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에너지스토리지(ESS) 산업 육성방안 마련 추진
에너지스토리지(ESS) 산업 육성방안 마련 추진 |
- 안정적 전력망 구축과 글로벌 시장 진출전략 마련을 위한 TF 구성 - - 2036년까지 ESS 구축을 위해 26GW, 최대 45.4조원 소요 전망 -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는 안정적 전력망 구축과 글로벌 ESS 시장 진출을 위해 1월 30일(월) 「에너지스토리지 산업정책 TF」 출범회의(Kick-off)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ㅇ TF는 2023년 상반기 수립 예정인「에너지스토리지 산업 발전전략」 관련 기관 및 산·학·연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구성되었다.
ㅇ 산업부 이호현 전력정책관 주재로 진행된 이날 회의는 에너지스토리지 산업 발전전략 수립 방향 및 해외 정책 동향 등을 논의하였다.
|
< 에너지스토리지 산업정책 TF 출범회의 개요 > |
|
|
|
|
◇ 일시/장소 : ‘23.1.30(월) 10:00~11:30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1층 소회의실
◇ TF 구성 : 산업부 전력정책관(주재),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전력거래소, 에너지기술연구원 및 산학연 전문가* 등 * (産) LS ELECTRIC 이진호 이사, (學) 서울대 김희집 교수, 고려대 주성관 교수,
◇ 주요내용 : 에너지스토리지산업 발전 전략 수립 방향 및 해외 정책 동향 분석 등 |
□ 에너지스토리지는 전력저장을 통해 발전소 건설비, 송전선 설치비 등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고, 재생에너지 변동성 대응 등이 가능하여 전력시스템에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ㅇ 글로벌 시장도 재생에너지와 연계하여 급격한 확대가 예상*되고 있으며, 2021년 110억불에서 2030년 2,620억불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BNEF, 2022.1)
□ 미국 등 선진국들도 폭염·한파 등 극한 기후 상황으로 어려움을 겪음에 따라 전력시스템에서 에너지스토리지 적용을 확대하고 있으며,
* (해외사례) 캘리포니아 순환정전(‘20.8월), 텍사스 대규모 정전(’21.2월), 미 동부 전력 비상사태(‘22.12월) 등
ㅇ 에너지스토리지 산업 육성을 위해 기술개발, 규제개선 등 지원정책*을 통해 전력공급 안전성 강화와 신시장 선점을 추진 중이다.
* (美) 2030년까지 대규모 장기 에너지저장장치 비용 90% 감축 추진(Storage Shot, ‘21)
(英) LDES 상업화 가속화를 위해 대규모 실증 프로젝트 시행(‘21, 1억달러 수준)
□ 산업부는 최근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통해 유연하고 강건하며, 안정적인 전력망 구축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ㅇ 2036년까지 약 26GW의 에너지스토리지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 최대 45.4조원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中 재생에너지 백업설비 소요비용 전망 >
구분 |
유연성 자원 |
저장장치 필요량 |
소요비용 |
단주기 |
기타 저장장치 |
3.66GW |
0.7~1.2조원* |
장주기 |
기타 저장장치 |
20.85GW |
22.8~39.0조원* |
양수 |
1.75GW |
5.2조원 |
* 기타 저장장치 소요비용은 BESS를 기준으로 전망, 기술개발 등에 따라 변동 가능
□ 이호현 산업부 전력정책관은 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은 제주도·호남 지역의 계통 불안정성 보완, 재생에너지 출력제어 완화, 좌초자산화되는 석탄발전소 재활용 등에 대응하기 위해 장주기·대용량 에너지스토리지 도입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하고,
ㅇ 우리나라에 적합한 다양한 ESS를 전력망과 연계하는 스토리지믹스 계획 마련, R&D, 실증 및 사업화 지원 등 에너지스토리지 생태계 조성, 나아가 국내기업이 해외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에너지스토리지 산업 발전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자료제공 :(www.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