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질병관리청]7월3주 주간 확진자 발생 전주 대비 84.7% 증가 (7.26. 정례브리핑)

btn_textview.gif


7월3주 주간 확진자 발생 전주 대비 84.7% 증가 

- 여름 휴가철 방역관리 집중 추진 -




- 주요 내용 -


□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 및 위험도 평가

 ○ 주간 신규 확진자 일평균 60,697명(전주 대비 84.7%↑)

 ○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144명, 사망자 127명

 ○ 주간 위험도는 전국, 수도권, 비수도권 ‘중간’


□ 코로나19 변이감시 체계

 ○ 변이감시를 위한 표본감시 의료기관 63개소에서 150개소 확대

 ○ 국내 변이 유행현황, 신규변이 조기 탐지, 변이특성 분석 등 효율적인 모니터링을 지속 






 1.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 및 위험도 평가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는 7월3주 코로나19 주간 확진자가 전주 대비 84.7% 증가하여 일평균 6만명대 발생하였다고 밝혔다.


    * (6월5주) 5.9만 명 →(7월1주) 11.1만 명 →(7월2주) 23만 명 →(7월3주) 42만 명


 ○ 7월 3주(7.17.~7.23.) 주간 확진자 수는 424,877명, 주간 일평균 확진자수는 60,697명으로 전주 대비 84.7% 증가하였고, 감염재생산지수(Rt)는 1.54로 지난 주 1.58대비 다소 감소하였으나 4주 연속 1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그림> 최근 8주간 전국 확진자수 및 발생률* 추이(명)




<최근 8주간 주요 발생 지표>


구분

61

(5.29.~6.4.)

62

(6.5.~6.11.)

63

(6.12.~6.18.)

64

(6.19.~6.25.)

65

(6.26~7.2.)

71

(7.3~7.9.)

72

(7.10~7.16.)

73

(7.17~7.23.)

확진자수()

86,214

64,281

52,401

49,374

59,833

111,849

230,002

424,877

일 평균 확진자()

12,316

9,183

7,486

7,053

8,548

15,978

32,857

60,697

주간 일평균 발생률(10만 명당)

23.9

17.8

14.5

13.7

16.6

30.9

63.6

117.5

전 주 대비 확진자 발생 증가비

0.7

0.7

0.8

0.9

1.2

1.9

2.1

1.8

감염재생산지수(Rt)

0.74

0.79

0.86

0.91

1.05

1.40

1.58

1.54



 ○ 전주 대비 모든 연령대에서 일평균 발생률이 증가하였다.


  -  특히 예방접종률이 낮고 단체생활로 접촉빈도가 많은  10-19세(208.0명), 20-29세(167.7명), 0-9세(148.1명) 에서 발생률이 높았고, 80세이상(55.7명)은 전주 대비 2.1배의 증가세를 보였다.


 ○ 감염취약시설 발생과 집단 발생(6월 주간 평균 6건→7월 2주간 평균 19건) 증가 추세 영향으로 중증 위험이 높은 60세 이상 확진자의 규모와 비중은 모두 증가하였다.


   * 60세 이상 확진자수 : (6월5주) 8,205명 → (7월1주) 14,215명 → (7월2주) 30,308명 →  (7월3주) 60,917명

    ** 60세 이상 비율  : (6월5주) 13.7% → (7월1주) 12.7% → (7월2주) 13.2% → (7월3주) 14.2%




<성별·연령별 발생 현황(명, %)>


구분

71

72

73

누적 발생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발생률

111,849

(100.0)

30.9

230,002

(100.0)

63.6

424,877

(100.0)

117.5

19,146,180

(100.0)

37,077

성별

남성

52,564

(47.0)

29.2

107,018

(46.5)

59.4

196,761

(46.3)

109.2

8,998,006

(47.0)

34,948

여성

59,285

(53.0)

32.7

122,984

(53.5)

67.9

228,116

(53.7)

125.9

10,148,174

(53.0)

39,194

연령별

0-9

9,491

(8.5)

36.1

20,300

(8.8)

77.1

38,992

(9.2)

148.1

2,266,325

(11.8)

60,269

10-19

15,705

(14.0)

47.6

37,455

(16.3)

113.6

68,582

(16.1)

208.0

2,528,047

(13.2)

53,682

20-29

23,445

(21.0)

50.3

44,118

(19.2)

94.7

78,125

(18.4)

167.7

2,830,388

(14.8)

42,524

30-39

17,730

(15.9)

37.7

35,480

(15.4)

75.4

63,570

(15.0)

135.1

2,821,282

(14.7)

41,962

40-49

17,034

(15.2)

29.8

34,294

(14.9)

60.0

63,232

(14.9)

110.6

2,950,322

(15.4)

36,126

50-59

14,229

(12.7)

23.5

28,047

(12.2)

46.4

51,459

(12.1)

85.1

2,363,452

(12.3)

27,370

60-69

8,741

(7.8)

17.4

18,238

(7.9)

36.4

35,798

(8.4)

71.4

1,924,841

(10.1)

26,866

70-79

3,557

(3.2)

13.7

8,207

(3.6)

31.6

16,906

(4.0)

65.0

911,433

(4.8)

24,533

80세이상

1,917

(1.7)

13.0

3,863

(1.7)

26.2

8,213

(1.9)

55.7

550,090

(2.9)

26,096




□  7월 3주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수는 144명으로 전주 대비 102.8% 증가하였고, 사망자는 127명으로 전주 대비 22.1% 증가하였다.


  *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수 : (7월 1주) 48명 →  (7월 2주) 71명 → (7월 3주) 144명

  ** 주간 사망자 수 : (7월 1주) 62명 → (7월 2주) 104명 → (7월 3주) 127명



<그림> 주간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발생 현황




 ○ ’22년 7월 23일 기준, 전 연령의 인구 10만 명당 누적 사망률은 48.1명(치명률 0.13%)이다.


  - 연령대별로 80세 이상의 누적 사망률은 693.1명(치명률 2.66%)으로 가장 높고, 70대는 154.2명(치명률 0.63%), 60대는 41.0명(치명률 0.15%)으로 나타났다.



<그림> 연령대별 누적 사망률(10만 명당), 치명률



 ○ 최근 1주간의 사망자 분석 결과, 고연령층, 미접종, 기저질환을 가진 경우 코로나19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 (연령) 7월 3주 사망자 중 60대 이상이 90.6%(115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80대 이상이 59.8%(76명), 70대가 18.1%(23명), 60대가 12.6%(16명)이었다.




<그림> 최근 8주간 연령대별 사망자수



 - (접종력) 60세 이상 전체 인구 중 미접종자 및 1차 접종자 비율이 4% 내외임에도 불구하고  60세이상 사망자 중 미접종자 및 1차 접종자의 비율은 40.9%(47명)로 미접종자 및 1차 접종자에서의 치명률이 여전히 높은 상황이다.


 - (기저질환) 사망자들에서 확인된 기저질환은 고혈압·뇌경색·심부전 등 순환기계 질환, 치매 등 신경계 질환, 폐암 등 악성신생물(암)이 많은 상황이다.



□ 국외 발생은 ’22년 28주차(7.11.∼7.17.)에 신규발생 633만명(WHO기준)으로 최근 6주 연속 발생이 증가하였다.


   * (27주) 확진 6,277,748명 사망 11,168명 → (28주) 확진 6,338,701명(1%), 사망 11,176명(0.1%)


 ○ 전 세계적으로 발생이 증가세로, 오미크론 하위 변이인 BA.5형 변이가 증가하고 있는 미국, 독일, 일본에서 최근 발생이 증가하였다.


   * (미국) BA.5형 변이가 우세화이후 발생․사망 증감 반복, 최근 1주 발생 및 사망자 수 증가

  ** (독일) BA.5형 변이가 우세화이후 발생이 최근 1주 발생 증가, 사망자 수는 감소세

 *** (일본) BA.5형 변이가 우세화이후  최근 4주 연속 발생 증가, 사망자 수 최근 1주 증가



□ 예방접종 효과분석 결과, 3차 접종을 완료하면 접종 후 확진되더라도 미접종자에 비해 중증진행 위험이 95.4% 감소되므로, 예방접종은 여전히 유효한 방역수단이고 고령층·기저질환자에게 3차접종 완료는 특히 중요하다.


 ○ ‘미접종자 확진군’의 중증화율은 ‘3차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21.6배, ‘2차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3.3배가 높았다.


    * ‘3차접종 후 확진군’은 ‘미접종자 확진군’에 비해 중증(사망 포함)으로 진행할 위험이 95.4%, ‘2차접종 후 확진군’도 ‘미접종자 확진군’에 비해 중증 진행 위험이 70.2% 낮음




<그림> 확진자 중 예방접종력에 따른 연령대별 누적 중증화율 위험도 비교



□ 전국 중환자 및 준-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전 주 대비 모두 증가하였고, 특히 비수도권의 준-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40%대까지 상승하였다. 


   * 중환자 병상가동률(7.2주 → 7.3주): (전국) 13.2% → 18.9%, (수도권) 12.8% → 18.8%, (비수도권) 14.3% → 19.2%

   * 준-중환자 병상가동률(7.2주 → 7.3주): (전국) 25.5% → 36.4%, (수도권) 23.0% → 35.0%, (비수도권) 32.1% → 40.1%




<그림> 중환자 병상 가동률 추이 및 준-중환자 병상 가동률 추이




□ 7월 3주 코로나19 주간 위험도는 최근 발생률이 빠르게 높아지고 있으며 60세 이상 확진자 비율도 조금씩 증가하고 있으나 의료대응 역량은 감당 가능한 수준임을 고려하여, 전국, 수도권, 비수도권 중간으로 평가하였다.




<7월 3주차 종합평가 결과>

구분

3

4

5

6

7

4

(3.20.~)

5

(3.27.~)

1

(4.3.~)

2

(4.10.~)

3

(4.17.~)

4

(4.24.~)

1

(5.1.~)

2

(5.8.~)

3

(5.15.~)

4

(5.22.~)

1

(5.29.~)

2

(6.5.~)

3

(6.12.~)

4

(6.19.~)

5

(6.26.~)

1

(7.3.~)

2

(7.10.~)

3

(7.17.~)

전국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높음

높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중간

중간

중간

수도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높음

높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중간

중간

중간

비수도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높음

높음

중간

중간

중간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중간

중간

중간



○ 주간 코로나19 위험평가 지표별 추이(※ 잠정통계로 향후 변동 가능)

 * 상세 통계 표는 첨부파일 참고





□ 오미크론형 변이 검출률은 국내감염 및 해외유입 사례 모두 100.0%로 확인되었다.(7.23. 0시 기준)     


   * (국내) 12월5주 4.0% → 1월3주 50.3% → 2월3주 98.9% → 7월3주 100.0%


 ○ 오미크론 세부계통 검출률 분석 결과, BA.2.3은 7.7%(-10.1%), BA.2는 6.5%(-2.2%), BA.5*는 56.3 %(+4.3%)로 확인되었다. 

   * (7월2주→7월3주) BA.5 국내감염 47.2% → 49.1%, BA.5 해외유입 62.9% → 73.3%




< 국내감염 주요 변이바이러스 검출률(7.23. 기준) >


구분

분석주차

오미크론형

검출률(%)

오미크론 세부계통 검출률(%)*

BA.2

BA.2.3

BA.2.12.1

BA.4

BA.5

전체

65

100.0

22.7

34.0

6.5

5.0

28.2

71

100.0

20.3

31.8

5.3

4.7

35.0

72

100.0

8.7

17.8

4.8

5.6

52.0

73

100.0

6.5

7.7

3.1

4.1

56.3

국내감염

65

100.0

24.2

39.5

5.5

3.4

24.1

71

100.0

24.1

40.3

5.1

3.2

23.7

72

100.0

10.0

23.8

3.8

2.9

47.2

73

100.0

8.0

11.8

1.9

2.5

49.1

해외유입

65

100.0

15.0

5.8

11.7

13.3

49.2

71

100.0

8.2

5.3

5.9

9.4

70.0

72

100.0

5.9

4.3

7.0

11.7

62.9

73

100.0

4.3

1.5

5.8

7.7

73.3


  * 유전체분석결과를 기반으로 별도 산출된 통계자료임


  - 오미크론 BA.2.12.1 57건(국내 27건, 해외유입 30건), BA.4 60건(국내 26건, 해외유입 34건), BA.5 697건(국내 686건, 해외유입 1,093건), BA.2.75 3건(국내 3건, 해외유입 1건)이 추가로 검출되었다. 

   * (누적) BA.2.12.1 566건, BA.4 209건, BA.5 1,779건, BA.2.75 4건







□ 방역당국은 여름 휴가철 시민들이 안전한 여름 휴가를 보낼 수 있도록 각 소관시설에 대한 방역관리를 집중적으로 추진한다. 해양수산부는 혼잡도가 높은 해수욕장, 여객선·터미널 등 해양수산분야 주요시설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방역관리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 (해수욕장) 지난 2년간 해수욕장 이용객들의 분산에 효과가 있었던 ‘혼잡도 신호등제’*와 ‘한적한 해수욕장’**을 올해에도 지속 운영한다. 이는 7.1일부터 바다여행 일정만들기 누리집을 통해 안내되고 있다.


     *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적정 인원 대비 혼잡도를 초록색(적정, 100%이하), 노란색(밀집우려, 100%초과~200%이하), 빨간색(밀집, 200%초과)으로 표현


    ** 이용객 간 밀집·밀접 접촉을 피해 조용히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연간 이용객이 5만 명 미만인 해수욕장을 선정


   - 이용객들은 해수욕장 내 탈의실·물품대여소 등 실내 다중이용시설에서 마스크를 의무적으로 착용해야 한다. 


   - 또한 물놀이 시 다른 사람과 최소 1m이상 거리를 두고, 파라솔·텐트 등 차양시설도 최소 1m이상 거리를 두고 설치할 것이 권고된다.


 ○ (여객선·터미널) 전광판, 안내방송 등을 통해 방역수칙을 홍보하여 이용객들의 마스크 착용, 선내 주기적인 소독·환기 등 자발적인 방역수칙 준수를 독려할 예정이다. 




□ 방역당국은 최근 검사 증가추세를 감안하여, 선별진료소 운영시간을 연장하고, 임시선별검사소를 재개해 저녁 시간대, 주말 검사를 확대한다. 대표적으로 서울시는 혼잡도 정보제공, 운영시간 연장, 검사소 확대를 통해 검사편의를 제공한다.


 ○ (혼잡도 분산) 최근 출퇴근, 점심시간대 대기줄이 긴 곳이 발생함에 따라, 서울시 내의 선별진료소 혼잡도에 대한 정보를 1시간 단위로 안내하여 코로나19 선별검사를 받는 시민 편의를 돕고 있다. 


     * ‘스마트 서울맵’을 통해 선별진료소 혼잡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혼잡도 분산


 ○ (운영시간 연장) 운영시간을 평일 저녁 시간대로 연장하고, 주말에도 운영하여 주말 검사수요에 적극 대응해 나갈 예정이다.


     * (서울시 임시선별검사소) 주중/주말 13~21시까지 운영

    ** (서울시 보건소 선별진료소) 토요일 9~13시에서 18시 연장 운영 추진


 ○ (검사소 확대) 임시선별검사소를 자치구별 1개소씩(총25개), 7월말까지 순차적으로 설치·운영할 예정이다.


     * (7.25 기준) 서울시 내 임시선별검사소 9개소 운영 중


 ○ 아울러, 정부는 코로나 19누리집(http://ncov.mohw.go.kr)에 임시선별검사소 신규 설치 및 운영 현황(주말운영, 운영시간 안내 등)을 안내하여 국민 불편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지자체와의 협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 정보제공 >

코로나19

누리집

임시선별검사소 신규 설치 및 운영 현황(주말운영, 운영시간 안내 등)

스마트

서울맵

최근 출퇴근, 점심시간대 대기줄인 긴 곳이 발생함에 따라, 서울시 내 운영중인 선별진료소 혼잡도를 1시간 단위로 안내 (혼잡도 분산, 시민편의 증진)



□ 정부는 진단키트를 활용한 검사수요 증가에 대비하여, 전국 약국, 온라인 판매 등을 비롯, 7.20일부터 모든 편의점에서의 진단키트 판매를 허용(판매업 신고 한시 면제)함으로써 야간·주말 상황에서의 구매 편의성을 제고한다.


     * 7.20~9.30 간 CU, GS25, 세븐일레븐 등 7개 편의점에서 판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일률적인 사회적 거리두기 없이 일상과 방역을 유지하기 위해 고위험군의 경우, 불요불급한 외출과 만남 등을 최소화해주시고, 일반 시민들의 경우, 실내 마스크 착용, 주기적 환기 등 개인방역을 준수하여 주시기를 당부드렸다.





 2. 코로나19 변이감시 체계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변이바이러스 감시체계 운영 강화를 통하여 변이특성과 유행상황을 고려한 데이터기반 방역대응을 해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 강화된 변이바이러스 감시체계에는 기존 보건소를 통해 확진된 코로나19 환자는 물론이고, 대상에 의료기관 환자도 포함된다.


  - 기존 표본감시의료기관이었던 1차 의료기관 63개소를 77개소로 확대하고, 전국 73개소의 2, 3차 의료기관을 추가하여 총 150개소* 의료기관으로 감시기관을 확대하여 코로나19 변이감시를 강화(‘22.6.24~)하였다.


   * (기존) 표본감시 1차 의료기관 63개소  

     (확대) 표본감시 1차 의료기관 77개소 및 2, 3차 의료기관 73개소 (총 150개)


 ○ 분석대상 검체는 코로나19 확진자 중 연령을 고려하여 통계적으로 선별하며, 


   - 고위험군 보호정책에 맞춰 고위험군 코로나19 확진자(중증환자, 고령층·취약집단)를 포함하였으며, 주당 약 1,600건이상(붙임6)의 유전체분석을 실시하고 있다.


   - 현재, 매월 약 6,400건* 이상의 유전체 분석을 유지하면서 변이의 유행 추이, 신규변이 출현 탐지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방역대응에 활용하고 있다.


   * (ECDC) 확진자 10만명 이상에서 1% 이상의 비율로 발생하는 신규 변이를 검출하기 위하여 주당 1,522명을 분석할 것을 권고(붙임6)


   ※(6월 국가별 분석건수) 일본 1,841건, 남아공 613건, 스웨덴 1,857건, 포르투갈 1,849건, 이탈리아 3,876건, 스페인 4,245건, 영국 36,277건, 독일13,922건  (‘22.7.18. 기준)



<그림> 전 세계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분석수 및 확진자 현황



□ 방역당국은 변이 바이러스 감시체계의 안정적 운영을 통해 국내 변이 유행현황, 신규변이 조기 탐지, 변이특성 분석 등 효율적인 모니터링을 지속할 예정이다.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확진자 급증에 따라 당일 일부 중복 및 오신고 건들이 있어 익일 확인시 정정하고 있습니다. 확진자 신고 및 집계 업무 부담 증가로 오신고 등의 구체적 내역 제공이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시도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리집에서 내려 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8시 이전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누적)확진
다운로드(화살표선택)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시도별 발생동향 시도 선택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붙임> 1. 코로나19 주간 발생 현황

        2. 코로나19 국외 발생 현황 

        3.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현황(7. 23. 기준) 

        4. 오미크론 세부계통 변이(BA2.12.1 등) 및 재조합 변이 인구학적역학적 특성 

        5. 재감염 추정사례 발생 현황(7월1주) 

        6. 코로나19 예방접종 효과

        7. 코로나19 확진자 예방접종력 분포(7.17. 0시 기준)

        8.「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알파 베이직 젯소 500ml
칠성상회
3M 전자계산기 SJC-830P
바이플러스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