철수에서는 ‘23.8호주 최대 석유개발회사 우드사이드의 반기 보고서를 인용하면서 우드사이드가 영일만 심해 탐사 사업이 더 이상 장래성이 없다고 판단(no longer considered prospective)하여 철수 의사를 밝혔다고 보도했습니다.

동 보도 내용에 대한 입장>

우드사이드1차 조광권(‘07.2~’16.12) 종료 이후, ‘19.4월에 재차 연장(~’29.4)하였음에도 불구, ’22.7월 철수 의향을 표시하고 ’23.1수하였는데, 이는 ‘22.6월 호주의 자원개발기업 BHP와 합병하면서 글로벌 해양 프로젝트 중심으로 기존에 추진되던 사업에 대한 전반적인 재조정 과정에서 이뤄진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석유·가스 개발과정은 물리탐사 자료 수집, 전산처리, 자료해석 과정을 거쳐 유망구조를 도출하고 탐사시추를 통해 부존여부를 확인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진행됩니다.

석유공사와 우드사이드’07년부터 15년간 물리탐사를 함께 진행해왔습니다. 그러나 우드사이드는 보다 정밀하고 깊이있는 자료해석을 통해 시추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전단계인 유망구조화 단계까지는 이르지 못하고 철수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따라서, 마치 우드사이드가 유망 구조에 대한 심층 평가를 통해 장래성이 없다고 결론을 내려 철수했다는 해석은 당시 제반사정을 고려할 때 사실관계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바, 보도에 신중을 기해 주시기 바랍니다.

석유공사는 그간 축적된 탐사자료, 우드사이드가 철수하면서 넘겨준 자료, 자체 추가 탐사자료 등을 ’23.2월 심해탐사 기술분석 전문기관인 트지오에 의뢰하여 자료해석을 진행하였고 액트지오는 자체적인 첨단기술과 노하우 등을 토대로 분석하여 금번에 새롭게 유망구조를 도출한 것입니다.

담당 부서

자원산업정책관

자원안보정책과

책임자

과 장

김재은

(044-203-5240)

담당자

사무관

김태우

(044-203-5242)

한국석유공사

홍보팀

책임자

팀 장

최범진

(052-216-2221)

담당자

차 장

박진영

(052-216-2222)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알파 베이직 젯소 500ml
칠성상회
3M 전자계산기 SJC-830P
바이플러스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