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산림청]한강 탄소상쇄숲, 최대 6,500톤의 탄소 흡수를 기대

btn_textview.gif

FileDown.do?atchFileId=FILE_000000020077921&fileSn=0
FileDown.do?atchFileId=FILE_000000020077921&fileSn=1
한강 탄소상쇄숲, 최대 6,500톤의 탄소 흡수를 기대
- 5~6년차 포플러나무, 2,700그루에서 약 220톤의 탄소 흡수량을 측정 -


□ ‘한강 탄소상쇄숲’조성 사업은 국립산림과학원과 서울시 등 5개 기관과 서울 시민이 참여하여, 산림이 조성되지 않은 한강 수변지역에 나무를 심어 탄소 흡수를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박현)은 2017년과 2018년에 서울 강서한강공원에 포플러나무 2,700여 그루를 조성하였고, 이 숲은 지금까지 약 220톤의 탄소를 흡수하였다고 밝혔다.

○ 포플러는 다른 수종에 비해 생장속도가 빨라 이산화탄소를 흡수·저장하는 능력이 우수하여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탄소흡수원 및 바이오에너지 활용을 위한 바이오매스 생산림으로 조성되고 있다. 특히, ‘한강 탄소상쇄숲’에 심은 나무는 국립산림과학원에서 개발한 생장이 우수한 포플러나무 품종이다.

○ 한강 탄소상쇄숲 내 포플러나무의 생장을 조사한 결과, 2017년에 조성한 곳(2.3ha, 1,500본)의 평균 나무 높이는 14.3m, 평균 직경은 약 18cm였으며, 2018년에 조성한 곳(2ha, 1,200본)의 평균 나무 높이는 12.7m, 평균 직경은 17.6cm로 나타났다.

○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에 등록된 산림분야 국가 고유계수를 이용하고 위의 생장 조사를 고려하여 탄소흡수량을 산정한 결과, 한 그루 당 약 80kg의 탄소를 저장한 것으로 측정되었다.

□ 한강 탄소상쇄숲에 식재된 포플러는 국립산림과학원에서 오랜 시간 동안 육성한 미루나무와 이태리포플러이며, 생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병충해에 강한 특성이 있는 나무들이다.

○ 한강 탄소상쇄숲은 현재까지 총 5.7ha가 조성되었으며, 식재된 나무가 성년이 되는 20년 후에는 최대 6천5백톤의 탄소를 흡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국립산림과학원 임목자원연구과 김인식 과장은 “한강 탄소상쇄 숲 조성 사례가 아름다운 수변 경관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탄소흡수원으로써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라며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생장이 우수하고 탄소흡수량이 높은 수종과 품종 개발에 더욱 힘쓰겠다.”라고 밝혔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
라인플러스 화인 세필 화이트 보드마카 (12개입) 1다스 (검정색)
칠성상회
펜더 판다 예쁜 캐릭터 팬더 볼펜
칠성상회
영진 10000 비닐노트 10호 대16절 / 1권 낱권/200매
칠성상회